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54. 나라는 좀처럼 조용해지지 않았다. 왜냐하면 예루살렘에 시카리파라는 새로운 강도단이 등장했기 때문이다. 그들은 환한 대낮에 도시 한가운데에서 살인을 일삼는 자들이었다. 255. 특히 그들은 축제일에 무리 가운데 섞여 있다가 옷 속에 숨겨둔 칼로 상대방을 찔러 살해했다. 적이 쓰러지면 살인자들은 군중 사이로 숨어들어가 무리의 일부인 것처럼 행세했다. 이런 뻔뻔한 행위가 도처에서 자행되었다.(p228)... 2.408. 이때 무슨 수를 써서라도 전쟁을 일으키려고 하던 유대인들이 함께 모여 마사다라고 불리는 요새로 쳐들어갔다. 그들은 이곳을 급습하여 차지하고 로마 경비병들을 죽였으며 그곳에 자기편 소속의 군인들을 배치했다... 409. 대제사장 아나니아의 아들로 당시 제사를 주관하던 자들을 감독하던 용감한 젊은이 엘르아살은 이방인으로부터 어떠한 예물이나 희생제물도 받지 말라고 명령했다. 로마와의 전쟁 시작의 원인은 바로 이것이었다._ 플라비우스 요세푸스, <유대 전쟁사 1>, p258


 플라비우스 요세푸스(Flavius Josephus, AD 37 ~ AD 100 ?)의 <유대 전쟁사 The Wars of the Jews>는  AD 70년 경에 있었던 안티오쿠스 에피파네스(Antiochus IV, BC 215 ~ BC 164)의 예루살렘 침공부터 마사다(Massada)에서의 최후의 저항까지의 역사를 다룬 역사책이다. 처음에는 유대 저항군의 입장에서 서 있다가 이후 베스파시아누스(Titus Flavius Vespasianus, AD 9 ~ AD 79) 장군(후에 황제)에게 투항한 이후 로마군의 입장에서 예루살렘 함락까지를 지켜보게 요세푸스. 그는 유대 전쟁의 시작을 대제사장 아나니아의 아들 엘르아살의 마사다(Massada) 요새 점령으로부터 잡는다. 그리고, 아이러니 하게도 유대 전쟁의 마지막도 바로 이 요새에서 장식하게 된다. 최초이자 최후의 항쟁지 마사다 요새. 그곳은 어떤 곳인가.


 1.252. 플라비우스 실바가 유대지역의 통치권을 물려받았다. 그는 모든 유대지역이 로마에 정복당했음에도 불구하고 단 하나의 요새가 아직도 반역을 도모하고 있음을 알고, 흩어져 배치되어 있던 병력을 모두 집결시켜 이 요새를 치러 갔다. 이 마지막 요새는 바로 마사다였다. _ 플라비우스 요세푸스, <유대 전쟁사 2>, p283

  

[사진] Massada(출처 : https://www.secrettelaviv.com/best/activities/massada)

 

 마사다 요새는 이스라엘의 초급 장교들이 임관 직전에 반드시 방문하는 곳으로 알려져있다. 로마군의 공격으로 예루살렘(Jerusalem) 함락 후 최후의 저항을 한 곳으로 알려진 마사다 요새. 생존자 없이 전원 자결하여 비장함을 풍기는 이곳에서 이스라엘 청년 장교들은 같은 비극을 되풀이하지 않을 것을 맹세한다고 들었다. 이를 장교 임관 전 남한산성(南漢山城)에 올라 삼전도(三田渡)의 굴욕을 되새기는 프로그램 중 들었던 기억이 난다. (개인적으로는 이스라엘의 마사다 요새와 같은 의미를 남한산성이 지니고 있는가에 대해 의문을 갖고 있다. 그보다는 한강대교에 가서 한국전쟁 당시 수뇌부의 수많은 피난민과 군인들이 건너고 있는 한강다리를 끊고 도망갔었던 아픈 역사를 되새기는 편이 보다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어쨌든, 이런 이유로 우리에게도 '마사다'는 비장한 장소로 여겨지지만, 당시의 상황을 지켜본 역사가 요세푸스의 눈에는 그렇게 비춰지지 않았나 보다. 그의 눈에 마사다에 모인 이들은 광신도(狂信徒, zealot)에 불과하다.


 253. 마사다 요새를 지키던 시카리파 수장 엘르아살은 매우 큰 영향력을 지닌 인물이었다. 그는 앞서 언급한 바 있는 유다의 후손으로, 이 유다는 퀴리니우스가 유대 총독으로 부임했을 때 실시한 인구조사를 거부하라고 많은 유대인을 선동한 자였다. 254. 시카리파 유대인들은 로마에 항복한 자들을 적으로 간주하여 그들의 재산을 강탕하고 집에 불을 질렀다. 255. 그들은 유대인들이 그토록 간절히 자유를 지키려고 투쟁해온 노력을 불명예스럽게 포기한 채 로마인의 속박 아래로 스스로 몸을 내던진 자는 이방인과 다를 바 없다고 주장하면서 자신들의 행동을 정당화했다. 256. 왜냐하면 시카리파는 이들과 더불어 반란에 가담하여 로마군을 상대로 전쟁을 벌였던 동족 유대인들에게 가장 지독한 일을 행했기 때문이다. 258. 더욱이 시카리인들은 자신들의 위선을 드러나자 그들의 악행에 대해 정당한 비난을 퍼붓는 동족들을 더 가혹하게 다루었다... 260. 개인적이든 혹은 사회적이든 간에 모든 사람이 마치 전염병에 걸린듯이 범죄에 물들여 있었다... 262. 가장 일선에서 동족에게 불법과 만행을 저지른 자들은 바로 시카리인들이었다. _ 플라비우스 요세푸스, <유대 전쟁사 2>, p283


 처음에는 사두가이파에서 바리사이파로 개종하고, 다시 로마군에게 투항한 요세푸스. 동족들의 입장에서 본다면 요세푸스는 변절자겠지만, 유대 전쟁 전체를 떨어져서 바라본 그의 시선은 냉정하다. 그에게 메시아(Messiah)의 재림을 기대하며 전쟁을 주장한 시카리파와 젤롯당들은 예루살렘 파괴의 원인제공자에 지나지 않는다.


