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통화 10년(993) 12월 경진일에 유주(儒州 : 하북 延慶縣) 동천(東川)에서 사냥을 하고, 배천례(拜天禮)를 행하였다. 이 달에 동경유수 소항덕(蕭恒德 : 고려사에서는 蕭遜寧)  등이 고려를 정벌하였다. 

 통화 11년(993) 봄 정월에 임인일에 회골에서 조공하였다. 병오일에 내탕전(內帑錢)을 내서 남경의 통군사군(統軍司軍)에 하사하였다. 고려 왕 왕치(王治 : 고려 成宗)가 박양유(朴良柔)를 보내 표문(表文)을 올리고 죄를 청하니, 조서를 내려 여진에게서 취한 압록강(鴨淥江) 동쪽 수 백리 땅을 하사하도록 하라'고 하였다. _ 김위현 외, <국역 요사 상>, p242


 

얼마전부터 KBS에서 모처럼 대하사극 <고려거란전쟁>을 시작하면서 원작소설인 <고려거란전쟁>와 역사서인 <고려사 高麗史> 등에 대한 관심도 함께 높아진 듯하다. 성리학적 질서에 의존한 조선(朝鮮)과는 달리 동북아에서 세력균형의 한 축을 담당했던 고려와 발해를 멸망시키고, 연운16주(燕雲十六州)를 통해 송(宋)을 직접 위협하고, 서하(西夏)를 아울렀던 요(療)와의 30년간의 전쟁과 승리는 역사의 통쾌한 순간으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그렇다면, 고려와 거란의 30년 전쟁을 그들은 어떻게 기록하고 있을까? 


 통화 28년(1010) 5월 병오일에 고려의 서경유수(西京留守) 강조(康肇)가 그 임금 왕송을 시해하고, 왕송의 종형 왕순(王詢 : 고려 현종)을 맘대로 세우자, 각 도에 조서를 내려 '갑병을 잘 정비하여 동정[고려 정벌]을 준비하도록 하라.'고 하였다. 

가을 8월 무신일에 평주의 굶주리는 백성들을 진휼하였다. 정묘일에 황제가 스스로 군대를 거느리고 고려를 정벌한다는 사실을 사신을 보내 송나라에 알렸다. 

겨울 10월 초하루 병오일에 여진에서 좋은 말 1만 필을 진상하고, 고려를 정벌할 때 참전한 것을 간청하니 허락하였다. [고려] 왕순이 사신을 보내 군대의 출정을 멈추어 줄 것을 간청하는 표문을 올렸으나 허락하지 않았다. 

11월 을유일에 대군이 압록강을 건너니 강조가 맞서 대항하였으나 패배시키자, [강조]는 동주(銅州)로 물러나 주둔하였다. 병술일에 강조는 다시 출병하였으나, 우피실상온 야율적로가 강조와 부장(副將) 이립(李立)을 사로 잡았고, [달아나는 군사들을] 수십 리를 추격하여 죽였으며, 버린 군량미, 갑옷, 무기들을 노획하였다. 무자일에 동주(銅州), 곽주(霍州), 귀주(貴州), 영주(寧州) 등이 모두 항복하였다... 신묘일에 왕순이 사신을 보내 조근을 요청하는 표문을 올리니 허락하였다. 서경(西京)을 5일 동안 포위하였으나, 함락시키지 못하고 성의 서쪽에 머물렀다. 고려의 예부낭중(禮部郎中) 발해 타실(陀失)이 항복하였다. 경자일에 소배압과 야율분노 등을 보내 개경을 공격하게 하여 고려 병사들을 패배시켰다. 왕순이 성을 버리고 도망을 가자 마침내 개경을 불태웠으며 청강(淸江)까지 추격하였다고 돌아왔다.

 통화 29년(1011) 봄 정월 초하루 을해일에 회군하였는데, 항복한 여러 성이 다시 반란을 일으켰다. 귀주(貴州) 남쪽의 험한 골짜기에 이르렀을 때 여러 날 동안 큰 비가 내려 말과 낙타가 모두 지쳐서 갑옷과 무기를 대부분 버리고, 날이 개자 겨우 강을 건넜다. 기축일에 압록강에 머물렀다. 경인일에 황후와 황제(皇弟) 초국왕 야율용우가 내원성에서 황제를 맞았다. 임진일에 조서를 내려 '각 군을 해산케 하라.'고 하였다. _ 김위현 외, <국역 요사 상>, p277


 <요사 療史>에서 고려거란전쟁 30년을 다룬 기록 중 가장 상세한 것은 요나라 성종(聖宗, 982~1031)이 직접 참전하고 강조가 이끄는 고려군을 참패시킨 통주전투(通州戰鬪)가 벌어진 제2차 고려거란전쟁이다. 대신 서희(徐熙, 942~998)와의 담판으로 인한 강동6주 할양과 강감찬(姜邯贊, 948~1031)의 귀주대첩 등은 간략하게 기록된 것을 보면 자국의 승리를 강조하고, 패배는 축소하는 경향은 어느 나라 역사서나 마찬가지인 듯하다. 개인적으로는 대하드라마 <고려거란전쟁>의 상영이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고려시대를 다뤘다는 점에서 반갑기도 하면서 다른 한 편으로 '힘에 의한 평화'를 강조하는 국정기조와 맞물려 나온 것과 같다는 느낌을 받아 조금 꺼려지는 것도 사실이다. 이런 상반되는 감정을 갖게 되는 드라마를 보며, 다른 한 편으로 서로 다른 두 당사자들의 시각을 비교해보는 것도 나름의미있는 공부가 되지 않을까 싶다... 


