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작순례 - 옛 그림과 글씨를 보는 눈 유홍준의 미를 보는 눈 2
유홍준 지음 / 눌와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명작순례>에는 유홍준 (兪弘濬, 1949  ~ ) 교수가 우리 나라의 글과 그림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있다. 주로, 명작 名作이라 불리는 그림을 중심으로 작품이 지니는 의미, 시대적 상황, 작가에 얽힌 이야기등을 설명한 책은 전통화 傳統畵에 대한 우리의 부담감을 많이 덜어준다. 시대적으로 구성된 <명작순례> 속의 작품들을 따라 가면서 특히 인상 깊었던 부분을 중심으로 이번 리뷰를 작성해 본다.


1. 그림과 글로 이루어진 우리 그림

 

[그림] <산수인물화첩> (출처 :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학림정 鶴林正 이경윤 李慶胤(1545 ~ 1611)의 <산수인물화첩 山水人物畵帖> 속 제시들을 보면 간이당 최립은 과연 선조 시대의 가장 뛰어난 문장가로 꼽힐 만했다는 감동을 준다. 그리고 이 화첩은 우리에게 옛 그림을 보는 눈은 그림의 됨됨이와 화가의 필치에 대해서만 관심을 가질 것이 아니라 내용까지 면밀히 읽어내야 그림의 참 가치를 알 수 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이를 독화법 讀畵法, 즉 '그림 보기'가 아니라 '그림 읽기'라고 한다.'(p37)


 저자는 우리 전통의 그림 속에서 글의 의미를 읽어내길 권한다. 전통화가 단순히 그림으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글과 그림'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생각해본다면 의미를 아는 것은 '그림 읽기'와 '글 읽기'로 나누어져야할 것 같다. 먼저, 그림 읽기부터 보자.


2. 그림 : 관념에서 현실로

 

[그림] <짚신 삼기> (출처 : https://www.culturecontent.com)


 '공재 恭齋 윤두서 尹斗緖(1668 ~1715)는 해남으로 낙향한 후 그림 속에서도 현실을 담기 시작했다. 그중 하나가 <짚신 삼기>이다. 나무 그늘 아래에서 졸고 있는 선비를 짚신 삼는 농부로 대치시킨 것이다. 선비의 자리에 농부를 그렸다는 것은 엄청난 변화였다. 그러나 배경 처리는 여전히 관념적인 것을 보면 그는 여기서 현실을 그린 것이 아니라 그림 속에 현실을 집어넣은 것이라고 해야 할 것 같다. 리얼리즘 realism의 획득이란 이처럼 어렵고 점진적인 것이었다... 이처럼 그림 속에 현실을 담아가던 공재는 결국 현실 자체를 그림으로 그리기에 이르렀다. 바로 <목각 깎기>, <나물 캐기>, <석공공석도 石工攻石圖> 등이다... 이처럼 현실을 생생하게 담아낸 이 그림은 조선 후기 속화 俗畵의 개막을 알리는 서막이었다.'(p52)


 <명작 순례>에서는 많은 그림이 소개된다. 그 중에서도 개인적으로 <짚신 삼기>가 특히 인상에 남는다. 아직 미술작품의 기법이나 구도 등을 이해할 수준이 되지 않다보니, 그림의 여러 부분 중 작품의 '주제'에 먼저 관심이 가게 된다. 조선 초기 남종화 南宗畵 풍의 관념적 세계가 주로 그려졌다면, 조선 중기 이후 보다 현실적인 모습의 작품이 등장했다는 것을 책 속의 여러 작품과 설명을 통해 이해하게 된다. 단원 檀園 김홍도 金弘道(1745 ~ 1806), 혜원 蕙園 신윤복 申潤福(1758 ~ 1814(?)) 등으로 대표되는 풍속화 風俗畵가 조선 후기에 활짝 꽃피웠던 것을 생각한다면 그림의 주제와 시대상의 관계는 뗼 수 없이 밀접한 관계라는 사실을 다시 생각하게 된다. 시대가 흘러가면서 시대의 관심이 '이상 理想'에서' 현실 現實'로 내려오고, 그림의 대상이 '신선 神仙'에서 '민중 民衆'으로 변화하는 과정이 <명작순례>에서 소개되는데, 이를 통해 시대의 중심이 일반대중으로 내려오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조금 더 나아가 이러한 변화 속에서 조선말의 동학농민혁명 東學農民革命의 뿌리나 20세기 대중들의 시대의 전조 前兆 를 화풍 속에서 느꼈다면 지나친 비약일까. (비약인것 같다.)