 268. 이들은 유대 사회의 모든 질서를 남김없이 파괴하고 온통 무법천지로 만들어 놓았다. 그 결과 이른바 젤롯당으로 불리는 족속이 활개를 치게 되었다. 이들은 젤롯이라는 이름대로 행위에 열심을 다하는 자들이었다... 270. 그들은 선한 일에 열심을 다한다는 뜻에서 스스로를 열심당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열심'이라는 말의 뜻을 야만스러운 성품으로 간주했던지, 혹은 가장 흉악한 범죄를 선한 일이라고 여겼던지, 사실상 그들은 그 이름을 조롱거리로 삼을 만한 행위를 일삼았다._ 플라비우스 요세푸스, <유대 전쟁사 2>, p285


 광신도의 열정이 부른 마사다의 비극. 요세푸스의 <유대 전쟁사>의 마지막 주제다. 이 사건 이후 유대 민족은 자신들의 나라를 가지기까지 2,000여년의 시간을 더 기다려야 했다. 그렇지만, 더 큰 비극은 역사가 반복된다는 사실이 아닐까. 광신도들의 잘못된 믿음이 가져온 폐해는 어제 오늘날의 문제는 아니지만, 2020년 광화문 집회 이후 이 문제는 더욱 아프게 다가오고, 우리의 삶이 비극(悲劇)으로 가는 듯 하다.

 

훌륭한 플롯은 단일한 결말을 가져야지, 일부 사람들이 말하듯 이중의 결말을 가져서는 안 된다. 주인공의 운명은 불행에서 행복으로 바뀌어서는 안 되고 행복에서 불행으로 바뀌어야 한다. 그러나 그것은 비행 때문이 아니고 중대한 하마르티아(hamartia 과실) 때문이어야 한다. _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제13장 11 ~ 15, p385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BC 385 ~ BC 323)의 <시학 peri Poietikes>에서는 훌륭한 비극의 플롯을 '중대한 과실에서 오는 행복에서 불행으로의  전환'을으로 언급한다. 연일 쏟아지는 확진자 안내 문자를 보면서 얼마전까지 'K방역'의 성공이 또다른 시카리파에 의해 훼손받고 있음을 절감한다. 비록, 지금은 우리의 현실이 비극의 플롯요소를 잘 갖추고 있지만, 아직 극(劇)은 끝나지 않았기에 조용히 집에서 주말을 보낸다. 누가 또 알겠는가. 헨리크 입센(Henrik Johan Ibsen, 1828 ~ 1906)의 <인형의 집 Et Dukkehjem >에서처럼 일반 대중들이 강력히 희망하면 작품의 결말이 불행에서 행복으로 바뀔런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마 2020-08-30 09:5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유익한 글 잘읽고 갑니다...저도 꼭 사봐야겠네요...^^

겨울호랑이 2020-08-30 14:02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하마님 즐거운 독서, 건강한 하루 되세요!^^:)
 


 완전경쟁 시장에서 가격이 하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유일한 방법은 '외부의 개입'이다... 한 경쟁적 산업이 그 생산물의 가격을 유지하는 데에 어떻게 정부의 도움을 받게 되는가? 경쟁적인 한 산업을 가정해 보자. 그 산업에 속한 생산자 대부분이 생산물의 가격을 인상하기 위해 관세, 가격지지 프로그램, 또는 그 밖의 다른 형태의 정부 개입을 바란다고 가정해 보자. 정부로부터 이러한 지원을 받기 위해 당해 산업의 생산자들은 아마 로비 조직을 결성해야만 할 것이다. 다시 말해, 그들은 압력단체로서 활동해야만 할 것이다. 이 조직은 상당한 캠페인 campaign을 벌여야만 할 수도 있다. _ 멘슈어 올슨, <집단행동의 논리, 공공재와 집단이론>, p14


 멘슈어 올슨(Olson, Mancur, Jr., 1932 ~ 1998)은 <집단행동의 논리, 공공재와 집단이론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Public Goods and the Theory of Groups>에서  공동이익(共同利益)을 공유한 개인들이 각자의 이익을 위해 조직 활동의 비용을 어떻게 부담하는 것이 최선인가를 분석한다. 먼저, 개인들은 공동이익의 추구를 위해 로비(lobby) 조직을 만들고, 여기에는 비용이 발생한다. 그렇지만, 공공재(公共財) 성격을 가지는 조직의 특성상 로비 집단은 구성원들에게 마치 세금과 같은 강제 과세, 의무가입을 요구하게 된다.


 마치 한 특정 생산자가 그 산업 전체로서 더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도록 자신의 산출량을 제한하는 것이 비합리적이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그가 산업 전체를 위한 정부의 지원을 얻어내기 위해서 시간과 자금을 들여 로비 조직을 결성하고 유지하는 것도 합리적인 것은 아닐 것이다._ 멘슈어 올슨, <집단행동의 논리, 공공재와 집단이론>, p15


 국가가 자발적 부담 또는 납부로는 생존해 나갈 수 없고 반드시 '강제적인' 조세에 의존하지 않으면 안 되는 이유는 국민국가가 제공하는 가장 기본적인 서비스들이 어떤 측면에서는 경쟁시장에서의 높은 가격과 같다는데 있다.... 정보가 제공하는 공동의 혜택 혹은 집합적 혜택을 일반적으로 경제학자들은 "공공재 public goods"라고 부른다. 이에 대해서는 강제적 과세 課稅가 필요하다._ 멘슈어 올슨, <집단행동의 논리, 공공재와 집단이론>, p19


 저자 올슨은 정부의 공공재와 같은 성격을 노동조합이나 전문직종의 협회에서도 발견하면서, 이들이 강제 가입을 통해 통제력과 협상력을 강화했음을 말한다. 일반 노동조합의 영향력보다 이들 전문가 협회는 지식의 배타성으로 해당 분야에서 테크노크러시(Technocracy)를 하는 집단이니만큼 이들이 가진 영향력은 거의 절대적이다. 그런 면에서 우리나라의 대한의사협회도 길드를 지향하는 '소정부'라는데 다른 의견이 없을 듯하다.


