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75주년 광복절 기념식 중 광복회장의 친일인사에 대한 발언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특히, <애국가>를 작곡한 음악가 안익태(安益泰, 1906 ~ 1965) 와 관련하여 일각에서는 광복회장의 발언이 국민통합에 저해되고, 편협한 정치적 발언이라는 거센 비판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안익태가 왜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는지 이번 페이퍼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자.


 안익태 : 양악작곡가, 자휘자, 제국음악원 회원


 1906년 12월 5일 평안남도 평양에서 태어났다. 일본에 유학할 때는 안 에키타이(?あんえきたい), 미국과 유럽에서 활동하던 1938년부터는 에키타이 안(Ekitai Ahn)으로 활동했다... 1938년 <관현악을 위한 환상곡 '에텐라쿠(越天樂)' Etnlaku, Phantasie fur Ochester>를 발표했다. <에텐라쿠>로 알려진 이 작품은 1959년 <강천성악 降天聲樂>으로 개작되었다. 안익태가 작곡한 <에텐라쿠>는 일본 아악곡인 <에텐라쿠>의 주제 선율을 그대로 차용한 관현악 작품으로, 코노에 히데마로(近衛秀?)가 작곡해 국제적으로 알려진 관현악 작품 <에텐라쿠(1031)>와 미야기 미치오(宮城道雄)의 <에텐라쿠 변주곡>(1928)에 대비되는 작품이다. 원래 <에텐라쿠>는 일본 천황 즉위식 때 축하작품으로 연주된 것으로, 1878년 이후부터 근대 일본창가로서 <남조 오충신 南朝 五忠臣>이나 <충효 忠孝> 등 천황에 대한 충성을 주제로 한 일본정신이 배어 있는 작품이다._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친일인명사전>,p448


 1938년 유럽으로 건너간 안익태는 같은 해 2월 <교향적 환상곡 '조선' Sinfonie Fantastique 'Korea'>를 작곡하였는데, 이 곡은 후에 <한국환상곡>으로 알려진다. 같은 해 작곡된 다른 곡이 대표작 중 하나인 <에텐라쿠>다. 일왕의 즉위식 연주곡을 차용한 작품으로 본격적인 음악활동을 연 안익태는 해방 이후에도 독재권력의 어용(御用)활동을 위해 귀국하는 행보를 이어간다.


 1955년 3월 '이승만 대통령 탄신 제80회 기념음악회'를 지휘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했고, 4월에 제1호 문화포장을 받았다... 1962년 1월 한국을 방문하면서 박정희 의장을 예방해 5.16 군사쿠데타로 집권한 군사정부의 대내외적인 이미지를 개선하고 '혁명'을 경축하기 위한 대한민국 국제 음악제 개최를 협의했다._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친일인명사전>,p450


 1940년대 들어서는 제국의 음악가로서 추축국(樞軸國, Axis Powers) 세계의 음악가들과 활발히 교류하며 명성을 이어가는데, 이 시기에 나온 음악이 <만주환상곡>으로, 이 곡은 안익태의 또 다른 대표곡이다. 그렇다면, 안익태가 정성들여 만든 곡을 헌정한 '만주국'은 과연 어떤 나라인가?


 1941년부터 독일 베를린으로 진출해 나치 제국의 제국 음악원(Reicnsmesil kamer) 총재이자 협력자였던 작곡가 리하르트 슈트라우스(Richard Strauss)와 독/일 협회 후원으로 관현악단 지휘와 작품 발표를 활발하게 전개하면서 국제적인 음악인으로 부각되었다.(p448)... 1942년에 만주국 건국 10주년을 경축하는 '만주국 축전곡'을 의뢰받아 4개의 악장으로 구성된 <큰 관현악과 혼성합창을 위한 교향적 환상곡 '만주' Symphonische Phantasie 'Mandschoukuo'>을 완성했다. 


 우리에게 만주국(滿州國 Manchukuo, 1932 ~ 1945)는 마지막 황제 푸이(愛新覺羅溥儀, 1906 ~ 1967)의 나라, 일본제국의 괴뢰국 정도로 알려져 있지만, 생각외로 만주국이 한국 현대사에 미친 영향은 생각보다 깊다. 프라센지트 두아라 (Prasenjit Duara)의 <주권과 순수성 Sovereignty and Authenticity: Manchukuo and the East Asian Modern>의 옮긴이 해제는 일본제국의 기반으로서 만주와 한국이 어떤 관계에 있었는지를 잘 설명한다. 


