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부역자 - 전쟁, 기만, 생존
이안 부루마 지음, 박경환.윤영수 옮김 / 글항아리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것이 내 인생의 작품이다. 적군의 세계에서 적군의 현실 속에 살고 있는 사람만이 내 작품을 거짓이나 사기라고 부른다. 그런 이들은 내가 자기 세계를 위협하는 적군이라고 느끼기 때문이다." 이것이야말로 바인레프라는 인물을 이해하는 가장 명확한 열쇠다. 그는 자치 자신이 예술가인 것처럼 대안 현실 alternative reality을 창조해냈다는 사실을 자랑스러워했다. 예술작품은 실제 세계를 반영하고, 실제 세계에 관해 논평하고, 실제 세계에 대한 표현을 찾는다. 하지만 작품이 실제 세계라고 믿어버리는 것은 위험한 결과를 불러올 수 있는 범주의 오류다. _ 이안 부루마, <부역자 : 전쟁, 기만, 생존>, p135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과 독일의 침략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침략자들을 돕고 한 편에서 섰던 이들. 자신의 이익을 위해 자신이 속했던 곳을 버리고 새로운 선택을 한 부역자를 바라보는 시선은 어느 편에서도 긍정적이지 않다. 배신자와 기회주의자라는 부정적인 외부의 시선에 대해 그들 자신은 스스로를 어떻게 생각할까. 이 책은 부역자 자신의 생각과 행동에 대해 그려내는 책이다.

기억이란 것은 국가의 역사에서와 마찬가지로 개인의 마음속에서도 끊임없이 재구성된다. 정치동향, 새로운 사실의 발견, 바뀌어가는 취향, 도덕적 행위에 관한 규범의 변화 같은 요소 모두가, 점점 더 멀어져가는 과거에 대한 우리의 관점에 영향을 미친다. _ 이안 부루마, <부역자 : 전쟁, 기만, 생존>, p13

그들은 스스로를 '새로운 시대를 창조하는 예술가'로 생각한다. 그들은 자신이 속한 체제가 압도적인 힘에 굴복하는 것을 보았다. 그리고, 그 힘에 압도당한다. 무너지지 않을 것 같은 힘과 한 편이 되었을 때 살아남을 수 있다는 자기 처신은 자기 변명으로 이어진다. 그들은 아시아의 평화를 위해서 일본의 스파이가 되었거나(가와시마 요시코), 네덜란드 국민들의 강제이주를 막거나(펠릭스 케르스텐), 죽음의 수용소로 이송되는 유대인을 구했다(프리드리히 바인레프)고 자신을 변호한다.

책 속 부역자들의 문제는 이들의 기만이, 때로 아마도 거짓 체제에서 살아남기 위해 필요했던 기만이, 결국 자기기만이 되어버렸다는 점이다. 거짓 속에서 살다보면 흔히 그런 결과를 맞는다.... 독재와 강점 세력에 저항했던 사람들 또한 이름이나 문서나 정체성을 꾸며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이들은 이들은 스스로를 기만하지는 않았다. 그늘 속에서 비밀스럽게 살았을지언정 진실 속에서 살았다. 반면 두려움이나 기회주의에 사로잡혀 거짓 속에 사는 사람들은 결국 거짓에 사로잡혀버린다. _ 이안 부루마, <부역자 : 전쟁, 기만, 생존>, p197

저자는 이러한 그들의 변호가 결국 자기기만에 지나지 않는다고 비판한다. 저자의 이 책은 자신만의 세계 안에서 왜곡된 기억으로 만들어진 거대한 거짓말. 한 편에서는 배신자로, 다른 편에서는 극단적인 이기주의자로 어느 곳에서도 환영받지 못한 부역자들이 누구보다도 자신의 선택에 충성스러울 수밖에 없던 이유를 저자는 공통점이 없는 세 명을 통해 입체감있게 잘 보여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저도 교황님의 이 대답을 제 대답으로 삼고 싶습니다.
제 삶에는 늘 하느님의 사랑이라는 황금빛 실이 있었습니다. 제게 얼마간의 시간이 주어지거나, 단 한 시간이라도짧은 피정을 할 수 있을 때면, 저는 늘 저 자신을 바라보려고 합니다. 이때 저는 제 시선이 아니라 ‘하느님의 시선으로 바라보게 해달라고 기도합니다.  - P19