 개태 7년(1018) 12월에 소배압 등이 다하(茶河 : 삽교천)과 타하(陀河 : 청천강)에서 고려와 싸웠는데, 요나라 군대의 전세가 불리하였다. 천운군(天雲軍)과 우피실군에서 물에 빠져 죽은 자가 많았고, 요련장산온((遙輦帳詳穩) 아과달(阿果達), 객성사(客省使) 작고(酌古), 발해상온(渤海詳穩) 고청명(高淸明), 천운군상온(天雲軍詳穩) 해리(海里) 등이 모두 죽었다. _ 김위현 외, <국역 요사 상>, p300


 개태 9년(1020) 5월 경오일에 고려에 사신으로 갔던 야율자충이 돌아왔는데, 왕순(顯宗)이 표문을 올려 요청하기를 '번국이 되어 조공하고, 고려에 머물러 있는 왕인(王人) 야율지랄리(耶律只剌里)를 돌려보내겠다.'고 하였다. 야율지랄리는 고려에 6년 동안이나 잡혀 있으면서도 굽히지 않았으므로 임아로 삼았다. 신미일에 사신을 보내 왕순의 죄를 용서하고 아울러 그 요청을 받아들였다. _ 김위현 외, <국역 요사 상>, p303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거리의화가 2023-11-28 06:4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겨울호랑이님 이 글이 참 반갑네요^^ 저도 덕분에 요사를 읽어보며 고려사를 좀 더 풍부하게 읽어가는 기회가 되고 있습니다.
드라마에서 양규 장군을 비롯하여 주변 장수들에 대한 이야기가 제법 다루어지는 것이 기대가 됩니다. 요사를 읽으며 고려가 승리한 이야기에 대해서는 역시 소략하다 싶었어요. 이 기회에 고려와 거란과 관련한 역사에 관심을 갖는 기회가 되면 좋겠어요. 감사합니다.

겨울호랑이 2023-11-28 09:51   좋아요 0 | URL
역사를 돌아보며 과거의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는 것이 역사가 주는 교훈이라고 하지만, 아무래도 슬픈 역사보다는 뿌듯하고 자랑스러운 사건들에 눈과 마음이 더 가는 것은 어쩔 수 없는 듯 합니다. 거리의화가님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공산당 일당 체제, 중국의  '당-국가 체제(party-state system)' 혹은 '공산당 영도체제(領導體制, leadership system)'가 유지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다섯 가지의 '공산당 통제기제(統制機制,  control mechanism)'가 제대로 작동하기 때문이다.(p10)...  공산당 영도 체제가 '<당장>에 근거한 정치 체제'라고 한다면, 국가 헌정 체제는 '<헌법>과 법률에 근거하여 구성되고 운영되는 정치 체제', 줄여서 '헌법>에 근거한 정치 체제'를 가리킨다. 중국의 정치 교과서가 기술하고 있는 중국 정치 체제가 바로 국가 헌정 체제라고 할 수 있다. 공산당은 이를 근거로 중국도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민주'를 실행한다고 주장한다. 공산당의 다섯 가지 통제 기제 중 첫째는 인사 통제, 둘째는 조직 통제, 셋째는 사상 통제, 넷째는 무력 통제, 다섯째는 경제 통제다. _ 조영남, <중국의 통치 체제 2> , p11/381


  조영남 교수의 <중국의 통치 체제>는 인사, 조직, 사상, 무력, 경제 등 다섯 가지 통제 기둥에 의해 떠받쳐진 '공산당 영도체제'에 대해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공산당원이 우선시 되는 인사정책, 사회 말단까지 촘촘하게 뿌리 내린 소조(小組), 언론 및 홍보활동에 의한 보도 통제, 국가가 아닌 당을 위한 군대, 거대 국유기업을 소유한 당 등은 긴밀하게 결합하여 당 중심의 영도 체제를 뒷받침한다. 여기에 더해 첨단 IT를 바탕으로 한 철저한 감시와 통제는 현대 중국을 이전과는 다른 면에서 중앙-지방의 거리를 좁혔음을 저자는 보여준다. 


 이런 막강한 조직을 운영하기 때문에 공산당은 <당장>의 규정대로 "당(黨), 정(政), 군(軍), 민(民), 학(學)과, 동(東), 서(西), 남(南), 북(北), 중(中)에서 일체(一切)를 영도"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중국 역사에서 이처럼 촘촘하게 정치조직을 설립하여 전국을 일사불란하게 통치한 왕조(王朝)는 일찍이 없었다. 이런 면에서 공산당 영도 체제는 전통 시대의 어떤 왕조와도 비교할 수 없는 강력한 정치 제제라고 말할 수 있다. _ 조영남, <중국의 통치 체제 2> , p327/381


 사실 이전까지 중국은 그 거대한 영토를 아우를만한 충분한 중앙정부의 역량이 부족했기에 중앙권력은 지방권력에게 일정부분의 자치권을 묵인하면서 거대 제국(帝國)을 유지할 수 있었다. 마지막 왕조(王朝)라 할 수 있는 청(淸)도 이 점에서는 예외는 아니어서 중앙은 과거제에 기반한 관료조직이, 지방과 주변 지역은 느슨한 연결과 통합을 통해 제국을 유지할 수 있었다. 


 만주족은 황제 한 명이, 즉 대청의 황제가 천명에 따라서 매우 발전한 관료제의 도움을 받아 모든 '천하'를 지배하는, 중국의 제국 체제에 기반을 둔 왕조를 만들었다. 동시에 청 제국의 지배자들은 만주, 몽골, 티베트 지역의 통합을 밀어붙였다. 이 통합은 위대한 만주의 칸을 티베트에서 온 라마의 정신적 영향력과 연결하고, 만주와 몽골 사이의 혼인 외교로 가족적 결합을 만들고, 몽골에서 지켜온 국가적 알현 의례를 채택하고, 변경지역에서 호혜적 조공에 참여하는 등 다양한 장기적이고 유연한 정책으로 이루어졌다. 청은 이러한 정책들로 몽골의 대칸이 통치했던 스텝의 3분의 2를 통제하게 되었다. 이것은 중국 역사에서 처음으로 북부의 초원이 안보를 위협하거나 중국 제국에 도전하는 원천이 아니게 된 것이었기에 엄청난 업적이었다. _ 클라우스 뮐한, <현대 중국의 탄생> , p43/446


 그렇지만, 이미 19세기 경 서구의 제국주의 침탈 이후 야툽 벡(1820~1877)에 의한 신장(新疆)지역에서의 반란 움직임 등은 청의 지방 통제력이 빠르게 소멸되었음을 보여주었으며, 그 결과 청 중앙정부는 그들에게 높은 수준의 자치권을 보장할 수 밖에 없었다. 


