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동서 간의 철학 사상 문화교류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다. 공자철학자체와 서양의 초창기 근대철학에 대한 심층적 독해와 새로운 정리, 중국문화예술론과 바로크 , 로코코, 고딕, 네오클래식의 발생론 등 동서양 문화 예술론과 동서양 정원이론 및 조원술, 영국 낭만주의의 중국적 기원, 중국•한국•일본의 정치 경제사 등도 세계사적 조감시각에서 포괄적으로 해명한다. - P10

17세기 중반부터 18세기에 이르는 150년 동안 서양을 휩쓴 계몽주의 사조는 유럽인들을 미신과 무지, 종교적 전통주의적 인습, 억압적 봉건성채와 교회체제로부터 해방시키고 세속적 질서를 확립함으로써 인간본성을 회복하는 탈종교적•탈희랍적•탈봉건적 인간해방의 기획이었다. 중국적 모델은 "신적 계시 없이 어떤 도덕도 없다"는 유럽전통의 기독교윤리학과 봉건적 특권체제에 대한 대안으로 절실하게 요구되었다. 이 계몽주의 운동에 의해 확립된 서양의 근대적 자유와  평등 이념,  계몽군주정, 중농주의와 근대적 자유시장론, 근대적관료제, 필기시험에 의한 공무원임용고시와 탈신분제적 공무담임제, 근대적 권력분립제, 내각제 혁명권 또는 저항권 이론, 세속적 정치문화와 정교분리,
보통교육과 3단계 학교제도, 근대적 관용 이념과 세계주의적 인도주의 및 인권사상, 복지국가론 등 수많은 사상적•제도적 근대성의 아이콘들은 모두 서구계몽사상가와 계몽군주•계몽주의적 치자들이 극동의 유교문화에서 받아들여 유럽적 견지에서 패치워크(짜집기•접붙이기)하고 ‘재창조‘해 근대적 형태로 다듬은 것들이다.
- P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윤리 21 가라타니 고진 컬렉션 16
가라타니 고진 지음, 윤인로.조영일 옮김 / 비(도서출판b) / 2018년 6월
평점 :
품절


법원에서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이 일본 정부를 상대로 2차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국제관습법‘에 따라 각하 결정을 내렸다. 이에 대한 법리(法理)를 가지고 말하는 것은 전문가의 영역이겠지만, 판결문에도 언급되었다시피 한일 양국간의 노력이 피해자들의 고통에 미치지 못했다면, 이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한 것이 아닐까. 이번 판결에 대해 ‘역사의 재검토‘가 필요한 사안에 대해서도 ‘관습‘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회피했다는 느낌을 받는 것은 나만의 감정일까... 이번 판결이 시대의 흐름에 역행하는 법원의 퇴행적인 판단이라는 생각을 지우기 힘들다...

종군위안부 문제도 옛날부터 있었던 문제가 아닙니다. 그것은 한국의 민주화운동에서 나온 페미니스트 운동이 제기한 문제입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무시되었기 때문에 직접 일본에 가져와서 일본의 페미니스트가 일거에 커다란 문제로 만든 것입니다. 주의해야 하는 것은 그것이 일본만이 아니라 한국의 남성(가부장제)도 비판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p187)... 종군위안부 문제는 기존에 문제가 되었던 한일 관계의 연장선상에서 다루어졌지만, 거기에는 이질적인 물음이 존재합니다. 그것은 여성의 관점에서 전쟁을 재검토하는 것, 세계사를 재검토하는 것입니다... 나는 어떤 의미에서 역사의 재검토는 불가피하다고 생각합니다. 식민지배 하에 있었던 자의 눈에 비친 역사가 있고, 여성의 눈에 비친 역사가 있고, 동성애자의 눈에 비친 역사가 있습니다. 아직 그것들은 소리가 크지 않습니다. 그런데 그것들이 서서히 침투하는 것을 피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_가라타니 고진, <윤리 21>,p188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1-04-22 10:2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일본군 ‘위안부‘문제를 여성과 인권의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는 관점에 동의합니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는 이 문제가 계속 민족이라는 이데올로기로만 기능하면서 그 안에 숨어있는 여성, 인권문제가 묻혀온 면이 많았어요.
어제의 판결을 보면서 착잡하긴 하네요. 한국도 일본도 갈길이 머네요.

겨울호랑이 2021-04-22 10:57   좋아요 0 | URL
그렇습니다. 어제의 판결은 국내법과 국제법의 상충 문제, 국가가 개인의 권리를 대신할 수 있는가 등의 법리 문제 외에도 보편 가치의 면에서도 살펴야 할 여러 문제점이 담겨 있다 여겨집니다...
 
