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의 철학자 앙리 베르그송(Henri Bergson)은 '루앙 대성당'을 제대로 보는 방법은, 자리에서 일어나 성당으로 똑바로 걸어간 후 성당 주변을 한 바퀴 돌고 오는 것이라고 했다. 호크니가 좋아한다는 이 일화처럼, 한 방향에서 평면적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찬찬히 둘러보며 입체적으로 바라볼 때 비로소 대상이 제대로 보인다.
누군가는 호크니의 작품이 다루는 소재, 즉 풍경이나 실내, 초상화 등이 가볍다고, 혹은 회화라는 양식 자체가 낡았다고 비판하기도 한다. 그러나 호크니는 그린다는 것이 본질이 무엇인지, 작품으로써 되묻는다. 본다는 것은 언제나, 누구에게나, 매일 다른 것이므로 풍경은 아직도 낡지 않았다. 실험을 계속하는 한 회화에는 여전히 새로운 것이 있다. 그의 그림이 낡은 것으로 느껴지지 않는 이유다. 본질은 어떤 순간에도 바래지 않고 제빛을 낸다. 출처 : 르몽드디플로마티크(http://www.ilemonde.com)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4월호와 이웃분의 소개로 그의 이름을 접하기 전 데이비드 호크니(David Hockney, 1937 ~ )는 내게 낯선 화가였다. 호크니가 유명한 화가이며, 현재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작품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읽게 된 <다시, 그림이다 - 데이비드 호크니와의 대화 A Bigger Message: Conversations With David Hockney>. 책은 호크니의 작품과 인생를 가볍지만, 진솔하게 알려준다. 책에서 그리고 있는 호크니의 모습 중에서도 '평행 투시법'과 '사진과 아이패드를 이용하는 미술가'가 그의 회화를 잘 표현해주는 단어와 이미지라 생각되는데, 이번 페이퍼에서는 이에 대해 적고자 한다.
1. 원근법과 평행 투시법
이제 중심광선이 남아 있습니다. 중심광선은 평면과 맞닥뜨릴 때 어느 방향에서건 인접 각도가 항상 똑같은 유일한 광선입니다. 중심광선의 특징으로는 모든 광선 가운데 가장 예리하고 생동감이 넘친다는 겁니다. 또 중심광선이 위에 놓여 있을 때 그 면적이 가장 커 보인다는 것도 사실입니다... 다른 모든 광선들이 이 중심광선을 한 가운데 두고 에워싸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중심광선을 두고 광선의 리더 혹은 군주라고 합니다... 중심광선의 위치와 거리는 시각 활동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더 없이 큰 역할을 합니다.(p87) <회화론> 中
르네상스 시대를 살았던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Leon Batista Alberti, 1404 ~ 1472)의 <회화론 On Painting> 속에서 원근법(遠近法, perspective)에 대해 위와 같이 설명한다. 중심광선을 기준으로 3차원의 세계를 2차원 평면으로 옮기는 기법인 원근법은 이내 대표적인 기법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같은 시기 원근법으로 유명한 화가 파울로 우첼로(Paolo Uccello, 1397 ~ 1475)는 원근법을 철저하게 구현한 화가였는데, 이는 조르조 바사리(Giorgio Vasari, 1511 ~ 1574)의 <르네상스 미술가 평전 Le Vita De' Piu Eccellenti Architetti, Pittori, et scultori>안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림] 파울로 우첼로, <대홍수 Noah's ark> (출처 :http://www.theflorentine.net/news/2016/03/restored-paolo-uccello-frescoes/)
그(파올로 우첼로)는 원근법 문제에 사로잡혀 소실점을 항상 머릿속에 간직했다. 그는 관찰하는 모든 사물, 즉 들판, 경작지, 개천, 그밖에 모든 자연을 건조하고 딱딱한 스타일로 처리했다. 만일 그가 그림 그리는 데 필요한 사물들을 작품 속에 잘 선택했다면 참으로 완벽했을 것이다... 이 그림은 여러 면에서 우수한 작품이므로 파울로는 상당한 명성을 얻었다. 이 그림의 초상들은 원근법의 선으로 축소되어 있으며, 각종 물건이 그려져 있고, 몇몇 사람이 쓰는 피렌체풍으로 장식된 모자 등이 매우 아름답다.(p578)... 이 그림에는 또 원근법으로 그린 통이 있는데 구부러진 선들이 여간 섬세하지 않다. 또 포도넝쿨로 덮인 격자세공이 그려져 있는데, 그 모퉁이가 소실점으로 멀어져가나 파울로는 여기서 오류를 범했다. 물건이 놓여 있는 평면의 선들이 격자세공의 선과 평행하여 떨어지나 통은 같은 선을 따르지 않았다. 어쩌면 이같이 세밀하고 조심성 많은 화가가 이런 큰 오류를 범했는지 나는 가끔 놀라곤 한다.(p579) <르네상스 미술가 평전 1> 中
르네상스 시대 이후 오랜 기간 동안 회화 기법의 중심에 위치한 원근법을 호크니는 거부한다. 중심광선을 기준으로 입체가 평면으로 재구성되는 원근법 대신 중심선이 없는 중국의 기법에 더 끌린 호크니. 원근법이라는 서양 회화의 전통을 거부하고 새로운 것을 추구한 그의 작품 세계안에서 게이(gay)라는 이유로 영국을 떠나 오랜 기간 미국 LA에서 생활해야 했던 그의 삶을 발견한다면 다소 무리한 해석일까.