 19세기 후반부에 청 정부가 중국의 여러 지역에서 큰 노력을 들여 위협적인 반란들을 성공적으로 진압했지만, 더 다루기 어려운 장기적인 결과들이 있었다. 가장 중요한 결과의 하나는 역사가들이 중앙에서 지방으로의 '권력 이양' devolutioin이라고 부르는 것이었다. 태평천국 이후 청은 성과 지방 당국에 고향에서 일할 수 있는 권리 뿐 아니라 군사작전을 위해 세금을 거둘 수 있는 전례없는 권리를 인정했다. 관료제가 질서를 회복했을 때조차 중앙정부는 그러한 권리를 결코 완전히 회복할 수 없었다. _ 클라우스 뮐한, <현대 중국의 탄생> , p101/446


 결국, 지방에서의 자치권 인정은 제정(帝政)이 소멸한 이후 지방군벌(軍伐)이 출현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고, 향후 장제스(蔣介石, 1887~1975)와 마오쩌둥(毛澤東, 1893 ~ 1976)에 의해 소멸되기 전까지 중국 전역을 분열의 소용돌이로 몰아넣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혼란기에 태어난 중국 공산당이 지방권력을 방치하게 될 경우 생겨날 위험에 대해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은 어쩌면 당연할지도 모르겠다.


 민국시기에 출현한 근대 군벌은 과거 중국의 왕조 말기에 나타나곤 하였던 일반적 의미의 봉건적 군벌과는 그 성격을 달리하는 것이었다. 요컨대, 중국에 있어서 근대적 의미의 군벌이란 청 왕조에서 중화민국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군대 영수가 자신의 사적 무력을 동원하여 일정한 지역에 기반을 공고히 한 후 세력균형의 원칙 하에 연합과 분열을 반족하면서 개인이나 또는 집단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정치군사적 성격의 군인집단으로 정의된다. _ 이건일, <군벌 1> , p12/328


 모택동은 1927년 9월 28일 부대가 삼만진(三灣鎭)에 도착하자 그날 저녁 전적위원회 회의를 소집하고 부대 개편을 결정하였다. 모택동은 1천 명에도 못미치는 병력을 1개 연대(團), 즉 공동혁명제1연대로 개편하고, 그 예하는 2개 대대(營)와 1개 특무중대(連) 모두 7개 중대(連)로 편성하였으며, 각급 간부도 다시 임명하였다... 삼만개편 이후 군대에 대한 중국공산당의 절대적 영도가 확립되고, 공농혁명군의 무산계급 성격이 보장되기 시작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정치와 조직의 측면에서도 공농혁명군은 군별과는 완전히 차별화된 모습으로 태어나면서 중국공산당의 혁명적 정치임무를 수행하는 강력한 도구로 변신하기 시작하였다.  _ 이건일, <군벌 2> , p24/315


 거대한 영역을 통제하기 위한 중국공산당의 통제는 현재까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굴욕의 100년을 넘어 자신들에게 굴욕을 안겨준 서방세계를 누르고 유례없이 높은 수준의 경제성과를 거두고 있는 현 상황에서 중국 공산당의 국가 영도체제는 최선의 정체(政體)로 보인다. 분명히 중국은 약 9천만명에 달하는 거대 규모의 집단과 여기서 엄선된 엘리트 집단에 의해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발전해왔고, 때문에 중국인들로부터 매우 높은 지지를 받고 있고, 이는 분명한 사실이다.


 공산당의 관점에서 보면, 반부패 운동은 부패가 발생하는 구조적인 원인을 제거하는 해결책이 아니다. 대신 이것은 부패의 확산을 막아 공산당 영도 체제에 대한 국민의 불만을 일시적으로 완화하는 임시방편일 뿐이다. 다시 말해, 부패 발생을 현 체제가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낮추고, 부패를 통제 범위 내로 관리하는 것이 반부패 운동의 목표다. _ 조영남, <중국의 통치 체제 2> , p92/381


 그렇지만, 중국 공산당이 일당 영도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검열과 통제를 중심으로 임시방편에만 몰두하고 이러한 폐단이 점차 쌓이고 문제점이 드러난 후에도 지금과 같은 절대적인 지지를 받을 수 있을까. 최근 <현대 중국의 탄생>을 읽으며 들었던 생각을 <중국의 통치 체제>와 함께 페이퍼로 간략하게 정리해 본다...


 공산당의 인터넷 정책 목표는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하나는 '검열과 통제'다. 공산당이 관리할 수 없는 국외 인터넷 사이트는 접속을 차단하고, 공산당에 비판적인 내용을 유포하는 국내 사이트는 폐쇄한다. 다른 하나는 '선전과 선도'다. 인터넷에 대한 검열과 통제만으로는 부족하다. 그래서 공산당은 인터넷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공산당의 노선, 방침, 정책을 선전하고, 공산당이 원하는 방향으로 네티즌과 여론을 선도하는 일을 동시에 추진한다. _ 조영남, <중국의 통치 체제 2> , p237/381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시우행 2023-08-06 03:0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중국공산당의 존재 목적은 영구적인 권력유지, 이를 위해선 민중들을 눈먼 맹인처럼 만들어 진실을 은폐하고 현실을 호도함으로써 종종 혐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조작과 가짜가 판치는 선동정치를 일삼는 거지요. 현재의 중국 경제위기가 만약 대한민국 땅에서 발생했다면 연일 온갖 시위가 벌어지고 있을 겁니다. 하지만 중국공산당은 민중들을 눈먼 소경으로 만들고 공안을 앞세워 공포정치를 일삼기에 약자인 민중들은 이 어려움이 그저 지나가기만 기다리고 있는 거지요. 공산당 고위 간부들만 배불리 먹고 살아갈 수 있는 이런 정치구조를 그들은 영원히 유지하고 싶은 겁니다. 인구수는 많은지 몰라도 민중들의 의식수준은 여전히 후진국에 머물러 있는 중국, 경제위기가 제대로 터지면 아마 결코 수습되지 않을 것 같아요.ㅠㅠ