 법조인과 의사처럼 번창하는, 그리고 명예스러운 전문 직종을 대표하는 많은 조직도 '강제 가입제'라는 금단의 과일에 손을 뻗쳐왔다. 사실 전문 직능단체 전반에서 '강제성'에 의존하는 경향이 넘친다. 딜런시 Frances Delancey는 "심지어 이 경향은 직업적 길드 guild를 향하고 있다."고 말한다... 더 나아가 현대의 전문 직능단체나 길드는 "소 小 정부" miniature government(정부의 축소판)와 유사해지기 시작했다. 그들은 정부가 행사하는 모든 유형의 권력이 있다. 공공재와 집단이론>_ 멘슈어 올슨, <집단행동의 논리, 공공재와 집단이론>, p217


 보건복지부와 대한의사협회와의 최종 협상이 결렬되면서, 21일부터 의사 총파업이 예정되어 있다. 공공의대 설립, 저수가 등 여러 이유가 복합적으로 맞물린 이번 사태의 본질을 보는 것은 쉽지 않다. 의사들을 제외한 절대 다수의 이해관계가 반대편에 있기 때문이다. 선뜻 동의하기는 어렵지만, 공공의대설립과 관련한 문제점과 파업에 나설 수 밖에 없는 의사의 입장에도 내가 이해하지 못하는 이유가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비록, 내가 의사 집단에 속하지 않지만, 노동 3권이 헌법에 보장되어 있는 이상 이들은 단체행동을 할 정당한 권리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결정적으로 파업을 하는 시기가 잘못되었음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15일 극우세력의 광화문 집회로 인해 확진자 수가 급증하며, 하루 종일 확진자 동선 안내 문자를 받으며 코로나 19의 대규모 재유행을 걱정하는 시기에 이들이 벌인 행동은 의료인들의 손길이 필요한 결정적 순간에, 자신의 몸값을 높여 이익을 챙기려는 얕은 술수로 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전 국민이 위기감을 느낄 때, 의료인들이 보인 행태는 제2차 포에니 전쟁 당시 칸나에 전투(Battle of Cannae, BC 216)에서 대참패를 당한 로마의 뒤통수를 가격한 카푸아(Capua)의 배신을 떠올리게 한다. 

 

 대규모의 군대가 적에게 이토록 적은 손실만 입힌 채, 전쟁에서 이처럼 완벽하게 전멸한 사례는 칸나이의 로마군이 유일할 것이다. 한니발은 6,000 명이 채 못 되는 병력을 잃었지만, 그 가운데 2/3은 로마군단의 첫 공격이 집중되었던 켈트족이었다. 반면 전선에 배치된 로마군 7만 6,000명에서, 집정관 루키우스 파울루스와 대리집정관 그나이우스 세빌리우스, 장교들의 2/3, 원로원 의원 80명을 포함한 시신 7만 구가 전장을 덮었다. 집정관 마르쿠스 바로만 재빨리 판단해 베누시아로 말을 몰아 목숨을 부지했다. _ 테어도르 몸젠, <몸젠의 로마사 3>, p188


 하지만 다른 무엇보다 결정적으로 힘들었던 것은, 힘들었던 전쟁 초기 2년 동안의 충격에도 흔들리지 않고 버틴 로마 연방이라는 건축물이, 마침내 결속력이 약해지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로마 식민도시 루케리아와 브룬디시움 때문에 심한 피해를 받았던 오래된 두 도시, 그러니까 아풀리아의 아르피와 메사피아이 우젠툼이 한니발 측으로 넘어갔다... 마지막으로 이탈리아 제2의 도시였던 카푸아는 3만 명의 보병과 4,000명의 기병을 전장에 배치할 수 있었는 바, 한니발 측으로 넘어감에 따라 주변 도시 아텔라와 칼라티아에도 영향을 미쳤다._ 테어도르 몸젠, <몸젠의 로마사 3>, p192


 여러가지로 힘든 시기를 잘 이겨내고, 하반기에는 나아지겠지라는 바람이 눈 앞에서 깨지는 것을 보고 참담함을 느끼지 않은 이는 별로 없을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자신들의 이익을 내세우며, 전선에서 이탈하는 이들을 보면서 느끼는 배신감이 대한의사협회를 바라보는 일반 국민들의 공통적인 감정이 아닐까.


  의사들은 누구나 의사가 될 때 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 of Cos, BC 460 ? ~ BC 375 ?)의 선서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는 <선서> 이외에도 여러 저술을 남겼는데, 그 중 <의사의 마음가짐>에는 사례금과 관련한 이야기가 나온다. 의료 수가 문제, 의사 수 확대 문제 모두 경제 문제와 연관되어 있고, 이는 환자들의 진료비와 건강보험과 직결된 문제라 했을 때, 히포크라테스가 남긴 말은 의미 심장하다.