공자가 사랑한 하느님 - 다석 강의로 다시 읽는 중용 사상
박영호 풀이, 류영모 번역.강의 / 교양인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여러 종교는 겉으로는 다교(多敎)이지만 속으로는 일원(一元)인 것이다. 하느님은 온통(전체)이라 둘일 수가 없다._ 류영모, <공자가 사랑한 하느님>, p 134

<공자가 사랑한 하느님>에서 류영모(柳永模, 1890 ~ 1981)는 <중용 中庸>의 문구를 여러 관점에서 해석한다. 가는 길(道), 가고자 하는 길은 다를 수 있지만, 이들이 지향하는 바는 하나일 수밖에 없음을 확인하게 된다...

읆이(詩)에 이르되
"솔개는 하늘 높이 날아오르고
고기는 깊은 물에 솟아 뛰논다." 하였으니
그 위아래로 살피어 이른(言)것이니라.

詩云 鳶飛戾天 魚躍于淵 言其上下察也
시운 연비려천 어약우연 언기상하찰야

솔개는 하늘 높이 날아오르고 고기는 깊은 물에 솟아 뛰듯이, 하느님(道)은 나를 초월하여 계시면서 내 속에 내재(內在)하신다. 예수는 초월하여 계시는 하느님을 아버지라 하고 내재하여 계시는 하느님(道)을 하느님 아들이라 하였다. 석가는 초월하여 계시는 얼을 니르나바(涅槃)라 하고 내재하여 계시는 하느님을 다르마(法)라고 하였다. <중용>에서는 초월하여 계시는 하느님을 천(天)이라 하고 내재하여 계시는 하느님을 성(性)이라 하였다. 초월하여 계시는 하느님으로부터 거룩이 내리고 내재하여 계시는 하느님으로부터 기쁨이 솟는다. _ 류영모, <공자가 사랑한 하느님>, p 135


 공자의 인(仁)은 하느님의 생명인 얼씨이다. 얼씨가 말씀으로 사랑으로 나타난다. 충서의 충(忠)은 하느님에 대한 사랑이고 서(恕)는 이웃에 대한 사랑이다. 충(忠)은 중(中)과 심(心)으로 하느님께 뚫린 마음이고 서(恕)는 여(如)와 심(心)으로 하느님과 같은 어진 마음이다. _ 류영모, <공자가 사랑한 하느님>, p 151


 '성(誠)'은 <중용>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글자이다. 중용(中庸)이란 두 글자가 합쳐진 것이 성(誠)이다. 요한복음에 나오는 로고스(logos)와 같다. 류영모는 '참'으로 옮겼다. 지성(至誠)을 류영모는 하느님으로 보았다. _ 류영모, <공자가 사랑한 하느님>, p 196


 결국은 내가 나 자신에게 물어야 한다. 내가 누구인가를 물어야 한다. 그래서 제나가 거짓나임을 알고 참나인 얼나를 깨달아야 한다. 밖을 살피다가 내 속을 살펴야 바로 살피는 것이다. 이를 <반야심경>에서는 '관자재(觀自在)'라 하였다. 그리하여 나는 누구인가를 사무치게 물어야 한다. _ 류영모, <공자가 사랑한 하느님>, p 317

 그렇지만, 다른 한 편으로 인간의 법칙과 자연의 법칙을 다른 것으로 바라보는 관점에 대해서는 다시 생각하게 된다. 자연을 타자(他者)화 하고 이분법(二分法)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은 서양철학의 관점에 가깝다고 여겨진다. 그런 면에서, <공자가 사랑한 하느님>에서 저자는 사람의 종교는 궁극적으로 하나지만, 사람과 자연은 다르다는 이분법적인 태도로 세상을 바라보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좀 더 생각을 해봐야겠다...


 쥐, 사슴, 하마 같은 동물은 지나치게 번식하여 과밀 상태에 빠지면 집단으로 물에 빠져 죽는다. 이를 '레밍(Lemming) 현상'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자연의 법칙이다. 그것은 악하다 선하다 할 성질의 것이 아니다. 사람이 장애인, 늙은이, 병든 이, 약한 이, 어려운 이를 돌보아주는 것은 다른 차원의 문제이다._ 류영모, <공자가 사랑한 하느님>, p 207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amadhi(眞我) 2020-08-31 11:4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다석 선생 책을 찍어만 두고 읽을 엄두를 못내고 있어요. 게으른 저는 생각만 하고 겨울호랑이님은 움직이시는군요.