겨울호랑이 2023-08-06 08:06   좋아요 0 | URL
호시우행님 말씀에 공감합니다. 중국공산당이 영구집권을 위해 여러가지 통제를 가하더라도 1990년대 이후 개방 정책이 거둔 경제적 성과가 전례 없는 것이기에 민중들은 정치적인 면에서 제약을 크게 개의치 않는 듯합니다. 다만, 과거 중국 공산당이 표방하는 전세계적인 프롤레타리아 혁명이라는 세계 공산주의 혁명 대신, 최근 민족 사회주의로 목표를 선회하고 이로 인해 빚어지는 세계적인 반중국 정서와 갈등으로 초래되는 중국 고립이 현실이라면, 과거처럼 중국공산당의 일당독재가 계속 될 지는 의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당 독재를 추구하는 모습이 과연 중국공산당만이 그런 것인가, 소위 민주주의 정체를 추구하는 국가에서 이러한 부분은 없는 것인가에 하는 의문 또한 함께 갖게 됩니다...
 

 

 말레이반도 끝단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이사의 수마트라섬 사이에 있는 좁고 긴 수역(水域)을 가리키며, 동쪽의 남중국해(태평양)와 서쪽의 안다만해(인도양)을 연결한다. 말라카 해협의 길이는 약 800km, 최대 폭은 300km이며, 최소 폭은 50km다. 연안과 해협 중앙부에서는 해류가 빨라 항해에 주의가 요구된다. 이곳은 오래전부터 해상 실크로드 상의 요로였다. 인도양과 남중국해의 계절풍을 이용한 항해술이 발달하면서 말라카 해협은 중국에서 동남아시아를 거쳐 인도양과 페르시아만까지 이르는 해상교역로의 중요한 통로가 되었다. _ 정수일, <해상실크로드 도록> , p182



[사진] Jacques-Nicolas Bellin Map of the Straits of Malacca,(1755), 출처 : https://joyofmuseums.com/museums/asia-museums/singapore-museums/national-museum-of-singapore/jacques-nicolas-bellin-map-of-the-straits-of-malacca/


 파라하나 슈하이미 (Farahana Shuhaimi)의 <말라카 Kesultanan Melayu Melaka>와 로저 크롤리 (Roger Crowley)의 <대항해시대 최초의 정복자들 Conquerors: How Portugal Forged the First Global Empire>은 16세기 초반 포르투갈의 말라카 해협 정복이라는 사건을 서로 다른 관점에서 바라본 책들이다. 각각 이슬람의 말라카 왕국과 기독교의 포르투갈 왕국을 주제로 하는 이들은. 1511년 포르투갈의 알부케르크(Afonso de Albuquerque, 1453 ~ 1515)에 의한 말라카 함락이라는 교점을 갖는다. 15세기 말라카 왕국의 번영과 포르투갈에 의한 멸망. 이번 페이퍼에서는 그에 대해 살펴보려 한다. 포르투갈인들이 나타나기 이전까지 이곳은 마자파히트(Majapahit) 왕국의 영향력 아래에 있었다. <말라카>에서 저자는 이슬람의 평화적 전파를 강조하면서, 이에 대해 폭력적인 기독교 진출을 대조시킨다. 이는 말라카 해협의 지리적 특성에 힘입은 바가 클 것이다. 

 

 말레이 세계의 주변부에 머물러 있던 말레이반도는 15세기 초 이슬람의 유입과 함께 멀라까 왕국이 성립하면서 비로소 이 지역의 새로운 중심 세력으로 부상하기 시작했다. _ 소병국, <동남아시아사> , p79


 동남아의 이슬람 전파는 주로 말라카로부터 조직된 비폭력적 활동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그들의 영향력과 무역에 있어서의 물질적 우위는 주변국들로 하여금 점차적으로 술탄국의 이슬람을 채택하고, 국교(國敎)로 삼도록 하였다. 이 문제에 있어서 말라카는 그들의 승리를 종교적 강제 형태로 몰아가지 않는 매우 모범적인 태도를 보였다. _ 파라하나 슈하이미, <말라카> , p122/123


 말레이 반도 내륙의 습지는 농업에 적합하지 않았으며, 열대우림의 해충들과 맹수들은 살기에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에 말라카 해협의 주민들은 어업 외에 삶을 영위할 길이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들에게 이슬람의 전파와 함께 이슬람 경제권으로의 편입이라는 제안은 이들에게 매우 매력적이었을 것이다. 시골 어촌 마을에서 새로운 경제 허브(hub)로 도약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 이러한 상황에서 이슬람교의 전파가 강제로 이루어졌다면 그 편이 더 이상했으리라. 여기에서도 우리는 정치와 경제는 결코 떼어놓을 수 없는 한 몸임을 확인할 수 있다.


 말라카는 전적으로 교역을 통해 생계를 이어가는 도시였다. 도시 뒤쪽에는 말라리아를 옮기는 열대림이 우거진 내륙 지역이 있었는데 그곳은 곧 호랑이와 악어의 서식지이기도 했다. 기후는 무더웠고, 습한 열기가 갑옷을 입은 사람들에게서 활력을 빼앗았다. 항구에는 배가 떼릴 지어 모여 있었다. _ 로저 크롤리, <대항해시대 최초의 정복자들> , p234/306


 말라카의 농업은 말레이 반도의 다른 지역에 비하여 활발하지 않았다. 약간의 불이익은 말라카 사람들이 극복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시 외곽 지역은 늪지대에 있었지만, 말라카의 도시는 언덕 위에 있었다. 그 도시는 원래 강어귀에 있는 단순한 지역이었으며, 주요 일자리는 말라카강을 따라 전개된 어업밖에 없었다. _ 파라하나 슈하이미, <말라카> , p12/123


  파라하나 슈하이미의 <말라카>는 15세기부터 16세기 초에 이르는 말라카의 번영을 잘 보여준다. 향신료 무역의 중심지로서 금, 커피, 육두구, 정향 등의 물품이 거래되며 동으로는 중국, 일본과 서로는 아라비아 반도와 이집트 상인들이 출입하는 항구. 이슬람 경제권으로의 편입은 이들을 해상실크로드의 중심지로 만들었고, 말라카로 물산과 화폐로 쏟아져 들어오기 시작하면서 이곳은 세계적인 물류 중심지가 되었다. 이로 인해 말라카는 번영했지만, 새로운 세력이 등장하면서 이는 몰락의 원인이 되었다. 향신료 무역을 위해 희망봉을 돌아 아프리카, 인도를 거쳐 말라카에 포르투갈이 손을 뻗치면서 말라카의 비극은 시작되었다.