초기 회화 작품 중 상당수는 평행 투시법으로 제작했습니다. 이는 하나의 소실점이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항상 그 방식이 더 좋다고 생각했습니다.(p57)... 나는 외부의 소실점과 내연 기관을 소개한 것은 서구의 큰 실수였다고 말해왔습니다. 외부 소실점은 당신을 밖으로 멀리 밀어냅니다.(p58) <다시, 그림이다> 中
[그림] 중국 고전 회화(출처 : http://kr.chnmuseum.cn/tabid/705/Default.aspx?ExhibitionLanguageID=212)
우리는 고정된 시점에 갇혀 있습니다. 그러나 중국의 그 두루마리 그림을 볼 때는 거대한 도시 곳곳을 돌아다녔습니다. 이는 엄청난 차이입니다... 두루마리 전체를 펼칠 수는 없습니다. 계속 돌려가며 보아야 합니다. 따라서 양 측면에 경계선이 없습니다. 아래쪽 경계선은 보는 사람이고 위쪽 경계선은 하늘이 됩니다. 그러므로 책으로는 두루마리 그림을 볼 수 없습니다. 책에서는 책장이 접히면서 넘어가기 때문이지요.(p179)... 이제 우리는 중국인들이 11세기에 소실점의 개념을 거부했다는 것과 그 이유가 보는 이가 거기에서 사라지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보는 이가 움직이지 않는 것이지요. 움직이지 않는다면 그것은 어떤 측면에서는 죽음을 의미합니다.(p180) <다시, 그림이다> 中
2. 사진과 아이패드를 이용하는 미술가
<다시, 그림이다> 안에서 호크니는 사진에 대해 부정적인 자신의 입장을 밝힌다. 우리가 실제라고 믿게 만드는 사진의 이미지는 우리가 보는 방식으로 현실을 보여주지 않는다. 호크니에 따르면 기하학적인 복제만으로는 현실을 제대로 볼 수 없다. 여기에 심리적인 해석이 더해져야 비로소 온전한 인식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의 작업 방식은 이러한 철학 위에 이루어진다.
사진은 우리 모두가 매우 따분하고 비슷한 방식으로 보게 합니다... 우리는 미술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엄청난 수의 이미지들이 만들어지고 있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그 이미지들은 훨씬 더 의심스럽습니다. 그것들은 사실이라고 주장하기 때문입니다.(p52)... 우리는 사진이 궁극적으로는 실제라고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카메라는 기하학적으로 대상을 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그런 방식으로 보지 않습니다. 부분적으로는 기하학적으로 보지만 또한 심리적으로 보기도 합니다.(p53) <다시, 그림이다> 中
TV 영상은 그다지 좋지 않습니다. 우리는 TV 영상과 같은 방식으로 보지 않습니다. 우리는 항상 훑어보고 초점을 이동합니다. 그런데 그런 영상을 위해 카메라는 고정되어야 하고 많이 움직일 수 없습니다. 마치 세계에 대한 실물 크기의 복제품을 만드는 사람과 같습니다. 그것을 어디에 두겠습니까? 중요한 것은 세계를 복제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를 해석하는 것입니다.(p164) <다시, 그림이다> 中
회화가 삶에 대한 끊임없는 재해석이라는 호크니의 관점에서 사진은 '관점의 복제'라는 장점을 가진 매체였다. 그래서, 사진을 통해 여러 관점을 조망하고 이를 조합해서 전체를 바라보고 자신의 예술에 담아내는 방식으로 호크니는 작품을 탄생시켰다.
