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에 귀의하고 불교의 삼매를 잠심하여 연구해도 성인을 버리고 지혜를 끊으며, 칠정과 육욕을 단절할 방법이 없었다. 범인의 경지를 초월하고 진세를 벗어나는 ‘세외법‘을 추구하였으나 도리어 명교인 유가 낙토樂의 ‘세간법世間‘을 밟아야 했다. 유가의 용세 정신은 진세의 인연을 해탈하는 선의 풍모와 부처의 골격을 주조해내지 못하였다. 이렇게 벗어날 수 없는 모순에는 곧 그가 불교의 교설에 의심을 품고서 불교를 버리고 유학을 숭상하는 데로 향한 정신적 위기가 잠복해 있었다. 주요" - ‘주정희靜‘ - ‘주경主敬‘의, 선에서 빠져나와 유가로 돌아오는 그의 길고 긴 변천의 역정이 마침내 동안에서 시작되었던 것이다. - P259

이통의 마지막 결론은 다음과 같다. "오직 일상생활에서 공부를 해야 합니다. 혹일에 나아가 공부를 하면 거의 점차 자기 것이 됩니다. 그렇지 않으면 다마말일 뿐입니다." (동상) 이일분수에 대한 이런 전면적 인식은 곧 그들로 하여금 철학상의 추상적인 이기상즉, 도기상즉을 구체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이사상즉으로 확장하게 하였으며, 즉사궁리를 강조하는 데서 나아가 즉사응사를 강조하도록 하였다. - P382

실제에 근거하여서 편찬하는 주희의 이런 태도 때문에 그의 <팔조명신언행록>은 북송 시대의 정치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참고서가 되며, 그가 고심하여서 지은 <통감강목>보다 학술적 가치의 생명력이 더 길었다. 태극 본체론의 구조를 세운 일로부터 도통과 정통의 확립에 이르기까지 주희는 한천정사에서 체계와 규모를 대략 갖춘 이학과 경학의 광대한 집을 전체적으로 완성하였다.  - P672

사실 그는 삼구의 회합 이후 이미 날카롭게 깨닫고 있었다. 그가 추구하려 한 것은 존덕성과 도문학의 통일, 곧 경건과 앎을 동시에 닦는 방법으로서, 또한 황종희가 말하는 ‘경건과 의를 동시에 유지하고, 명절함과 성실함을 나란히 진보시키는‘ 방법이다. 이는 ‘존덕성‘을근본으로 하며, ‘도문학‘에서는 널리 배움에서 요약함으로 돌아가고, 잡스런 데서 정밀한 데로 들어가 평생 학문 저술에 대해 ‘강설이 또한 많은 것근거를 억지로 찾아내서 반드시 취하려 하는 것, 흐름을 따라 말단을 좇는것, 유추하여서 추구하는 것‘ 등의 병폐를 단번에 쓸어버리고 총괄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이것이 바로 순희 4년 정유년(1177)에 평생의 경학 저술을 전면적으로 수정할 때의 지도적인 사상이다. - P7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