 다음은 사례금에 관한 것이다. 만일 당신(의사)이 치료에 앞서 환자에게 사례금에 대한 얘기를 꺼내고 환자와 당신 사이에 의견이 모아지지 않으면, 액수가 너무 많다고 생각하는 환자가 진료를 거부하거나, 아니면 당신이 응급 처치를 하지 않거나 환자를 돌보는 것을 소홀히 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보수에 대하여 환자와 입씨름하지 말아야 한다. 이러한 염려는 병고에 시달리는 사람, 특히 급성 환자에게 매우 해로운 것이다. 질병이 진행되는 동안 사례금 문제로 치료의 적절한 시기를 놓쳐 눈물을 흘리게 하는 행위는 용서받지 못할 것이다. 모름지기 훌륭한 의사가 추구해야 할 것은 금전적 이익이 아니라 명예이기 때문이다. 질병을 않고 있는 환자를 조속히 처치하는 것은 죽음을 눈앞에 둔 사람으로부터 유산을 받는 것보다 유익한 일이다._ 히포크라테스, <의학이야기>, <의사의 마음가짐>, p13


 의사(醫師)는 다른 직종과는 달리 선비 사(士)를 쓰지 않고, 스승 사(師)를 쓴다. 이는 사람의 생명을 다루는 일에 대한 존중의 의미가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최근 의사협회에서 보이는 모습을 보면, 스승이 아닌 '사(邪)'를 느끼게 되어 유감이다. 마지막으로, 의사들이 초심을 가지고 <선서>에 충실하길 바란다. 그리고, <선서>을 의학(醫學)의 신(神) 아스클레피오스(Asklepios)가 그대로 이뤄 주기를 희망한다. 특히, 마지막 대목의 실현을...


[사진] hippocrates oath(출처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Hippocratis_jusiurandum.jpg)


 마지막으로 신들께 바라나니, 만일 내가 이 선서를 지키고 파괴하는 일이 없다면 영원히 모든 사람들로부터 좋은 평판을 얻고 생애와 기술을 즐길 수 있도록 허락해 주십시오. 또한 만일 이 선서를 파괴하고 지키지 않는 일이 있다면 그 반대의 보답이 있도록 하십시오._ 히포크라테스, <의학이야기>, <선서>, p10


PS. 로마를 배신한 카푸아는 그로부터 6년 뒤 처절한 응징을 받게 된다...


 (카푸아 반란에 대한) 벌은 가혹했다. 하지만 카푸아 반란의 심각성을 고려하면, 그리고 바람직하지는 않아도 당시의 일반적인 전쟁 관례를 고려하면, 납득이 되는 수준이었다. 하지만, 로마가 이 기회를 빌미로, 캄파니아 주정부를 철폐함으로써 이탈리아의 두 대도시 간에 오래도록 팽팽히 내재되어 있던 경쟁심을 충족시키고, 시기와 질투의 대상이던 경쟁자를 정치적으로 완전히 와해한 일은 온당하지 않았다._ 테어도르 몸젠, <몸젠의 로마사 3>, p248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은빛 2020-08-21 20:0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평생 의사라는 직업에 대해 그리고 의료행위에 대해 아무런 관심도 없이 살다가 최근 교통사고로 병원에 입원해 수술과 치료를 받으면서 처음으로 의료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었어요. 말씀하신 것처럼 여러 복합적인 원인이 엮여 있으니 섣불리 판단하기 어려운 것이 맞겠고, 또 말씀처럼 시기가 잘못된 것도 맞는 것 같아요.

겨울호랑이 2020-08-21 20:46   좋아요 0 | URL
공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여러 모로 어수선한 요즘입니다. 걱정이 되지만,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각자의 자리에서 지금 할 수 있는 것을 하는 것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감은빛님 건강하게 주말 보내세요!^^:)
 


 전체의지와 일반의지 사이에는 대체로 커다란 차이가 있다. 일반의지가 공동이익만을 고려하는 반면, 전체의지는 사적 이익을 고려하는 개별의지들의 총합일 뿐이다. 그러나 이런 개별의지들에서 서로 상쇄하는 넘치거나 부족한 의지들을 빼면 그 차이들의 총합으로서 일반의지가 남는다... 일반의지는 언제나 옳고 항상 공익을  지향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이 인민이 심의 deliberations du peuple가 언제나 그처럼 공정하다는 결론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사람은 언제나 자기에제 좋은 것을 원하지만, 그것이 무엇인지를 항상 알지는 못한다. 인민은 절대로 매수되지 않지만, 종종 속아 넘어간다. 인민이 자기에게 나쁜 것을 원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이때뿐이다. _루소, <사회계약론>, p46


 루소(Jean-Jacques Rousseau, 1712 ~ 1778) <사회계약론 Du Contrat Social ou Principes du droit politique)에서 사회를 '의지의 결합'으로 바라본다. 인간이 이성(理性)을 갖추게 된다면 자기보존과 자기에 대한 관심으로 자유롭게 판단을 내릴 수 있으며, 계약을 통해 사회를 구성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사회 구성원들인 인민의 의지는 대체적으로 공익(公益)으로 수렴한다.


 (과두정 이후) 타락의 다음 단계는 플라톤이 '민주정'이라고 부른 것이었다. 그는 사회 질서와 권위가 완전히 땅에 떨어지고 사람들은 자기 원하는 대로 뭐든 할 수 있는 무법 상태를 기술하고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민주정적 품성은 무법적인 것이며 무질서한 것이다. 그 품성은 '불필요한' 욕구들, 즉 모든 일시적인 욕구와 변덕의 통제되지 않은 난잡한 추구에 의해 지배받고 있다._숀 세이어즈, 플라톤 <국가> 해설, p250


 이에 반해, 플라톤(Platon, BC 428 ~ BC 348)의 국가(Politeia(는 '필요(chreia)'에 의해 구성된다. 사회구성원들이 각자 자신에게 주어진 성향(physis)에 맞게 사회적 분업을 할 필요를 느끼고, 이것이 활성화되면서 공동체는 커져간다. <국가>에서는 이렇게 만들어진 정체 중 과두정(oligarchy)이 민주정(demonkratia)로 옮겨가고, 민주정이 다시 참주정(tyrannos)으로 옮겨가는 과정이 설명된다. <국가>에서 플라톤은 소크라테스(Socrates, BC 470 ~ BC 399)의 입을 빌려 민주정의 특성을 무질서와 무법으로 보고 이 체제를 긍정하지 않는다. 


