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민들레의 비상 - 여성 한국광복군 지복영 회고록 ㅣ 여성독립운동가 시리즈 2
 지복영 지음, 이준식 정리 / 민족문제연구소 / 2015년 7월
 평점 :  
     
 
        
            
            
            
            
            
            
            
  지청천 장군의 딸 지복영 여사에 대해서 여렴풋하게 알고 있었다.광복군을 학생들에게 가르치면서 지복영 여사를 언급했다. "우리 독립군들은 자신의 딸에게도 조국을 위해서 목숨을 바칠 기회를 주었다. NSC가 열렸는데, 군필자가 국방부 장관 1명밖에 없었던 과거 정권 시기의 사실을 떠올릴때, 우리가 독립군에게 무엇을 배워야할지 생각해 보길 바란다."이 말을 학생들이 어떻게 받아들였을까? 우리의 상위 클래스의 인사들과 그 자녀들의 군 면제 비율이 일반인에 비해서 높다는 사실은 너무도 씁쓸하다. 그래서 '민들레의 비상'을 펼쳐들었다. 
  민족문제연구소의 여성독립운동가 시리즈를 읽으며, 독립운동가 가족의 폭풍같은 삶을 보았다. '민들레의 비상'은 다른 여성독립운동가 시리즈 보다도 독립운동가 가족의 삶을 재미있으면서도 실감나게 그리고 있다. 그중에서도 지청천 장군이 두집 살림을 할 수 밖에 없었던 가슴아픈 이유를 이책을 통해서 알았던 부분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지청천 장군은 일본군을 탈출하여 만주 삼원보의 신흥무관학교를 찾아간다. 독립군을 양성하며 불철주야 독립운동에 매진한다. 이때 지청천 장군의 부인은 일제의 탄압을 피해서 잦은 이사를 다녀야했다. 결국, 독립군 정보원이 장군의 부인을 찾을 수 없었고, 결국 일제의 탄압으로 죽었을 것이라는 보고를 한다. 자유시참변 이후, 독립군을 양성하려 불철주야 노력하다가 소련당국에 의해서 감옥에 갖혔던 지청천 장군은 사형집행 하루전에 풀려난다. 그리고 신숙의 의남매가 장군을 간호했다. 이것이 인연이 되어 지청천 장군은 새장가를 간다. 결국, 남편이 있는 만주로 가족을 데리고 탈출한 지청천 장군의 본부인은 이 사실을 알로 망연자실한다. 그러나, 곧 세자녀를 길러야한다는 신념으로 만주에서 부터 시작하여 중국관내의 충칭까지 세자녀에게 자신의 모든 것을 바친다. 
 지청천 장군의 평전을 이미 읽었기에 지청천 장군에 대해서는 잘 안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그것은 나의 착각이었다. 지청천 장군이 두집 살림에 관한 이야기와 그의 딸 지복영 여사에 대한 이야기는 제대로 알지 못했다. 영웅의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주려다보니, 영웅의 인간적인 면모는 놓쳐버린 것이다. 만약 지청천이 일본군에서 자신의 안일을 취했다면 그의 가족이 고통을 당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조국 광복을 위해서 자신의 모든 것을 바쳤고, 때로는 동포 공산주의자들에게 목숨을 잃어버릴뻔했던 그에게 가족의 시련까지 겹쳤다. 
  지청천의 가족은 이러한 시련을 감내하고 조국광복을 위해서 모든 것을 바쳤다. 지복영의 오빠는 농사짓다가 하늘만 멍하니 보더니, 어느날 건너 마을에 갔다고 오겠다고 말하고는 독립군이 되었다. 지복영의 언니는 독립운동가에게 시집갔다가 고생을 많이하고는 두 아들을 잃고 몸져눕더니 결국 결혼한지 8년만에 저 세상으로 갔다. 지복영은 광복군에 입대하여 목숨걸고 초모활동을 하러 안휘성으로 떠났다. 세자녀를 낳았지만, 남편을 다른 여인에게 빼앗기고, 한명은 빨리 저세상으로 보내고, 다른 두명은 생사가 위태로운 광복군에 보낸 지청천 부인의 마음은 어떠했을까?
  여성 독립운동가의 삶을 알고 싶어하는 사람들에게 '민들레의 비상'을 먼저 읽어보라고 말하고 싶다. 독립운동가 가족의 삶을 생생하면서도 재미있게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정한 조국애가 무엇인지를 알려준다. 특히 지복영의 재주를 탐낸 중국인이 중국으로 귀화하라는 권유에 '광복이 된 이후에 당신에게 귀화를 권유하고 싶다.'며 당차게 말한 당당함은 지금도 잊을 수가 없다. 
  단지 아쉬운 것은 지복영 여사가 이 책을 완성하지 못하고 저세상으로 갔다는 것이다. 지복영 여사가 느꼈던 광복의 기쁨과 아쉬움, 이복 형제는 어찌되었는지, 광복 후의 독립운동가 가족의 삶도 이 책에서 그렸다면 더 좋았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