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침묵의 봄 - 개정판 ㅣ 레이첼 카슨 전집 5
레이첼 카슨 지음, 김은령 옮김, 홍욱희 감수 / 에코리브르 / 2011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환경에 대한 인간의 공격 중 가장 놀라운 것은 위험하고 때로는 치명적인 유독물질로 공기와 토양과 하천과 바다를 오염시킨 일이었다. 이런 피해를 입은 자연은 원상태로 회복이 불가능한데, 그 오염으로 인한 해악은 생명체를 유지하는 외부세계뿐 아니라 생물들의 세포와 조직들에도 스며들어 다시 되돌릴 수 없는 재난을 불러온다... 핵폭발을 통해 공기 중으로 유출되는 스트론튬 90은 빗물에 섞이거나 낙진 형태로 토양에 스며들어 밭에서 자라는 건초나 옥수수, 밀 등에 침투한다. 그 뒤 그것을 먹은 인간의 뼈 속에 축적되어 그가 죽을 때까지 체내에 남아 있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농경지와 숲, 정원에 뿌려진 화학약품들은 토양 속에 머물다가 생체기관 속으로 흡수되면서 각각의 생명체를 독극물 중독과 죽음의 사슬로 연결시킨다. _ 레이첼 카슨, <침묵의 봄> , p37
레이첼 카슨(Rachel Louise Carson, 1907 ~ 1964)의 <침묵의 봄 Silent Spring>은 살충제 DDT(디클로로디페닐트리클로에탄dichlorodiphenyltrichloroethane), 디엘드린, 알드린 등이 해충(害蟲) 뿐 아니라, 해충의 천적을 비롯한 생태계 전반을 파괴하는 현실에 대해 직접적으로 고발한다. 이와 함께 생물체와 토양에 축적되어 생기는 피해 등에 대해 함께 말하면서, 농산물 생산량의 극대화를 위한 살충제의 무분별한 사용이 빚는 재앙을 지적하면서 1960년대 환경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했다는 점에서 이 책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책의 서문에서 우리는 레이첼 카슨 덕분에 우리가 더 이상 '침묵의 봄'을 맞이하지 않았다는 서문을 접하게 된다. 아마 살충제와 관련해서는 어느 정도 사실일지도 모르겠다. 그렇지만 몬산토(Monsanto), 듀폰(DuPont), 신젠타(Syngenta)등 세계적인 종자회사들이 종자를 사서 파종한 그해에만 수확할 수 있고 다음해에는 종자가 싹트지 않게 유전자를 조작한 터미네이터(terminator)기술, 자사의 특정 농약이 살포되어야 싹이 트고 성장하도록 하는 트레이터(traitor) 기술 등을 통해 번식이 불가능한 종자를 공급하고 이들에 최적화된 농약 등을 패키지로 판매하면서 독과점 체제를 굳히는 현실에서 레이첼 카슨이 직면했던 1960년대 살충제 살포 문제가 오히려 덜 심각해 보이는 요즘이다. 현실이 이러한데 과연 '침묵의 봄'이 오지 않았다고 자화자찰할 수 있을까.
어린 시절에 개천 위에 떠다니던 쓰레기, 공장 굴뚝에서 나오는 검은 매연으로 하루만에 지저분해지는 옷 등은 집진장치 설치 등으로 더이상 볼 수 없지만, 환경호르몬으로 인한 위협은 예전보다 더 심각한다. 이러한 현실은 '침묵의 봄'이 오지 않은 것이 아니라, 보이지 않을 뿐임을 우리에게 알려준다 . 검은 연기는 눈에 띄기 쉽기에 규제가 가능하지만, 무색무취의 오염물질은 규제하기 어렵고 그만큼 우리에게 더 치명적이지만, 이윤극대화를 위해 기업은 파멸적인 선택을 주저하지 않는다. 또한, 레이첼 카슨의 시대 살충제 문제는 사용 효과가 직접적으로 나타나는 반면, 우리가 직면한 종자 문제 등은 지속적이며 누적적으로 피해가 나타나는 '보이지 않은 침묵의 봄' 문제이기에 환경 문제는 더욱 심각해진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이러한 현실에서 <침묵의 봄>은 우리에게 환경 문제에 대한 근본문제를 지적하는 고전으로 자리하고 있음을 실감하게 된다.
<침묵의 봄>에서 레이첼 카슨은 찰스 다윈(Charles Robert Darwin, 1809~1882)의 이야기를 하지만, 같은 논리로 레이첼 카슨이 오늘날까지 살아있다면, 환경오염과 관련한 자신의 이론이 인상적으로 증명되었다는 사실에 이미 우려했던 일이 발생했다고 슬퍼했을 것이다. 레이첼 카슨이 진정으로 자신의 걱정이 기우(杞憂)였음을 알고 안도할 수 있는 그런 세상이 오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을 해야할 것인가. 이 책이 던져주는 과제를 마지막으로 리뷰를 갈무리한다...
만일 다윈이 오늘날 살아 있다면, 적자생존에 관한 자신의 이론이 인상적으로 증명되었다는 사실에 기뻐하면서도 한편으로 놀랄 것이다. 화학방제가 대세인 상황에서 약한 공충은 사라지게 마련이다. 곤충을 제거하려는 인간의 노력과는 상관없이 많은 지역에서 가장 강하고 환경에 잘 적응하는 종들만이 살아남게 되었다. - P29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