 첫째로, (민주 정체에서) 이들은 자유로우며, 이 나라는 자유(elutheria)와 언론 자유(parrhesia)로 가득 차 있어서, 이 나라에는 자기가 하고자 하는 바를 '멋대로 할 수 있는 자유(exousia)'가 있지 않겠는가?"... "적어도 '멋대로 할 수 있는 자유'가 있는 나라에서는 각자가 어떤 형태로든 제 마음에 드는 자신의 삶의 개인적인 대책을 마련할 게 명백하이... 이렇게 되면, 이 정체에서는 무엇보다도 온갖 부류의 인간들이 생겨날 것이라 나는 생각하네.(557b)... 민주 정체는 즐겁고 무정부 상태의(anarchos) 다채로운 정체이며, 평등한 사람들에게도 평등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도 일종의 평등(isotes)을 배분해 주는 정체인 걸로 보이네." _ 플라론, <국가>, 제8권, 558c


 루소의 사회가 자유로운 의지들의 결합이라면, 소크라테스(또는 플라톤)의 국가는 필요에 의한 결합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사회 공동체의 성격 규정이 두 철학자들의 정체(政體)에 대한 평가를 가른 요인이 된 것은 아닐까.


 지난 8.15 광복절 집회 시 나타난 무질서와 혼란을 보면서 공동체의 가치가 심각하게 훼손되었음을 느낀다. 무정부 상태에서 나타난 혼란과 방종의 모습 속에서 지난 시간 공동체의 가치와 안정을 지키려 했던 노력이 순식간에 무너져 내려가는 것을 바라보는 마음은 무겁다. 이 과정에서, 플라톤이 느꼈던 민주주의에 대한 혐오의 감정이 무엇인지 조금이나마 이해된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포스(Force)의 어두운 측면과 함께, 밝은 면을 향한 가능성도 발견한다. <국가>에서 플라톤이 말한 사회적 분업이 서로 다른 성향(physis)을 전제로 한 것이며, 그가 지향한 것이 4주덕(4主德)에 근거한 철인(哲人)지배체제라는 점과루소가 말한 '부분적인 사회'(분파)도 함께 생각해보자. 사회 계급의 장벽이 높고, 빈곤의 악순환이 계속 되었을 때, 사회는 구성원들의 자유로운 의지 결합이 아닌, 피라미드 사회가 될 것이고, 이때 민주정의 어두운 면이 드러나는 것이 아닐까.  때문에, 우리 사회가 밝은 면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사회 불평등 해소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고, 이러한 출발이 일반의지에 대한 낙관적 기대를 가능케 하지 않을까. 때문에, 우리 사회의 태어날 때부터 넘을 수 없는 계급장벽을 없애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지 않을까를 생각하게 된다.


 사회의 불평등이 보다 깊어질 때 극우 세력이 힘을 키웠음을 생각한다면, 이와 같은 해석이 크게 무리하지 않다 생각된다. 더 이상 잃을 것이 없는 이들이 맹목적인 믿음과 결합되어 파시즘의 전사로 거듭나지 않도록 사회안정망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한 사회의 과제임을 <사회계약론>과 <국가>를 통해 생각해 본다...


 일반의지가 올바르게 표현되기 위해서는 국가 내에서 어떤 부분적인 사회도 존재하지 않고 시민 각자가 자신만의 소신을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위대한 리쿠르고스의 유례없이 탁월한 제도가 바로 이것이었다._루소, <사회계약론>, p4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러나 자유주의의 역동성은 19세기를 지난 후까지 지속되지 못하였다. 자유주의의 사상과 에너지가 고갈되었다. 급진적 시각조정을 통해 부활시키려던 시도는 실패하였다. 20세기 중반에 이르러 자유주의는 방어적이고 보수적으로 변하였다. 당시의 급진적이고 혁명적인 운동과 관련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운동에 보통 적대적이었다. 그리고 흔히, 비록 지적으로 정교하고 세련되긴 하였지만, 사실상 반공주의와 동의어였다. _ 앤서니 아블라스터, <서구 자유주의의 융성과 쇠퇴>, p658


 <서구 자유주의의 융성과 쇠퇴 The Rise and Decline of Western Liberalism>의 저자 앤서니 아블라스터(Anthony Arblaster)는 자유주의의 역사를 밝히면서, 18 ~ 19세기 초에 절정기를 맞이한 자유주의가 20세기 중반 냉전 자유주의로 변질되었음을 밝힌다. 매카시즘(McCarthyism)으로 대표되는 냉전 자유주의는 파시즘(Fascism) 붕괴 이후 공산주의(Communism)에 대항하는 이념으로 자리잡는다.


 1945년 이후 일종의 부활을 한 자유주의의 지배적 특질은 반공산주의였으므로 '냉전 자유주의'라는 말은 적절하다. 냉전 자유주의의 지배(dominance)는 두드러졌다. 공산주의는 사회주의이고 권위주의라고 하면, 자유주의자들은 공산주의에 반대할 수밖에 없게 되어 있었고 또 항상 그래 왔다. 냉전시기에는 이 하나의 태도가 너무도 강하게 자유주의의 전체적 성격을 형성하여서, 자유주의의 더 근본적 원리들이 희생되거나 잊혀졌다. 언론의 자유, 관용과 다양성은 느닷없이 공산주의자들에게는 적용될 수 없는 원리들이 되었다. 같은 맥락에서, 비자유주의적이고 억압적인 체제라도 반공산주의라면 눈감았다. 냉전 자유주의는 전혀 '진정한' 자유주의가 아니며 자유주의를 배반한 것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로크, 몽테스키외, 토크빌, 밀의 전통을 이어받고 인용하는, 자신을 자유주의자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행하고 승인한 배반이었다. _ 앤서니 아블라스터, <서구 자유주의의 융성과 쇠퇴>, p590


 '반(反)공산주의'를 강조하는 이념으로서 냉전 자유주의는 '반공'을 위해서는 다른 모든 가치를 부정하는 것을 주저하지 않는다. 그 결과 냉전 자유주의는 이전 시대 나타난 어떤 형태의 자유주의와도 공통점을 찾을 수 없는 전체주의 이론으로 전락하게 된다. 다른 모든 가치를 부정하고 남은 단 하나의 가치. 그것은 '반공(反共)'이다. 


