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여기서 전체 교회 차원의 관점은 차명문서 기록물의 특징이며, 교회일치운동의 책임에서 비롯되었다.(519)

 

여기서 전체 교회 차원의 관점은 차명문서 기록물의 특징이며, 차명문서들은 교회일치운동의 책임에서 비롯되었다.

 

독일어 원문: Dabei ist die gesamtkirchliche Perspektive für die pseudepigraphischen Schriften charakteristisch, sie entstanden aus ökumenischer Verantwortung.

 

번역을 바로잡았다.

 

sie[=die pseudepigraphischen Schriften] entstanden aus ökumenischer Verantwortung

 

= 차명적 문서들은 교회일치적 책임에서 생겨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