 말라카는 향신료 무역의 중심지였다. 이슬람 무역상인들에 대한 이들 상품의 공급은 실제로 유럽인들, 특히 포르투갈인들의 눈을 사로잡았다. 향신료 무역은 포르투갈이 필사적으로 마카오를 차지하려고 했던 첫 번째 이유다. 기독교 복음 전파는 부차적인 이유였을 뿐이다. 그 당시 향신료는 음식의 맛을 좋게 하고, 음식을 보존하기 위해 모든 사람들에게 중요하였다. 아랍상인들의 독점으로 인한 이 카르텔을 깨트리기 위해 서구 무역상들은 불타는 시도로 격랑의 바다에 뛰어들었다.  _ 파라하나 슈하이미, <말라카> , p55/123


 말라카의 금가루는 미낭카바우(Minangkabau)와 파항에서 생산되었다. 정향은 몰루카(Moluccas)에서 나왔다. 커피, 육두구(nutmeg), 그리고 백단(sandwood)은 각각 보루네오, 반다, 그리고 티모르에서 생산되었다. 그와 같은 무역상품 공급은 동양인들과 서양인들의 무역수요를 충족시켜 주었다. 말라카는 무역과 방어의 측면에서 모두 전략적인 위치에 자리 잡고 있었다. 그러나 식량이 부족한 것이 한 가지 문제였다. _ 파라하나 슈하이미, <말라카> , p57/123


 알부케르크는 희망봉을 돌아 동아프리카와 서인도, 동남아시아를 선(線)으로 연결하는 포르투갈 제국을 구상한다. 이는 강력한 대포와 범선을 보유한 인구가 적은 포르투갈이 제국을 이루기 위한 최선의 방안이었으며, 말라카 해협의 정복은 아시아와의 무역을 독점을 의미했기에 반드시 이뤄내야 할 과제였다.


 알부케르크는 열정적으로 연설을 했다. 그는 인도양 전반에 걸친 전략적 계획을 간략히 요약해 설명했다. 홍해에서 무슬림 교역을 옥죄는 것이 궁극적 목표라면, "온갖 풍요로운 상품과 교역의 중심지이자 종점"인 말라카는 그 최종 목표와 연관된 중대한 지점이었다. 그곳은 "온갖 향신료, 약품, 그리고 온 세상 부의 원천이다... 또 후추를 캘리컷에서 떠나는 경로보다 더 많이 메카로 보내는 경로이기도 하다." 말라카 점령은 카이로, 알렉산드리아, 베네치아의 목을 조르고, 더 나아가 이슬람교의 전파를 가로막을 수 있었다. _ 로저 크롤리, <대항해시대 최초의 정복자들> , p236/306 


 처음부터 알부케르케는 광대한 영토를 정복하는 것이 불가능함을 깨닫고 있었다. 해군 기지의 역하를 하는 한편 대포로 무장한 함선에 의해 바다 쪽에서 방어가 가능한 전략적 거점을 많이 차지함으로써만 인도양을 지배할 수 있다는 것도 알았다. 그가 총독으로 재임하는 동안 고아와 말라카, 호르무즈가 각각 1510년, 1511년, 1515년에 정복되었고, 아시아에서 포르투갈의 우위를 확립하는 본거지가 되었다. _ 카를로 M. 치폴라, <대포, 범선, 제국>, p170


 이렇게 시작된 말라카-포르투갈의 전쟁은 카를로 M. 치폴라 (Carlo Maria Cipolla, 1922 ~ 2000)가 <대포, 범선, 제국 Guns, Sails and Empires: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the Early Phases of European>에서 주장한 서구의 우위를 확실하게 보여준다. 대포가 장착된 범선과 이를 활용하는 유기적인 전술의 활용을 통해 알부케르크는 말라카의 중심 다리를 점령하면서 1511년 말라카는 포르투갈에 의해 멸망하게 된다.


 술탄들은 육중한 대포도 필요하였는데, 이를 이용해서 장거리에서 적의 대열을 분산시킬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술탄들은 말라카를 위해 그런 대포를 구입하는 데 찬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요구가 늦게 대두되었기 때문에, 말라카는 포르투갈의 공격을 버텨내기에는 장비가 덜 갖춰진 상태였다. 그래서 그들은 침입하는 함대들을 파괴할 수 없었고, 적들은 도시가 함락될 때까지 반족해서 방어선을 공략할 수 있었다. _ 파라하나 슈하이미, <말라카> , p76/123


 유럽의 팽창 과정을 기술할 때 군비에서 유럽의 우월성은 일반적으로 정적인 현상처럼 묘사된다. 그러나 사실, 15세기 첫 팽창의 물결 이후 유럽의 군비 생산 능력은 질적인 측면에서나 양적인 측면에서나 극적으로 증가했다. 이로 인해 비유럽권의 사람들은 유럽의 팽창에 적절히 대응하기가 극도로 어려웠을 뿐 아니라, 영토 방어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하게 된다. 특히 대포 제작에서 유럽의 진보는 전함의 건조와 해전에서도 마찬가지로 새로운 전략과 기술의 주목할 만한 발전을 동반했기 때문이다. _ 카를로 M. 치폴라, <대포, 범선, 제국>, p85


 16세기 대부분의 기록들은 말라카의 해군에 강력한 리더십이 없었다고 묘사하고 있다. 이 한 가지 약점으로 인해 말라카는 자신의 항구에서 그들의 강력한 자산을 사용하지 못하였다. 일부 기록은 두 명의 해군 제독이 술탄 때문에 불명예스럽게 물러났을 개연성을 보여 주었다. 그래서 항 투아 제독이 수립한 공포 요소는 포르투갈인들이 공격하였을 때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다. _ 파라하나 슈하이미, <말라카> , p83/123