화가는 단순히 캔버스나 종이에 저점 더 많은 물감을 덧칠하는 것이 아니다. 참신한 생각과 관찰을 계속하면서 각각의 생각과 관찰을 통해 이전의 것들을 조정해나가는 것이다... 인간의 많은 경험은 층 쌓기이다. 층 위에 또 하나의 층을 쌓는 것처럼 우리는 과거와 비교하면서 현재를 이해하고 그 이후로 더 많은 층을 더해가며 현재에 대해 생각한다. 그리고 그에 따라서 우리의 관점은 변해간다.(p115) <다시, 그림이다> 中
호크니는 한 번에 하나의 캔버스만을 그렸고, 작업을 마치며 J-P가 모든 것을 사진으로 찍고 출력했다. 이를 통해 호크니는 이전에 한 작업과 지금 하고 있는 작업을 언제든지 항상 비교해볼 수 있었다. (호크니) 거의 즉각적인 복제가 가능한 디지털 사진이라는 컴퓨터의 기능을 활용했습니다. 디지털 사진을 통해 직사각형의 전체 화면을 구성해가면서 모든 것을 함께 볼 수 있어 작품 전체의 진행 과정을 즉시 확인하는 것이 가능했습니다... 컴퓨터는 매우 훌륭한 도구이기는 하나 그것을 잘 사용하려면 상상력이 필요합니다.(p73) <다시, 그림이다> 中
새로운 기술을 배척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예술을 위해 적극 활용하는 호크니의 열린 마음은 사진의 활용에만 그치지 않는다. 아이패드(ipad)를 이용해서 그림을 그리는 그의 모습은 하나의 소실점에 머무르지 않고 원근법을 탈피한 그의 기법과도 연결된 듯하다. 그리고, 이러한 그의 자세를 통해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이한 우리에게 하나의 본보기라 여겨진다.
아이패드의 훌륭한 점은 스케치북과 같다는 것입니다. 또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준비된 물감을 비롯한 모든 것을 항상 가지고 다닐 수 있지요.(p192)...투명함을 그리는 것은 흥미로운 일입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시각적으로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한 것이니까요.(p195)... 한편 아이패드가 가져다준 전혀 새로운 측면은 드로잉의 과정이 손가락을 두드리며 반복될 수 있다는 점이었다.(p196) <다시, 그림이다> 中
<다시, 그림이다> 안에서 호크니는 자신의 그림뿐 아니라 인생(人生)에 대해 여러 이야기를 들려준다. 말에 담긴 그의 생각을 조금이라도 알고 간다면 그의 그림에 대해 더 깊이 있는 이해를 하게 되지 않을까. 이 정도로 호크니에 대해 예습은 마치도록 하고, 이제는 시간을 내어 전시회에 갈 일만 남은 듯 하다...
사람과 로봇이 맺을 수 있는 관계는 서로 돕고 사는 공생이다. 대표적인 시나리오는 <마음의 아이들 Mind Children>에 제시된 마음 이전 mind transfer이다. 사람의 마음을 로봇으로 옮기는 과정은 '마음 업로딩 mind uploading'이라 한다. 사람의 마음이 로봇으로 이식되면 사람이 말 그대로 기계로 바뀌게 된다. 로봇 안에서 사람의 마음은 늙지도 죽지도 않는다. 마음이 사멸하지 않는 사람은 결국 영원한 삶을 누리게 되는 셈이다.(p14) <마음의 아이들> 해제 中
[그림] 호크니, <첨벙> (출처 : https://www.telegraph.co.uk/culture/art/art-reviews/9672351/A-Bigger-Splash-Tate-Modern-review.html)
PS. 야마모토 요시타카(山本義隆)은 <16세기 문화혁명>에서 알베르티의 원근법을 과학 혁명의 출발점으로 해석한다. 원근법이 수학과 이성으로 대표되는 과학을 대표하는 미술 방식이라면 호크니의 평행 투시법은 이성과 과학의 시대를 넘어 새로운 시대 정신을 표현하는 기법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그것이 11세기 중국 미술에서 이미 표현된 기법이라면 동양철학에서 21세기 시대 정신을 발견하는 작업의 연장선상이 아닐까...
알베르티의 이론은 협의의 원근법에 머무르지 않고 3차원의 공간과 물체를 2차원 도상으로서 평면 상에 표현하는 과학적 방법을 일반적으로 고찰한 것이었다. 이는 근대 기술과 과학에서 매우 중요한 한 걸음이었다... 3차원 구조물에 대한 2차원적 표현 기법은 동시대 화가와 기술자의 손에 의해 한층 진보했다.(p66) <16세기 문화혁명>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