 냉전 자유주의는 논쟁적이고, 시사문제와 관련 있고, 개입적이다. 그리고 그 개입은 반공산주의 정치에의 개입이다. 냉전 자유주의자들은, 특정 문제와 위기에 대한 반응을 넘어서, 그들의 입장에 대한 강고하고 포괄적인 방어를 구축하였다. 이들 가운데 많은 부분은 거대하고 정교한 '전체주의' 이론이란 형태로, 그리고 전체주의의 이른바 역사적 지적 뿌리라는 형태로 전개되었다. _ 앤서니 아블라스터, <서구 자유주의의 융성과 쇠퇴>, p602


 아블라스터는 <서구 자유주의의 융성과 쇠퇴>에서 자유주의의 핵심을 세계와 인간본성에 대한 존재론적 전제, 낙관과 긍정으로 해석한다. 이런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냉전 자유주의는 자유주의의 이름을 차용한 전체주의의 변용에 불과하다. 더 나아가 아블라스터는 냉전 자유주의를 로크, 몽테스키외, 토크빌, 밀의 전통을 배반한 이단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러한 해석에 대해 아마도 냉전 자유주의자들은 강하게 부정하면서 자신들이야말로 진정한 자유주의자들이며, 보수주의자라고 강변할 것이다. 그렇지만,  보수주의자들 중의 보수주의자라고 할 만한 에드먼드 버크(Edmund Burke, 1729 ~ 1797)의 눈으로 봤을 때도 이들은 신이 마련한 국가를 부정하는 폭도에 불과하다.


 "우주를 창조한 지고한 신에게 지상에서 가장 흡족한 것은 국가라고 하는 인간들의 질서 있는 집합체다." 머리와 가슴을 향한 이 교훈을 인간의 공통적 본성과 공통적 관계에서 배운 것이다. 그들은 모든 것이 조회하여 행해져야 한다는 점을 믿고, 또 모든 것을 마땅한 기준에 조회하면서, 가슴의 성소에 참여하는 개인으로서나 그러한 개인의 자격으로 단체를 이루면서 스스로 그들의 고귀한 기원과 위치에 대한 기억을 되새길 의무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뿐 아니라 단체로서, 공공 사회의 설립자이며 창조자이며 보호자에게 국민적 충성을 바쳐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한 공공 사회 없이는, 인간은 그 본성상 가능한 완성에 도저히 도달할 수 없으며, 멀리 떨어진 미미한 접근조차도 이룰 수 없다. 그들은 우리 본성이 우리 덕성에 의해 완성되도록 마련한 신이 그 완성을 위한 필요한 수단도 마련했다고, 그리하여 신이 국가를 마련했다고 인식한다. 그리고 신이 국가가 모든 완성의 근원이자 원초적 모범과 결합하기를 바란다고 인식한다. _ 에드먼드 버크, <프랑스혁명에 관한 성찰>,p174


[사진] 2020년 8월 15일 광화문 집회(출처 : 경향신문)


 2020년 8월 15일 아직 코로나 19 위기가 채 끝나지 않은 시점에 강행된 전광훈 목사가 주도한 대규모 집회는 신천지 사태 이후 확진자가 급속히 늘어나는 계기가 되었다. 이로 인해, 다시 경제활동은 둔화될 것이고, 개학이 연기되는 등 우리 공동체가 입은 피해는 이루 말할 수 없는 지경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로지 반공과 빨갱이만 외치면서 다른 가치들을 무시하는 저들 극우 집단의 모습을 보며 자유주의와 보수주의의 변질된 오늘날의 현실을 확인한다.


 보수주의자인 버크로부터 인정받지 못했다고 해서, 그들의 사상이 버크의 반대자인 토머스 페인(Thomas Paine, 1737 ~ 1809)에게 지지 받을 수 있는 것도 아니다. 페인이 프랑스 혁명을 지지한 것은 혁명이 앙시앙 레짐(Ancien Regime)을 부정한 혁명이었기 때문이지, 왕정복고를 꿈꾸는 반동체제를 지지했기 때문이 아니다.  


 프랑스 국민이 혁명을 일으킨 것은 루이 16세에 반대해서가 아니라, 전제적 국가원리에 반해서였다. 그 기원은 루이 16세가 아니라, 수세기 전의 근원적 제도에 있었다.  그것은 뽑아내기가 불가능할 정도로 너무나 깊이 뿌리박혔고, 기생충과 도둑들로 가득 찬 아우게이어스 왕의 외양간처럼 치우기가 불가능할 정도로 지독하게 더러웠기 때문에 완벽하고 철저한 혁명이 아니고서는 해결할 수 없었다._토머스 페인 , <상식, 인권>, p104 


 개인적으로 이들을 정의할 수 있는 단어는 파시즘외에는 떠오르지 않는다. 적대감과 파괴를 위한 의지 그리고 급진화. 로버트 O. 팩스턴(Robert O. Paxton)의 <파시즘 The Anatomy of Fascism>의 정의보다 이들의 성격을 더 잘 규정할 수는 없다고 생각된다. 그렇다면, 해방 이후 우리가 파시스트들의 부활을 맞은 이유는 때문일까?