제가 해야 하는 것을 생각하며 전진할 때, 다른 사람들의 판단이나 장애물 같은 것은 별로 중요한 요소가 아닙니다. 그저 단순하게 앞으로 나아갑니다. - P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처에 귀의하고 불교의 삼매를 잠심하여 연구해도 성인을 버리고 지혜를 끊으며, 칠정과 육욕을 단절할 방법이 없었다. 범인의 경지를 초월하고 진세를 벗어나는 ‘세외법‘을 추구하였으나 도리어 명교인 유가 낙토樂의 ‘세간법世間‘을 밟아야 했다. 유가의 용세 정신은 진세의 인연을 해탈하는 선의 풍모와 부처의 골격을 주조해내지 못하였다. 이렇게 벗어날 수 없는 모순에는 곧 그가 불교의 교설에 의심을 품고서 불교를 버리고 유학을 숭상하는 데로 향한 정신적 위기가 잠복해 있었다. 주요" - ‘주정희靜‘ - ‘주경主敬‘의, 선에서 빠져나와 유가로 돌아오는 그의 길고 긴 변천의 역정이 마침내 동안에서 시작되었던 것이다. - P259

이통의 마지막 결론은 다음과 같다. "오직 일상생활에서 공부를 해야 합니다. 혹일에 나아가 공부를 하면 거의 점차 자기 것이 됩니다. 그렇지 않으면 다마말일 뿐입니다." (동상) 이일분수에 대한 이런 전면적 인식은 곧 그들로 하여금 철학상의 추상적인 이기상즉, 도기상즉을 구체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이사상즉으로 확장하게 하였으며, 즉사궁리를 강조하는 데서 나아가 즉사응사를 강조하도록 하였다. - P382

실제에 근거하여서 편찬하는 주희의 이런 태도 때문에 그의 <팔조명신언행록>은 북송 시대의 정치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참고서가 되며, 그가 고심하여서 지은 <통감강목>보다 학술적 가치의 생명력이 더 길었다. 태극 본체론의 구조를 세운 일로부터 도통과 정통의 확립에 이르기까지 주희는 한천정사에서 체계와 규모를 대략 갖춘 이학과 경학의 광대한 집을 전체적으로 완성하였다.  - P672

사실 그는 삼구의 회합 이후 이미 날카롭게 깨닫고 있었다. 그가 추구하려 한 것은 존덕성과 도문학의 통일, 곧 경건과 앎을 동시에 닦는 방법으로서, 또한 황종희가 말하는 ‘경건과 의를 동시에 유지하고, 명절함과 성실함을 나란히 진보시키는‘ 방법이다. 이는 ‘존덕성‘을근본으로 하며, ‘도문학‘에서는 널리 배움에서 요약함으로 돌아가고, 잡스런 데서 정밀한 데로 들어가 평생 학문 저술에 대해 ‘강설이 또한 많은 것근거를 억지로 찾아내서 반드시 취하려 하는 것, 흐름을 따라 말단을 좇는것, 유추하여서 추구하는 것‘ 등의 병폐를 단번에 쓸어버리고 총괄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이것이 바로 순희 4년 정유년(1177)에 평생의 경학 저술을 전면적으로 수정할 때의 지도적인 사상이다. - P7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로 이런 점들이 소년 주희를 대단히 강력하게 끌어들였기 때문에 좋고와 유자휘의 선학 논쟁에서 주희는 좋고 쪽으로 향하였고, 종교의 제자 도겸의 ‘소소영령한 선을 한 번 보고는 마음을 기울였던 것이다. 소홍 17년(1147)에 유자휘가 세상을 떠난 뒤 주희는 종교와 도겸의 주지도를법문의받음으로써 장장 10년에 걸쳐 도교와 불교에 출입하기 시작하였다. 반대로유자회의 세 글자 부적이 추구하는 주정의 법문은 그에게서 오랜 시간 시들어 떨어져버렸다. - P15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중이 정치에 관여하는 것은 자유로운 사회에서 거의 언제나 발생할 수밖에 없는 갈등의 자연스런 결과이다. 책임 있는 정치 지도자와 조직이 이런 상황을 활용하는 것이야말로 민주주의의 핵심이다. 갈등의 사회화는 민주주의의 핵심적인 과정이다.
- P22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