3. 글 : 문자 文字의 조형미 造形美


[그림] <천자문> (출처 : http://m.blog.daum.net/jeongdaepower/7717767)


 '세간에 전하는 석봉 石峯 한호 韓濩(1543 ~ 1605)의 많은 서예 작품들은 한결같이 필획이 굳세고 형태가 아름다우며 조금의 흐트러짐이 없어 글씨를 잘 모르는 사람도 충분히 감동한다.... 그 중에서도 서예사적으로 가장 큰 의의를 가지는 것은 <천자문 千字文>이다.'(p223)


 그림의 글은 크게 문자 자체의 아름다움과 그 안의 의미로 구분될 수 있을 것 같다. 서예 書藝를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초서(草書)의 아름다움을 아직 충분히 알지 못한다. 그렇지만, <명작순례>에 담긴 글 중 한석봉의 글을 보면 그 반듯함과 균형잡힌 모습 속에서 조형미를 느끼게 된다. 마치 반듯하게 자란 듯한 모범생의 이미지, 또는 모델 같은 모습 속에서 글자 외면의 아름다움을 발견한다.


4. 글 : 문자를 넘어서


[그림] <절유시> (출처 : 싱싱뉴스)


 '홍랑 紅娘( ? ~ ?)의 절유시는 내용도 내용이지만 글씨가 참으로 단아하고 기품이 있다. 본래 한글 서예 작품은 드문 편이고 특히 임진왜란 이전 한글 글씨는 아주 귀해서 목판 인쇄본으로나 볼 수 있었다... 그러나 홍랑의 글씨는 그 어느 것과도 다르다. 필획 굵기에 변화가 없어 정중한 예서체 맛이 담겨 있다. 그래서 소박하면서도 애틋한 분위기가 살아난다.'(p219)


 홍랑의 <절유시>를 볼 때 글자 자체만 본다면 누가 이것을 이별을 아쉬워하는 글이라 말할 수 있을까. 반듯하게 써내려간 글 속에 글쓴이의 평안한 마음이 느껴지기까지 한다. 그렇지만, 이 글의 내용은 이별의 아픔을 담고있다. 눈물이 쏟아지는 아쉬운 마음을 접어두고 의연하게 자신의 마음을 담담하게 써내려간 글을 보면서 '홍랑은 연인 최경창을 과연 사랑했을까?'하는 물음이 떠오르게 된다. 그에 대한 답 또한 우리는 책에서 발견할 수 있다.


 '최경창 崔慶昌(1539 ~ 1583)의 사망 소식에 홍랑은 파주에 있는 묘소 앞에 움막을 짓고 3년 동안 시묘살이를 했다. 다른 남자들의 접근을 막기 위해 몸을 씻거나 꾸미지도 않았고 자신의 얼굴에 칼자국을 내어 추악하게 만들었다. 숯을 삼켜 말도 제대로 할 수 없게 되었다고도 한다... 그는 최경창의 묘 앞에서 살다 생을 마쳤다고 한다.'(p218)


 잠시 생각해보니 나는 살아오면서 'n번'의 헤어짐과 'n+1'번의 만남을 통해 결혼에 다다른 것 같다. 그중 몇 번의 헤어짐은 마치 드라마의 주인공이라도 된 듯이 눈물을 쏟아가며 했었던 것 같다. 그리고, 몇 개월 후에는 그 사람을 잊고 다른 사랑을 이내 시작했던 내 자신의 모습. 세상 끝날 것 같은 감정에 사로잡혀 이별을 했지만, 내가 사랑이라 불렸던 감정은 그리 오래가지 못했다. 반면,  순간의 이별 앞에 초연하고, 죽음이 갈라 놓을 때도 의연하게 자신의 사랑을 증명했던 홍랑. 그녀의 <절연시>와 그녀의 삶을 읽으면서, 글씨에 담긴 사랑의 진정한 의미가 무엇인지를 다시금 느끼게 된다.