겨울호랑이 2020-08-31 11:50   좋아요 2 | URL
에고, 아닙니다. 저도 읽긴 합니다만, 그 뜻을 제대로 알고 제 것으로 하기에는 너무도 부족합니다... 계속 새기도록 노력해야겠지요. samadhi님 감사합니다.^^:)

samadhi(眞我) 2020-08-31 11:56   좋아요 2 | URL
읽는 것만으로도 훌륭한데요.

겨울호랑이 2020-08-31 12:02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samadhi님 건강한 하루 되세요! ^^:)
 
중국의 '자유' 전통 - 신유학사상의 새로운 해석 이산의 책 4
윌리엄 시어도어 드 배리 지음, 표정훈 옮김 / 이산 / 199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세기 서구에서는 중국이 자기 혁신의 능력을 지니지 못하고 있다는 인식이  널리  확산되어  있었다.  하지만,  17~18세기의 유럽에서는 보다 낙관적인 중국관(中國觀)이 일반적이었다. 제수이트(Jesuit, 정식 이름은
The Society of Jesus, 예수회)  선교사들이  전하는,  당시로서는 최신 중국 관련 정보들이 대체로 호의적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18세기 유럽의계몽주의자들이 자신들 특유의 합리주의적인 철학사상에 입각하여, 중국을 철인왕(哲人王)이  이성에  따라서  도덕적으로  다스리는  국가라고 이상화시켰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19세기에 이르러 서구 여러나라들의 동양을 향한 극성스런 세력 확대가 포화상태에 달했고, 계몽적인 정치가 행해지고 있는 문명화된 중국에 대한 예전의 선망도 서서히 사라지게 되었다.(p171)


나는 각 개인이 자기 자신의 관점에서 아고 사태에 대해 평가하는 것에 반대하지 않는다. 그것은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인 것이다(這是個人的自由). 만일  이 자리에서  내 생각을 말하라고 한다면, 첸무 교수가 지적한 용어 곧 개인의 자유와 ‘인권‘은 서구적인 동시에 그에 못지 않게 중국인들의 제2의 천성‘ 이었다고 감히 말하고 싶다. 왜냐하면 그것은 애당초 중국인들에게  그렇게  낯선  용어가  아니었기 때문이다.(p19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석 류영모가 본 예수와 기독교 - 다석사상전집 3
박영호 지음 / 두레 / 2000년 7월
평점 :
품절


예수의 말대로 우리가 얼나( the soul)를 깨달으면 시간과 공간에 담긴 천체의 대우주가 사라지고 비롯도 없고 마침도 없어 나지 않고 죽지 않는 얼생명의 하느님만이 계시는(존재하는) 것을 보게 된다. 이것이 하느님의 나라다.(p68)

영원한 얼생명인 하느님 아버지의 하늘나라를 본 이가 예수라면 영원한 얼생명의 니르바나(Nirvana)님의 니르바나의 나라를 본 이가 석가이다. 하느님과 니르바나님이 다른 것이 아니라 같은 실체를 다른 말로 표현하였을 뿐이다.(p69)

예수의 몸이 십자가 위에서 숨진 다음에 다시 살아났다고 하여도 그것은 소생이지 부활이 아닌 것이다. 예수가 말한 부활은 제나(the ego)에서 얼나로 솟나는 것을 말하였던 것이다. 소생은 생명의 차원이 같지만 부활은 생명의 차원이 달라진다.(p101)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곰곰생각하는발 2020-01-05 17:3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류영모의 호가 다석인데 왜 다석이냐면 이 분이 1일1식을 하십니다. 한 끼를 몰아서 많이 드신다고 하셔서 다석‘이라네요..ㅎㅎ

겨울호랑이 2020-01-05 17:40   좋아요 0 | URL
^^:) 그렇습니다. 마치 호랑이 식사법 같습니다. 마침 곰곰발님께서도 1일1식을 하시니 곰곰발님과 다석 선생님은 삶의 철학에서 통하는 바가 있가 여겨집니다^^:)

북다이제스터 2020-01-05 17:4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평일 1일1식한지 한 15년 되었는데요, 현대인에게 1일1식이 맞는 식사인듯 합니다. ^^

겨울호랑이 2020-01-05 17:58   좋아요 0 | URL
북다이제스터님께서도 1일1식을 하시는군요! 실천하기가 쉽지 않은데 곰곰발님, 북다이제스터님 두 분 모두 대단하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