 파시즘 정권들은 마치 하나의 분자구조물과도 같았다. 다시 말해, 파시즘 세력과 보수적 질서라는 두 가지의 완전히 다른 물질이 자유주의와 좌파에 대한 적대감, 적으로 규정한 대상을 파괴하기 위해서는 어떤 일도 서슴지 않겠다는 의지라는 두 가지 공통점을 매개로 하여 결합하여 탄생한 합성물이 바로 파시즘 정권이었던 것이다. _ 로버트 O. 팩스턴, <파시즘>, p333


 급진화 단계는 파시즘을 가장 뚜렷하게 보여준다. 어떤 정권도 급진화될 수는 있지만, 자기 파괴에 이를 정도로 격렬한 폭력을 분출하는 파시즘적 충동의 깊이와 위력에는 결코 미치지 못한다... 급진화의 핵심은 팽창주의 전쟁이었다. 이들은 처음에는 체제의 적들, 다음으로는 파시즘의 보수파 동맹 세력, 마침내는 독일 국민들까지 상대로 하여 이성을 잃고 완전 몰살을 기도하며 무차별 폭력을 휘둘렀다.(p384)... 나아가 급진화는 파시즘의 핵심으로 간주되었던 민족과 국가마저 거부하는 단계에 이르게 된다. 최종적 분석에 따르면 파시즘은 타고난 성격 자체가 불안정하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보면 파시즘은 겁에 질린 보수파나 자유주의자들이 직면한 문제에 대한 참된 해결책이 될 수 없었다._ 로버트 O. 팩스턴, <파시즘>, p386


그리고, 이들을 파시스트 집단으로 정의했을 때, 우리는 스핑크스(sphinx)에게 선동(propaganda)당한 파시즘의 계급전사의 모습을 광화문 집회 참여자들로부터 발견하게 된다. 이보다 더 파시즘의 전형을 보여주는 예도 없을 것이라 생각될 정도다. 이러한 비극이 우리에게 아직도 이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들이 찬양하는 강인함, 비밀 엄수, 무자비함이라는 덕목이 실제로는 군인의 덕목이라기보다는 검증된 계급 투쟁 전사의 덕목이라는 사실이 선명하게 드러날 것이다. 전쟁의 용병의 가면 아래 양성되었던 것은 실제로 믿음직한 파시즘의 계급전사들이다. 그리고 저자들이 민족 Nation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바로 이 계급전사 신분에 의지하는 지배자계급인데, 이 지배계급이 누구에 대해서도 특히 자기 자신에 대해서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으면서 가파른 절벽 위 왕좌에 올라앉아 있다. 이들은 얼마 지나지 않아 자기가 내놓은 상품의 유일한 소비자가 될 것을 약속하는 생산자의 스핑크스적 용모를 띤다... 자연과 국가라는 두 힘이 여기서 만들어내는 평행사변형 안에서, 대각선은 전쟁이다._발터 벤야민, <독일 파시즘의 이론들>,p317


 결국, 보수주의와 진보주의의 어느 쪽으로부터도 인정받지 못하는 냉전 자유주의가 이 땅에 존속할 수 있는 이유는 현재까지 우리가 냉전 최후의 유산인 판문점 체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Billy Joel의 노래 중 <We Didn't Start the Fire>라는 곡이 있다. 1950년대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역사적 키워드를 담은 노래인데, 여기에는 한국전쟁과 관련한 키워드(North Korea, South Korea, panmunjom)이 등장한다. 가사에 담긴 다른 많은 인물들과 사건들이 죽거나 흘러갔음에도, 가사의 키워드가 아직도 유독 우리에게 진행형이라는 것. 이것이 우리의 비극임을 다시 생각하게 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짜라투스트라 2020-08-19 01:3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좋은 글 잘 읽었어요

겨울호랑이 2020-08-19 05:17   좋아요 0 | URL
짜라투스트라님 감사합니다^^:)
 

 어제 75주년 광복절 기념식 중 광복회장의 친일인사에 대한 발언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특히, <애국가>를 작곡한 음악가 안익태(安益泰, 1906 ~ 1965) 와 관련하여 일각에서는 광복회장의 발언이 국민통합에 저해되고, 편협한 정치적 발언이라는 거센 비판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안익태가 왜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는지 이번 페이퍼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자.


 안익태 : 양악작곡가, 자휘자, 제국음악원 회원


 1906년 12월 5일 평안남도 평양에서 태어났다. 일본에 유학할 때는 안 에키타이(?あんえきたい), 미국과 유럽에서 활동하던 1938년부터는 에키타이 안(Ekitai Ahn)으로 활동했다... 1938년 <관현악을 위한 환상곡 '에텐라쿠(越天樂)' Etnlaku, Phantasie fur Ochester>를 발표했다. <에텐라쿠>로 알려진 이 작품은 1959년 <강천성악 降天聲樂>으로 개작되었다. 안익태가 작곡한 <에텐라쿠>는 일본 아악곡인 <에텐라쿠>의 주제 선율을 그대로 차용한 관현악 작품으로, 코노에 히데마로(近衛秀?)가 작곡해 국제적으로 알려진 관현악 작품 <에텐라쿠(1031)>와 미야기 미치오(宮城道雄)의 <에텐라쿠 변주곡>(1928)에 대비되는 작품이다. 원래 <에텐라쿠>는 일본 천황 즉위식 때 축하작품으로 연주된 것으로, 1878년 이후부터 근대 일본창가로서 <남조 오충신 南朝 五忠臣>이나 <충효 忠孝> 등 천황에 대한 충성을 주제로 한 일본정신이 배어 있는 작품이다._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친일인명사전>,p448


 1938년 유럽으로 건너간 안익태는 같은 해 2월 <교향적 환상곡 '조선' Sinfonie Fantastique 'Korea'>를 작곡하였는데, 이 곡은 후에 <한국환상곡>으로 알려진다. 같은 해 작곡된 다른 곡이 대표작 중 하나인 <에텐라쿠>다. 일왕의 즉위식 연주곡을 차용한 작품으로 본격적인 음악활동을 연 안익태는 해방 이후에도 독재권력의 어용(御用)활동을 위해 귀국하는 행보를 이어간다.