 이슬람의 패배는 해전에서 시대에 뒤떨어진 기술과 전략에서 주로 기인한다. 자신들의 전통적인 적인 베네치아와 몰타기사단 세력과 마찬가지로 오스만 투르크는 대서양 세력이 거둔 해상 혁명의 함의와 중요성을 깨닫지 못했다. 그들은 근대가 이미 시작되었얼 때도 여전히 "중세"에 머물러 있었다. 그들은 본질적으로 인력에 크게 의존했다. 충각으로 들이박고 적선에 올라타 싸우는 구식 전술을 고수했고 전력의 핵심은 언제나 갤리선이었다. _ 카를로 M. 치폴라, <대포, 범선, 제국>, p121


 그렇지만, 결과적으로 말라카의 점령은 알부케르크에게 절반의 승리만을 가져다 준다. 알부케르크는 '호르무즈-고아-말라카'를 잇는 선의 제국을 만드는데 성공하지만, 에스파냐와 포르투갈의 유럽 대륙 외 지역에 대한 분할에 관한 조약 - 토르데시야스 조약( Tratado de Tordesilhas)의 헛점을 파고든 에스파냐와 이를 위해 기꺼이 조국을 등진 마젤란(Ferdinand Magellan, 1480 ~ 1521)의 활약으로 필리핀이 에스파냐 식민지가 되었기 때문이다. 선의 제국이었던 포르투갈에 비해 아메리카 대륙에서 아시엔다(Hacienda)를 활용한 플랜테이션 제도를 운영했던 에스파냐는 무역 뿐 아니라 농업양식을 변화시키면서 결과적으로 아시아 무역에서 우위를 점하면서 포르투갈의 입지는 점차 좁아지다가 결국 17세기에는 네덜란드에 말라카 영유권을 넘겨주면서 포르투갈 제국은 역사 속으로 퇴장하기에 이른다.


 말라카는 1511년 8월 24일 정오에 함락되었다. 적은 성으로 들어와서 보이는 말레이인들을 모두 살육하였다. 강한 충동으로 그들은 왕궁을 평지로 만들어 버렸으며, 이슬람사원을 불태워 버렸고, 묘지에서 모든 묘지석을 뽑아 버렸다. 도시의 이름은 에이 파모사로 바뀌었고, 그 폐허의 잔해는 재건에 사용되었다. _ 파라하나 슈하이미, <말라카> , p86/123


 불행하게도 이런 대담한 확장 정책 - 알부케르크의 제국 건설 정책-은 포르투갈에 예측하지 못한 결과를 가져왔다. 말라카 공격의 부분적 목적은 극동에서 스페인의 야욕을 근절시키는 것이었다. 하지만 그런 목적과는 정반대로, 스페인은 그 사건 덕분에 극동 지역으로 나아갈 수 있는 지도와 정보를 얻었다. _ 로저 크롤리, <대항해시대 최초의 정복자들> , p243/306


 포르투갈은 인도 서부 해안에 위치한 고아를 점령해 아시아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지만, 향료를 안전하게 확보/독점하려면 인도 너머까지 진출해야 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 목표가 된 곳이 말레이반도의 멀라까였다. 1511년 포르투갈령 고아의 총독인 아폰수 알부케르크(재임 1453~1515)는 군함 19척과 군인 1,400명을 이끌고 멀라까를 점령하는데 성공했다. 멀라까를 점령한 포르투갈은 곧 북부 수마뜨라의 아쩨, 그리고 남부 말레이반도의 조호를 상대로, 멀라까해협에 대한 치열한 제해권 경쟁에 빠져들었다. 그 와중에 국제무역항으로서 포르투갈령 멀라까의 위상은 점차 약화했다. 멀라까는 단지 포르투갈 군인, 상인, 관료, 선교사 활동의 중심지가 되어 마치 이슬람 세계 속에 고립된 섬처럼 되어갔다. _ 소병국, <동남아시아사> , p134


 15세기 말라카 왕국의 번영과 쇠퇴를 다룬 이 시기의 역사는 우리에게  무엇을 알려주는가. 먼저 우리는이슬람의 비폭력 확산과 기독교의 무력 전파를 통해 오늘날 이들 지역의 이슬람화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알부케르크는 말라카 전쟁을 십자군전쟁으로 규정지으며 전쟁을 독려했지만, 실상은 달랐다. 말라카에 거주했던 말레이시아인들에게 이슬람 문화권은 하나의 경제블록(bloc)으로 물고기를 잡으며 하루하루를 살던 이들에게 번영을 안겨주었기 때문에 마음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었다. 반면, 십자가를 들고 온 포르투갈인들은 기존의 도시들을 파괴하고 이를 재료 삼아 요새를 건축하고, 제1차 십자군 당시 행해진 예루살렘 학살 때처럼 많은 원주민들을 살해했다. 이같은 상황에서 동남아시아들이 과연 어느 종교를 마음으로 받아들였을까 하는가는 너무도 명확하다. 제1차 세계대전까지 대부분 지역이 서구 열강의 지배아래 있었지만 기독교화하지 못했던 부분,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이 동남아시아 전선에서 크게 확장할 수 있었던 것은 어느 정도 이러한 과거와 연관되지 않을까.


 또한, 우리는 포르투갈이 자본주의 독점이익에만 관심을 갖고 무리하게 말라카를 점령하는데 성공했지만, 이로 인해 빚어진 엄청난 파괴와 약탈은 포르투갈에게 승자의 저주가 되었고, 결국 제국주의 경쟁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었음도 확인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를 과거의 문제로만 생각할 수 있을까. 이 문제의 연장선상에서 '소비중심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교훈도 분명 여기에 담겨 있다. 여기에 대해서는 말라카 무역의 품목 중 하나이기도 한 <육두구의 저주> 리뷰에서 별도로 다루기로 하자.


