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저도 교황님의 이 대답을 제 대답으로 삼고 싶습니다.
제 삶에는 늘 하느님의 사랑이라는 황금빛 실이 있었습니다. 제게 얼마간의 시간이 주어지거나, 단 한 시간이라도짧은 피정을 할 수 있을 때면, 저는 늘 저 자신을 바라보려고 합니다. 이때 저는 제 시선이 아니라 ‘하느님의 시선으로 바라보게 해달라고 기도합니다.  - P19

제가 해야 하는 것을 생각하며 전진할 때, 다른 사람들의 판단이나 장애물 같은 것은 별로 중요한 요소가 아닙니다. 그저 단순하게 앞으로 나아갑니다. - P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처에 귀의하고 불교의 삼매를 잠심하여 연구해도 성인을 버리고 지혜를 끊으며, 칠정과 육욕을 단절할 방법이 없었다. 범인의 경지를 초월하고 진세를 벗어나는 ‘세외법‘을 추구하였으나 도리어 명교인 유가 낙토樂의 ‘세간법世間‘을 밟아야 했다. 유가의 용세 정신은 진세의 인연을 해탈하는 선의 풍모와 부처의 골격을 주조해내지 못하였다. 이렇게 벗어날 수 없는 모순에는 곧 그가 불교의 교설에 의심을 품고서 불교를 버리고 유학을 숭상하는 데로 향한 정신적 위기가 잠복해 있었다. 주요" - ‘주정희靜‘ - ‘주경主敬‘의, 선에서 빠져나와 유가로 돌아오는 그의 길고 긴 변천의 역정이 마침내 동안에서 시작되었던 것이다. - P259

이통의 마지막 결론은 다음과 같다. "오직 일상생활에서 공부를 해야 합니다. 혹일에 나아가 공부를 하면 거의 점차 자기 것이 됩니다. 그렇지 않으면 다마말일 뿐입니다." (동상) 이일분수에 대한 이런 전면적 인식은 곧 그들로 하여금 철학상의 추상적인 이기상즉, 도기상즉을 구체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이사상즉으로 확장하게 하였으며, 즉사궁리를 강조하는 데서 나아가 즉사응사를 강조하도록 하였다. - P382

실제에 근거하여서 편찬하는 주희의 이런 태도 때문에 그의 <팔조명신언행록>은 북송 시대의 정치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참고서가 되며, 그가 고심하여서 지은 <통감강목>보다 학술적 가치의 생명력이 더 길었다. 태극 본체론의 구조를 세운 일로부터 도통과 정통의 확립에 이르기까지 주희는 한천정사에서 체계와 규모를 대략 갖춘 이학과 경학의 광대한 집을 전체적으로 완성하였다.  - P672

사실 그는 삼구의 회합 이후 이미 날카롭게 깨닫고 있었다. 그가 추구하려 한 것은 존덕성과 도문학의 통일, 곧 경건과 앎을 동시에 닦는 방법으로서, 또한 황종희가 말하는 ‘경건과 의를 동시에 유지하고, 명절함과 성실함을 나란히 진보시키는‘ 방법이다. 이는 ‘존덕성‘을근본으로 하며, ‘도문학‘에서는 널리 배움에서 요약함으로 돌아가고, 잡스런 데서 정밀한 데로 들어가 평생 학문 저술에 대해 ‘강설이 또한 많은 것근거를 억지로 찾아내서 반드시 취하려 하는 것, 흐름을 따라 말단을 좇는것, 유추하여서 추구하는 것‘ 등의 병폐를 단번에 쓸어버리고 총괄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이것이 바로 순희 4년 정유년(1177)에 평생의 경학 저술을 전면적으로 수정할 때의 지도적인 사상이다. - P7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로 이런 점들이 소년 주희를 대단히 강력하게 끌어들였기 때문에 좋고와 유자휘의 선학 논쟁에서 주희는 좋고 쪽으로 향하였고, 종교의 제자 도겸의 ‘소소영령한 선을 한 번 보고는 마음을 기울였던 것이다. 소홍 17년(1147)에 유자휘가 세상을 떠난 뒤 주희는 종교와 도겸의 주지도를법문의받음으로써 장장 10년에 걸쳐 도교와 불교에 출입하기 시작하였다. 반대로유자회의 세 글자 부적이 추구하는 주정의 법문은 그에게서 오랜 시간 시들어 떨어져버렸다. - P15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중이 정치에 관여하는 것은 자유로운 사회에서 거의 언제나 발생할 수밖에 없는 갈등의 자연스런 결과이다. 책임 있는 정치 지도자와 조직이 이런 상황을 활용하는 것이야말로 민주주의의 핵심이다. 갈등의 사회화는 민주주의의 핵심적인 과정이다.
- P22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드 로자 - 만화로 보는 로자 룩셈부르크
케이트 에번스 지음, 폴 불 엮음, 박경선 옮김, 장석준 해제 / 산처럼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제학자이자 사회운동가 로자 룩셈부르크 (1871~1919)의 삶을 다룬 그래픽 노블. 이 안에서 우리는 한 인물의 삶과 함께 「자본의 축적」의 개요를 만나게 된다. 마르크스의 이론에 따르면 자본주의는 필연적으로 붕괴되어야 하지만 현실은 그렇게 흘러가지 않는다. 그것은 자본주의는 전쟁을 통해 매번 새롭게 ‘부활‘하기 때문이다. 이 점을 로자 룩셈부르크는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평화‘를 지향하는 그의 이론과 삶을 쉽게 그려낸 책이다.

마지막으로 그토록 전쟁에 반대하고 평화를 부르짖던 로자가 죽임을 당한 시점이 제1차세계대전 종전 후였다는 사실은 역사의 아이러니라 생각하며 글을 마무리한다...

자본주의는 세계를 통째로 집어삼키고 다른 모든 경제를 말살시키려 든다. 적수의 존재를 용인하지 않는다. 그러나 자본주의는 혼자 존재할 수 없으며, 그것이 서 있는 토양에는 다른 경제적 매개가 필요하다. 그 뿐만이 아니다. 사실 자본주의는 스스로 파멸의 씨앗을 뿌리고 있다. 모든 산업 형태를 지배하게 되는 종점에 다다르면, 스스로 무너져 내릴 수밖에 없다. 내부 모순으로 분열이 일어나고 더 이상 존재가 불가능해진다... 무력은 자본주의가 동원할 수 있는 유일한 해법이며, 자본의 축적은 무력을 항구적 무기로 이용한다.
- P113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Falstaff 2021-04-12 13:5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는 막스 갈로가 쓴 <로자 룩셈부르크 평전>를 읽었습니다만. 지금 품절이군요.

겨울호랑이 2021-04-12 14:04   좋아요 2 | URL
아, 그렇군요. Falstaff님께서 알려주신 책을 동네 도서관에서 검색해 보니 마침 있네요. 좋은 책 추천 감사합니다!^^:)

deadpaper 2021-04-13 23:2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전쟁을 통해 부활한다니! 저도 같은 생각이에요.

겨울호랑이 2021-04-13 23:31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deadpaper님. 20세기 초 제1차 세계대전 이전에 로자는 이미 전쟁의 본질을 꿰뚫어 보고 있었다는 점에서 그의 통찰력에 감탄하게 됩니다. 만약, 대공황을 지난 시점까지 살았다면, 공황의 본질에 대해서도 석학다운 분석을 내놓았을텐데 하는 아쉬움도 드네요...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