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개벽사상과 종교공부 - K사상의 세계화를 위하여
백낙청 외 지음 / 창비 / 2024년 2월
평점 :
여기서 말하는 개벽은 물론 후천개벽인데, 이는 하늘과 땅이 처음 열린 '선천개벽' 같은 물리적 현상이 아니라, 사람의 정신과 마음에 일어나는 근본적 변화와 더불어 새로운 세상이 열리는 대변혁을 '후천개벽'으로 규정하고 추진한 것은 유독 한반도에서 시작된 현상이요 사건이다. _ 백낙청 외, <개벽사상과 종교공부>, p6
<개벽사상과 종교공부>는 근대성(modernity)이 가져온 여러 폐해들을 극복하기 위한 사상을 종교(宗敎)에서 찾는다. 일본제국주의에 저항한 동학과 이를 계승한 천도교, 원불교의 사상이 오늘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지 저자들은 치열한 토론을 통해 찾아간다. 서구에서 '자본-과학-종교'가 융합되어 제국주의라는 형태로 주변을 침탈했던 시기에, 이들에 대항하는 민족종교에서 근대성을 극복할 사상적 기반을 찾는 과정을 통해 일반에 잘 알려지지 않거나 왜곡되었던 천도교, 원불교, 증산교 등의 다른 면이 소개된다.
제국주의의 본질은 자본주의다, 그래서 물질개벽의 시대라는 건 자본주의 시대라는 진단까지 나아가셨지요. 그리고 그에 상응하는 정신개벽으로 가야 한다면, 정신수양도 해야 하고 사리연구도 하고 또 작업취사로 정의로운 행동을 실천해야 하는데, 이를 위한 마음공부, 다시 말해 삼학공부가 필요하다고 하신 거고요. _ 백낙청 외, <개벽사상과 종교공부>, p175
<개벽사상과 종교공부>에서 새롭게 느껴졌던 부분은 기독교를 외래종교가 아닌 유학(儒學)을 비롯한 한국사상의 바탕 위에 새롭게 이해되는 '한국적 기독교'를 개벽사상의 틀 안에 담았다는 점이다. 사실, 유교도 불교(佛敎)도 외래 종교지만, 한국의 전통 신앙과 결합하면서 새롭게 받아들여졌다는 점을 생각해본다면 이러한 해석은 당연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제국주의에 저항한 한국의 민족종교와 제국주의의 종교가 아닌 한국적 기독교의 사상이 제국주의의 문제 해결을 위한 어떤 시사점을 던져주는가. 책의 결론 중 하나는 개인 각자의 공부(수양)가 필요하다는 것이지만, 공부의 방향성이 석학들의 토론을 통해 드러난다는 점에서 오늘날 의미있는 책이라 여겨진다...
이제는 그 패션(passion)이라는 단어를 달리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수난이라는 말 대신 열정이란 뜻으로 말이지요. 전혀 다른 세상을 꿈꾸고 바랐던 그분의 희망과 열정이 바로 십자가의 죽음으로 드러난 것이지, 십자가의 죽음이 대속적인 죽음을 목적해서 일어난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하나님 나라를 위한 열정과 희망, 전혀 다른 방식으로 세상을 구원하려고 한 예수님의 삶의 뜻이 표현되었다고 보는 것이 옳습니다. _ 백낙청 외, <개벽사상과 종교공부>, p370
신학(信學)은 언어철학의 문제인 동시에 지극히 초월적이고 영적인 일이기도 하고, 가장 평범한 일상과 정치, 교육, 문화의 일이기도 합니다. 지금까지 동서고금에 신학(神學)도 있었고, 성학(聖學)과 이학(理學)도 있었지만, 신학(信學)은 처음이라고 생각합니다. 신(信)이라는 언어를 통해서 종교와 학문이 같이 연결되며, 형이상학과 윤리, 정신과 몸, 자아와 세계, 인간과 자연, 초월과 일상 등 지금까지 나뉘어 논의되던 영역들을 같이 연결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하나의 '믿음을 위한 통합학'(Intergral Studies for Faith)을 말하며 '신학(神學)에서 신학(信學)으로'의 전환을 주장하는 것이지요. _ 백낙청 외, <개벽사상과 종교공부>, p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