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노아 문명과 미케아 문명이라는 에게 해 문명의 토양을 이어받아 그리스는 예전과는 다른 독특한 문명을 구축하게 되었지요. 해안가에 폴리스라 불리는 조그만 도시국가들이 형성되었고, 이들은 민주주의라는 정치 제도를 발명해 냈습니다... 그리스는 인간중심주의라는 축을 잡고 개성적인 문명을 이루었습니다.(p335) 「 난생 처음 한번 공부하는 미술 이야기 2」에서
그리스의 조각은 민주주의적 공동체를 표현하는 신성한 상징이었습니다. 이에 비해 로마 공화정 시기의 조각은 공화제라는 복잡한 정치체제 안에서 개인이 지녀야할 가치, 즉 시민의 덕성을 보여주었죠. 하지만 제정 시대가 되면 조각상을 비롯한 미술 작품이 개인의 사유물이 됩니다.(p503) 「난생 처음 한번 공부하는 미술 이야기 2」에서
그리스의 폴리스에서 행해진 민주주의의 영향으로 그리스 미술에는 이전 시대와는 달리 ‘개성‘이 표현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로마 미술은 그리스 문화와 기독교 문화를 제국 전역으로 확산시켰다는 점에서 평가받을만하다. 그렇지만, 가라타니 고진이 지적한 바와 같이 로마의 포용과 융합이 ‘제국‘이라는 구조에 기반한 것임을 고려해본다면, 미노아 문명에 미친 이집트/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영향과 마찬가지로 그리스/로마 문명에 내재한 오리엔탈 요소는 의도적으로 무시되었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게 된다...
부정할 수 없는 건 로마가 서양문명의 근간을 형성하는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사실이에요. 민주주의를 구축했던 그리스의 유산을 이어받았을 뿐만 아니라 기독교의 유산도 계승하여 유럽 전역에 이식했으니까요.(p531) 「난생 처음 한번 공부하는 미술 이야기 2」에서
로마도 처음에는 그리스와 같은 폴리스였지만, 헬레니즘제국보다는 그보다 선행하는 페르시아제국의 원리를 받아들였을 때 마침내 제국이 될 수 있었습니다... 그것을 뒷받침하는 것은 거대한 관료기구와 세금을 확보할 수 있는 한 각지의 관습을 존중한다는 ‘제국의 원리‘였습니다.(p121) 「제국의 구조」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