 만주국은 일본의 1930년대의 경제기적에 결정적 실마리를 제공하는 곳이다. 일본은 이곳으로부터 원자재 상당량을 얻게 되고, 중화학단지를 건설하여 후일 서양과 대결하는 가공할 만한 경제적 자립체(엔블록 혹은 대동아공영권)의 바탕을 마련했다. 만주국은 일본의 군대와 관료들을 위한 훈련장뿐 아니라, 총력전 체제, 통제경제, 건축, 도시계획, 박물관 경영 등에서 일본 근대의 시험장이었다... 한국에게 만주국은 착잡한 무대이다. 박정희를 포함한 만주 인맥은 건국 이래 한국 군부에서 무시할 수 없는 세력이 되었다. 만주국이 한국에 끼친 가장 중요한 영향은 발건국가 모델이다. 지난 박정희 정부에서 4차례나 추진된 경제개발계획의 모형은 사회주의를 방불케하는 만주국의 계획경제였다. 많은 분야에서 일본과 한국 사이에는 실험실 만주국이 있었다._프래신짓트 두아라, <주권과 순수성 : 만주국과 동아시아적 근대>, p452 해제 中


 얼마 전 백선엽(白善燁, 1920 ~ 2020)의 현충원 안정과 관련해서도 논란이 있었는데, 그 역시 대표적인 만주군 출신 군인이었다. 이처럼 제국을 뒷받침하는 세 다리인 일본, 한국, 만주. 일본에서 교육받은 한국 출신 음악가 안익태가 만주국을 위한 곡을 쓴다는 것 자체가 일본제국의 대동아공영권 홍보를 위한 훌륭한 수단이 되었음은 너무도 분명하다. 여기에 더해 곡의 내용 구성은 만주와 조선이 하나임을 분명히 표상한다. 


 제1악장은 서주(序奏)로서 축복받은 대지의 모습과 폭정으로 짓밟힌 옛 만주가 구원자인 일본에 의해 평화를 되찾은 모습을, 제2장은 목가(牧歌)로서 만주국 대평원의 평화를, 제3악장은 만주국이 열강들과 협력해 세계 신질서를 확립하는 모습을, 그리고 제4악장은 피날레로서 만주국이 건국 10주년을 맞는 환희를 그렸다. 마지막 악장 피날레에서 합창 부분의 가사는 에하라 고이치가 직접 만들었다. 안익태는 피날레 악장을 두개의 주요 합창작품으로 구성해 극적으로 장식했는데, 이 작품들은 나중에 <한국환상곡>에서 마지막을 장식하는 세 개의 합창곡 중 '애국가'를 제외한 두 개의 합창곡에 똑같이 옯겨졌다.(p449)...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면서 '애국가'를 국가(國歌)로 공식 지정했다. 1949년에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코리아환상곡>을 지휘했다_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친일인명사전>,p450



 일왕을 위한 <엔텐라쿠>와 같은 해 만들어진 형제곡 <한국환상곡>. 그리고, <한국환상곡>과 일정 테마를 공유하는 <만주환상곡>. 그리고 <한국환상곡> 안의 <애국가>. 이처럼 그의 작품 세계 자체가 대동아공영권(大東亞共榮圈) 을 표현하고 있다. 이를 알면서도 우리는 국가(國歌)로서 <애국가>의 문제점에 대해 침묵해야 할까. 물론, 국가를 변경하는 문제는 국민들의 합의가 필요한 부분임은 분명하지만, 분명 짚고 넘어가야할 사안임은 분명하다. '공산주의'는 안되지만, '친일'에는 너그러운 이중잣대가 이제는 우리사회에서 치워져야 하지 않을까. 75주년 광복절을 맞아 음악가 안익태와 그의 음악세계를 돌아본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막시무스 2020-08-16 13:3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75주년 광복절에 많은것을 생각하게 해주십니다! 공산주의는 안되는데, 친일에는 너그러운 사회라는 말씀이 뼈를 때리네요!
즐거운 휴일되십시요!ㅎ

겨울호랑이 2020-08-16 13:49   좋아요 1 | URL
감사합니다. 막시무스님 모처럼 날이 맑네요. 덥지만 건강한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