 마지막으로, 우리는 말라카의 역사 속에서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는 중국 화교와 말레이시아인들의 갈등 문제를 읽을 수 있다. <말라카>의 저자 파라하나 슈하이미는 말라카를 배신한 중국인들이 없었다면, 포르투갈에 의한 점령은 없었을 것이라고 말한다. 여러가지 경제적 혜택을 제공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포르투갈과 손잡은 중국상인들에 대한 저자의 시선은 결코 곱지 않다. 그리고, 이러한 시선은 결코 말레이시아인 저자 개인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었기에 싱가포르가 말레이시아로부터 독립할 수 밖에 없었던 배경이 되었던 것은 아닐까. 분명 우리에게 동남아시아 또는 아시안(ASIAN)은 낯선 지역이다. 중요하지만 낯선 동남아시아 중 한 지역인 말라카의 역사속에서 우리와 관련된 여러 현대 사회 문제를 발견하게 된다. 다소 생소하지만 우리가 말라카와 동남아시아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가를 생각하며 글을 갈무리한다...


 말라카 해협은 14세기 후반 마자파히트(Majapahit) 왕국의 판도에 들어가면서 세상에 알려진 이래 15세기 초 중국 명나라 정화 선단이 이곳을 다녀왔다. 1511년 포르투갈이 점령한 데 이어 서구 열강들의 각축전끝에 1641년에는 네덜란드가, 1824년에는 영국이 각각 점령하였다.  _ 정수일, <해상실크로드 도록> , p183



댓글(8) 먼댓글(0) 좋아요(5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거리의화가 2023-02-06 09:1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오, 중간에 포함된 소병국의 동남아시아사는 저도 사두었는데 제대로 읽지는 못했거든요. 올해 동남아시아사 읽어볼 요량인데 많은 도움이 될 페이퍼네요. 자극 받고 갑니다^^

겨울호랑이 2023-02-06 09:33   좋아요 1 | URL
우리나라에서 동남아시아사와 관련된 책을 찾기가 참 어려운데, 소병국의 동남아시아사는 그런 면에서 큰 흐름을 보여주는 좋은 책이라 생각합니다. 벌써 거리의화가님께서 많은 분야의 책을 다양하게 읽고 계신데, 동남아시아사까지 손대신다면 정말 많은 것을 이루는 한 해가 되실 듯합니다. 거리의 화가님, 좋은 하루 되세요, 감사합니다! ^^:)

그레이스 2023-02-06 09:5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해적이 출몰하던 곳, 한때 해상무역의 요충지 이렇게 알고 있었어요
30개의 도시로 보는 세계사에서 간략하게 정리했었어요
잘 읽고 갑니다

겨울호랑이 2023-02-06 10:14   좋아요 1 | URL
아, 30개의 도시로 보는 세계사에서도 말라카가 나오는군요! 그레이스님 덕분에 좋은 책을 한 권 알아갑니다. 감사합니다. 그레이스님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서니데이 2023-03-13 17:5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달의 당선작 축하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겨울호랑이 2023-03-13 20:19   좋아요 1 | URL
^^:) 항상 이웃을 배려해주시는 서니데이님 덕분에 꽃샘추위을 잠시 잊네요. 감사합니다. 평안한 밤 되세요!

얄라알라 2023-03-19 03:0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겨울호랑이님 축하드립니다^^

육두구의 저주...말라카....연결 고리 엮어 기억해두어야겠습니다.^^

겨울호랑이 2023-03-19 08:32   좋아요 0 | URL
얄라얄라님 항상 감사합니다. 아침 일찍 일어나셨네요. 봄바람이 차갑게 느껴지지만, 행복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
 

 5.4운동 이후, 중국 선각자들은 마르크스주의의 주요 관점을 비교적 구체적으로 소개했다. 그들은 유물사관 측면의 관점에서 사회 발전의 근원을 생산력과 생산관계, 경제토대와 상부구조 사이의 상호 모순 운동에 있다고 보았다. 계급투쟁학설 측면에서, 계급과 계급투쟁의 정의, 계급의 구분과 계급투쟁인 서로 다른 경제이익으로 발생한다는 관점을 설명했다. 그리고 국가는 계급투쟁의 수단이며 무산계급이 정권을 장악해야만 다수인이 소수인에 대한 독재를 실현한다는 등 기본 사상을 집중적으로 설명했다. 잉여가치이론 측면에서, 잉여가치는 자본의 본질을 중심으로 한다. 생산과정에서 자본가가 노동자의 노동 일부분을 무상으로 점유하는 것이다. 이는 무산계급에 대한 착취이고 자본축적의 중요한 구성 부분이라는 등의 관점으로 소개했다. _ 중국공산당중앙당사연구실, <중국공산당 역사 제1권 상> , p155/952  


 중국 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시진핑(習近平, 1953 ~ )주석의 3연임이 확정되고, 상무위원회 자리가 모두 그의 측근들로 채워지면서 덩샤오핑(登小平, 1904 ~ 1997)이후 지속되어온 집단지도체제가 사실상 끝나게 되었다. 이러한 역사 진행을 중국공산당 내부에서는 어떻게 바라본 것인가에 대한 궁금증은 <중국공산당 역사>로 이어지게 된다. 청나라 말기부터 문화대혁명기까지 다룬다는 시대적 제약은 있지만, 공산당의 역사관(歷史觀)을 파악하는 것에는 큰 무리가 없어 보인다.


 상세한 내용은 각 리뷰에서 정리해야겠지만, 대체적으로 <중국공산당 역사>는 역사의 진보와 발전에 대한 긍정적 기대를 담고 있다. 중도의 실패도, 이어지는 혁명의 다른 과제를 부여하는 변곡점으로 이해된다. 마치, 출발점인 원점과 끝점인 문화혁명기의 중국 사이의 점을 직선(直線)으로 연결하고, 좌우 약간의 표준오차만을 인정하며, 필연적으로 공산주의혁명이 도출될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는 역사관 속에서 공산주의자가 아닌 민족주의자들이 '인민의 적(敵)', '배신자'로 그려지는 사관에 대해 긍정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지만, 이 역시 역사철학의 일부임을 일단 인정해야 할 것이다.