5. 그림 밖으로


[그림] <기로세련계도> (출처 : 오마이뉴스)


 '돌이켜보건대 단원 檀園 김홍도 金弘道(1745 ~ 1806)가 뛰어난 화가라고 해서 <기로세련계도 耆老世聯契圖>라는 불후의 명작이 탄생한 것은 아니었다. 개성 사람들의 주문이 없었다면 단원의 이 그림은 탄생하지 못했다. 이런 대작을 주문할 정도의 경제적, 문화적 풍요로움과 미술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이다. 이로써 볼 때 미술문화를 창출하는 것은 공급자가 아니라 오히려 소비자 임을 알수 있다. 공급자인 화가는 그러한 문화적 수요가 있어났을 때 자신의 기량을 십분 발휘하는 것으로 자기 몫을 다할 뿐이다. 그런 의미에서 문화는 소비자가 만든다.'(p111)


 공재 윤두서의 그림 <짚신 삼기>에서처럼 그림에 '시대정신 時代精神'이 담겨있다면, 작품을 둘러싼 주변환경에 대한 이해 역시 작품 이해를 위해 반드시 필요함을 느끼게 된다. 14 ~ 15세기 유럽의 르네상스 Renaissance 가 레오나르도 다빈치(Leonardo di ser Piero da Vinci, 1452 ~ 1519), 미켈란젤로(Michelangelo di Lodovico Buonarroti Simoni, 1475 ~ 1564) 등 소수의 천재에 의해서 발생한 것이 아니라, 당시의 여러 시대 상황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음을 생각해본다면 시대에 대한 이해가  감상을 위한 필요 요소임은 당연하다 생각된다.


 <명작순례>에는 조선시대의 그림들이 위와 같은 내용으로 설명된다. 어려운 설명 대신 평이한 내용으로 우리가 작품을 편하게 다가갈 수 있게 한다. 저자가 말한 것처럼 '문화는 소비자가 만든다'면, 이 책은 초보자들이 문화를 만드는 좋은 길잡이라 여겨진다.


댓글(16) 먼댓글(0) 좋아요(5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17-07-12 17:25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글씨를 잘 쓰는 것이 요즘은 더 어렵게 느껴져서 그런지, 사진 속 글씨들이 부러워요.
겨울호랑이님 시원하고 좋은 오후 보내세요.^^

겨울호랑이 2017-07-12 20:32   좋아요 2 | URL
서예를 잘 하시는 분들은 전서, 예서, 해서, 행서,초서 등 다양한 서체를 가지고 계시지요.. 한 필체를 쓰기도 쉽지 않은데, 다양한 서체를 자유롭게 쓰시는 분들을 보면 많이 부럽습니다. 서니데이님도 좋은 필체를 가지고 계신 것으로 기억합니다.^^: 서니데이님, 편안한 저녁 되세요

oren 2017-07-12 18:2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6년 전에 해남에 갔을 때 ‘고산 윤선도 유물 전시관‘에서 ‘윤두서 자화상‘을 본 적이 있었는데, 그 분이 저토록 소박한 그림을 그렸을 줄은 미처 몰랐네요. 한석봉 천자문을 보니 어릴 때 동네 어르신한테서 무릎 꿇고 천자문 배우면서 매일 붓글씨로 숙제 하던 생각도 납니다. 수업교재는 문종이에 붓으로 직접 쓴 천자문이었더랬죠. 문종이로 된 책 한가운데는 싸리 회초리도 꼭 끼워넣고 다녔고요. 수업시간엔 포인터로, 가르쳐주신 한자의 뜻을 모르면 체벌도구로 쓰였었죠.