 1955년 3월 '이승만 대통령 탄신 제80회 기념음악회'를 지휘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했고, 4월에 제1호 문화포장을 받았다... 1962년 1월 한국을 방문하면서 박정희 의장을 예방해 5.16 군사쿠데타로 집권한 군사정부의 대내외적인 이미지를 개선하고 '혁명'을 경축하기 위한 대한민국 국제 음악제 개최를 협의했다._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친일인명사전>,p450


 1940년대 들어서는 제국의 음악가로서 추축국(樞軸國, Axis Powers) 세계의 음악가들과 활발히 교류하며 명성을 이어가는데, 이 시기에 나온 음악이 <만주환상곡>으로, 이 곡은 안익태의 또 다른 대표곡이다. 그렇다면, 안익태가 정성들여 만든 곡을 헌정한 '만주국'은 과연 어떤 나라인가?


 1941년부터 독일 베를린으로 진출해 나치 제국의 제국 음악원(Reicnsmesil kamer) 총재이자 협력자였던 작곡가 리하르트 슈트라우스(Richard Strauss)와 독/일 협회 후원으로 관현악단 지휘와 작품 발표를 활발하게 전개하면서 국제적인 음악인으로 부각되었다.(p448)... 1942년에 만주국 건국 10주년을 경축하는 '만주국 축전곡'을 의뢰받아 4개의 악장으로 구성된 <큰 관현악과 혼성합창을 위한 교향적 환상곡 '만주' Symphonische Phantasie 'Mandschoukuo'>을 완성했다. 


 우리에게 만주국(滿州國 Manchukuo, 1932 ~ 1945)는 마지막 황제 푸이(愛新覺羅溥儀, 1906 ~ 1967)의 나라, 일본제국의 괴뢰국 정도로 알려져 있지만, 생각외로 만주국이 한국 현대사에 미친 영향은 생각보다 깊다. 프라센지트 두아라 (Prasenjit Duara)의 <주권과 순수성 Sovereignty and Authenticity: Manchukuo and the East Asian Modern>의 옮긴이 해제는 일본제국의 기반으로서 만주와 한국이 어떤 관계에 있었는지를 잘 설명한다. 


 만주국은 일본의 1930년대의 경제기적에 결정적 실마리를 제공하는 곳이다. 일본은 이곳으로부터 원자재 상당량을 얻게 되고, 중화학단지를 건설하여 후일 서양과 대결하는 가공할 만한 경제적 자립체(엔블록 혹은 대동아공영권)의 바탕을 마련했다. 만주국은 일본의 군대와 관료들을 위한 훈련장뿐 아니라, 총력전 체제, 통제경제, 건축, 도시계획, 박물관 경영 등에서 일본 근대의 시험장이었다... 한국에게 만주국은 착잡한 무대이다. 박정희를 포함한 만주 인맥은 건국 이래 한국 군부에서 무시할 수 없는 세력이 되었다. 만주국이 한국에 끼친 가장 중요한 영향은 발건국가 모델이다. 지난 박정희 정부에서 4차례나 추진된 경제개발계획의 모형은 사회주의를 방불케하는 만주국의 계획경제였다. 많은 분야에서 일본과 한국 사이에는 실험실 만주국이 있었다._프래신짓트 두아라, <주권과 순수성 : 만주국과 동아시아적 근대>, p452 해제 中


 얼마 전 백선엽(白善燁, 1920 ~ 2020)의 현충원 안정과 관련해서도 논란이 있었는데, 그 역시 대표적인 만주군 출신 군인이었다. 이처럼 제국을 뒷받침하는 세 다리인 일본, 한국, 만주. 일본에서 교육받은 한국 출신 음악가 안익태가 만주국을 위한 곡을 쓴다는 것 자체가 일본제국의 대동아공영권 홍보를 위한 훌륭한 수단이 되었음은 너무도 분명하다. 여기에 더해 곡의 내용 구성은 만주와 조선이 하나임을 분명히 표상한다. 


 제1악장은 서주(序奏)로서 축복받은 대지의 모습과 폭정으로 짓밟힌 옛 만주가 구원자인 일본에 의해 평화를 되찾은 모습을, 제2장은 목가(牧歌)로서 만주국 대평원의 평화를, 제3악장은 만주국이 열강들과 협력해 세계 신질서를 확립하는 모습을, 그리고 제4악장은 피날레로서 만주국이 건국 10주년을 맞는 환희를 그렸다. 마지막 악장 피날레에서 합창 부분의 가사는 에하라 고이치가 직접 만들었다. 안익태는 피날레 악장을 두개의 주요 합창작품으로 구성해 극적으로 장식했는데, 이 작품들은 나중에 <한국환상곡>에서 마지막을 장식하는 세 개의 합창곡 중 '애국가'를 제외한 두 개의 합창곡에 똑같이 옯겨졌다.(p449)...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면서 '애국가'를 국가(國歌)로 공식 지정했다. 1949년에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코리아환상곡>을 지휘했다_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친일인명사전>,p450



 일왕을 위한 <엔텐라쿠>와 같은 해 만들어진 형제곡 <한국환상곡>. 그리고, <한국환상곡>과 일정 테마를 공유하는 <만주환상곡>. 그리고 <한국환상곡> 안의 <애국가>. 이처럼 그의 작품 세계 자체가 대동아공영권(大東亞共榮圈) 을 표현하고 있다. 이를 알면서도 우리는 국가(國歌)로서 <애국가>의 문제점에 대해 침묵해야 할까. 물론, 국가를 변경하는 문제는 국민들의 합의가 필요한 부분임은 분명하지만, 분명 짚고 넘어가야할 사안임은 분명하다. '공산주의'는 안되지만, '친일'에는 너그러운 이중잣대가 이제는 우리사회에서 치워져야 하지 않을까. 75주년 광복절을 맞아 음악가 안익태와 그의 음악세계를 돌아본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막시무스 2020-08-16 13:3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75주년 광복절에 많은것을 생각하게 해주십니다! 공산주의는 안되는데, 친일에는 너그러운 사회라는 말씀이 뼈를 때리네요!
즐거운 휴일되십시요!ㅎ

겨울호랑이 2020-08-16 13:49   좋아요 1 | URL
감사합니다. 막시무스님 모처럼 날이 맑네요. 덥지만 건강한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