마르크스의 역사철학은 헤겔과 영국 고전 경제학이 뒤섞여 형성된다. 그는 헤겔처럼 세계는 변증법적인 정칙에 따라 발전하다고 생각하지만, 발전의 원동력에 대해서는 헤겔과 의견이 완전히 다르다. 헤겔은 '정신 Spirit'이라는 신비적 존재가 <논리학>에 제시된 변증법의 여러 단계에 따라 인간의 역사가 발전하도록 이끈다고 믿었다. 정신이 왜 그러한 단계를 밟아야 하는지는 분명치 않다... 마르크스의 변증법은 법칙의 불가피성을 제외하면 앞서 말한 헤겔 병증법의 특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는다. 마르크스에 따르면 정신이 아니라 물질이 추진력이다. 마르크스에게서 추진력은 실제로 인간이 물질과 맺는 관계이며, 그러한 관계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 생산 양식이라는 뜻이다. 이렇게 마르크스의 유물론은 실질상 경제학이 된다.  _버트런드 러셀, <서양철학사> , p990


 러셀(Bertrand Russell, 1872 ~ 1970)의 <서양철학사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에 서술된 마르크스(Karl Marx, 1818 ~ 1883)의 역사철학이 잘 드러난 역사서임을 새삼 실감하게 된다. 다만, 제국의 중심부가 아닌 주변부인 20세기초의 중국에서 칼 마르크스의 '물질'은 생산양식보다 분배문제인 '토지개혁'에서 더 첨예한 문제로 드러난다는 것은 중국 역사의 특수성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요약하건대, 중국은 아편전쟁에서 패배한 후 점차 반식민지 반봉건 사회로 전락하고 말았다. 나라와 민족을 멸망의 위기에서 구하기 위해 중국 인민들은 간고한 투쟁을 벌였다. 중국의 선각자들은 천신만고를 겪으면서 구국구민의 진리를 모색하며 중국 사회를 변혁하는 여러가지 방안을 시도했다. 이러한 모색과 투쟁은 일정한 역사적 조건에서 중국 역사의 진보를 어느 정도 이끌었다. 그렇지만 중국의 반식민지 반봉건의 사회성격과 중국인민의 비참한 운명까지 바꾸지는 못했다. _ 중국공산당중앙당사연구실, <중국공산당 역사 제1권 상> , p94/95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 장공( 魯 莊公, BCE 706 ~ BCE 662) 10년.


 노장공이 출병하면서 조귀와 더불어 같은 전차를 타고 나가 장작(長勺)에서 제나라 군사와 싸웠다. 노장공이 진격의 북을 울리려고 할 때 조귀가 만류했다.

 "아직 불가합니다."  

 이때 제나라 군사가 세 번이나 북을 울렸다. 그때서야 조귀가 말했다.

 "이제 북을 쳐도 좋을 것입니다."

 과연 노나라 군사가 이때 북소리에 맞추어 진군하자 제나라 군사가 패했다... 노장공이 싸움에서 대승을 거둔 뒤 조귀에게 노나라가 승리한 이유를 묻자 조귀가 대답했다.

 "대저 용병이란 한마디로 병사들의 전의(戰意)에 달려 있는 것입니다. 한 번 북을 치면 병사들의 투지가 치솟습니다. 교전이 이뤄지지 않아 두 번째 북을 치게 되면 투지가 떨어집니다. 그래도 교전이 이뤄지지 않아 세 번째 북을 치게 되면 투지가 완전히 소진되고 맙니다. 적병의 전의가 바닥에 떨어졌을 때 우리가 북을 한 번 쳐서 병사들의 투지를 드높였기 때문에 적들을 이길 수 있었던 것입니다." _ 좌구명, <춘추좌전> 中


 좌구명(左丘明, BC556~BC451)의 <춘추좌전 春秋左傳>에는 강국 제(齊)나라 군대를 약국 노나라 군대가 장작(長勺)에서 격파하는 장면이 묘사된다. 예상을 깨고 노나라가 제나라를 이긴 비결은 군대의 사기(士氣)에 있었다. 군대의 기운을 돋우는데 사용하는 북. 이 북소리도 자주 듣다보면 사기가 바닥에 떨어지게 되고, 전투에서 이길 수 없다는 '일고작기(一鼓作氣)'의 교훈. 하물며, 용기를 북돋우는 북소리도 아닌 이야기가 적전(敵前)에서 계속 나온다면 승패는 결정된 것이 아닐까. 또한, 대선이 끝나고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에 치르는 선거. 저들은 제나라보다 약하지 않고, 우리는 노나라보다 강하지 않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조귀의 교훈을 생각하며 결과를 우려하는 이는 과연 나 혼자만일까... 해당 일화는 풍몽룡(馮夢龍, CE 1574 ~ CE 1646)의 <동주열국지 東周列國志>에도 수록되어 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삭매냐 2022-05-26 11:2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어려서 작고하신 고우영 선생
의 열국지를 읽었는데, 돌이켜
보니 전범으로 삼은 게 풍몽룡
작가의 <동주열국지>가 아닌
가 싶습니다.

겨호님이 말씀해 주신 대로
이렇게 적전분열하는 상태에
서 반타작의 승리조차 요원해
보입니다.

조변석개하는 민심의 풍향은
정말 알 수가 없네요.

겨울호랑이 2022-05-26 11:28   좋아요 1 | URL
고우영 화백께서는 참 다양한 고전을 정감있게 풀어주셨지요... 저도 만화 <십팔사략> <삼국지>를 재밌있게 읽었습니다. 레삭매냐님 말씀처럼 참 쉽지 않습니다만, 돌이켜보면 언제든 쉬운 때가 있었습니까... 여론 흐름이 좋지 않을 때는 물론, 여유있게 앞서 있다고 생각할 때도 누군가의 작은 실수를 침소봉대하는 언론들 때문에 사전 선거 당일에도 불안하던 것이 일상이었던 듯 합니다. 이럴 때는 그저 현혹되지 않고 각자 자신의 길을 걸어가는 것이 정답이라 여겨집니다. 아무리 지금 시끄러워도 자신의 생각을 가지고 실천할 수 있다면 무엇을 걱정하겠습니까. 이기기 쉽지 않겠지만, 쉽게 내주지도 않으렵니다. ^^:)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