겨울호랑이 2017-07-12 20:37   좋아요 1 | URL
^^: oren님께서는 동네 훈장님께 한문을 배우셨군요. 저는 예전에 서예학원에서 배웠었습니다. 얼핏보면 암기하는 방법이 구식같이 느껴지지만, 그때 배웠던 것이 지금도 기억나는 것을 보면 암기, 암송의 효과를 무시할 수 없다는 생각도 듭니다. 저도 예전에 해남에 방문했을 때 ‘녹우당‘에 갔었던 기억이 나네요. 한옥 고택에서 풍기는 분위기가 참 인상적이었습니다.

2017-07-12 19: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7-12 20:39   URL
비밀 댓글입니다.

북다이제스터 2017-07-12 21:4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이런 글 써보지 않아도 알지요. 이런 글쓰기에 얼마나 엄청난 노동과 시간이 들어가는지...
내용뿐 아니라 글구성과 한자, 그림 그리고 탈고까지...
항상 좋은 정성어린 글을 잘 읽고 있으며, 감사합니다. ^^

겨울호랑이 2017-07-12 21:58   좋아요 0 | URL
^^: 북다이제스터님과 함께 나눌 수 있어 저 역시 즐겁습니다. 항상 좋은 말씀과 격려에 감사합니다^^: 북다이제스터님 편한 밤 되세요.

양철나무꾼 2017-07-13 15:3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연의 어린이 프로필 사진이 바뀌었네요.
아, 이뽀라~^^

겨울호랑이 2017-07-13 15:46   좋아요 0 | URL
^^: 감사합니다. 아이라 그런지 성장이 빠르네요. 양철나무꾼님 하루 마무리 즐겁게 하세요.

AgalmA 2017-07-18 12:2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추사가 한석봉 글은 기교만 있다고 열심히 깠던 거 생각나네요ㅎ; 널리 알려진 한석봉의 문예와는 달리 정치무능력, 비리 등은 좀 충격이긴 했습니다;;
서예 쓸 때 늘 흰옷에 먹물 묻어서 속상했던 생각이 납니다ㅜㅋㅜ 새로 산 체육복에 묻어서 학교 졸업할 때까지 먹물 묻은 거 입어야 했던 거도 생각나고ㅎㅎ;
선생님 강압 때문에 서예를 배우긴 했지만 지금 생각하면 좋은 경험이었어요. 벼루와 묵 아직까지 갖고 있었으면 좋았을 것을... 요즘은 용기에 담긴 먹물, 붓펜 쉽게 살 수 있지만 벼루에 먹 가는 시간부터 해서 서예는 전체가 명상과 예술이 녹아있는 시간이라 참 특별하죠.

겨울호랑이 2017-07-18 12:16   좋아요 1 | URL
^^: AgalmA님께서도 서예를 배우셨군요.. 저도 예전에 서예를 배웠었는데, 먹을 가는 시간을 제일 좋아했었더랍니다. 「보물섬」이란 두툼한 만화책을 보면서 먹을 가는 시간을 제일 좋아했던 것을 보면, 저는 재보다 잿밥에 더 관심이 많았던 것 같네요 ㅋ

AgalmA 2017-07-18 12:21   좋아요 1 | URL
예전엔 진한 펜붓 느낌나는 만화도 많았는데 말이죠. 요즘은 이말년 그림이 그 대를 잇는다고 해야 할까요^^

겨울호랑이 2017-07-18 12:48   좋아요 1 | URL
^^: 예전에 길창덕 선생님, 신문수 선생님, 윤승운 선생님께서 그린 만화를 재밌게 봤던 기억이 나네요. 요즘 만화의 정교함과는 다른 해학과 즐거움이 묻어나오던 만화였습니다.

서니데이 2017-07-18 20:2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열대야 될 것 같은 더운 날이예요.
시원하고 기분좋은 밤 되세요.^^

겨울호랑이 2017-07-19 06:42   좋아요 0 | URL
서니데이님 상쾌한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