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虛)라는 개념은 '비움', '상상'의 뜻으로 사용된다. 동서양 문화에서는 '허'가 어떻게 활용되는지 이번 페이퍼에서 살펴보자.


1. 도덕경(道德經)의 허(虛)


<노자와 21세기>에서 강조되는 개념 중 하나는 '허(虛)'다. 이와 관련된 '허'의 개념은<도덕경> 4장에 나타난다. 여기서 '허'는 비움이며, 가능성의 형태로 구현된다. 저자인 김용옥 교수는 이러한 면에서 노자(老子, BC 604 ~ BC 537)가 '채우기'보다는 '비움'을 강조했다고 해석한다.


'道沖, 而用之或不盈' <道德經> 第 四 章


도는 텅 비어있다. 그러나 아무리 퍼내어 써도 고갈되지 않는다.'(p181)


'노자는 컵을 채우려는 인간의 행위를 유위(有爲)라고 부른다. 유위란 곧 존재에 있어서 허(虛)의 상실이다. 그러니까 그 반대방향의 행위, 즉 빔을 極大化하는 방향의 인간의 행위를 바로 무위(無爲)라고 부르는 것이다.(p189)... (虛 Emptiness)라는 것은 공간이 아니다. 그것은 모든 존재가 존재로서 존재할 수 있는 기본적 기능이다. 그것은 모든 존재의 가능성이며, 실현되기 이전의 잠능(潛能)이며, 잠재태이다. 그것은 존재의 모든 가능태(Potentiality)인 것이다.'(p192)


[그림] 유위(有爲)와 무위(無爲)


2. 수학(數學)에서의 허(虛) : 허수(虛數)


<노자와 21세기>에서 저자는 '허(虛'의 개념을 시간, 공간의 개념으로 한정짓지 않고, 시공간(時空間)을 넘어선 '가능성'의 개념으로 이를 해석하고 있다. 반면, 서양철학의 영향에 놓여있는 수학에서도 '허(虛)'의 개념은 '허수(Imaginary Numbers)' 라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허수(Imaginary Numbers)도 수(數)인가? 이는 쓸데없는 질문들이다. 과학에서 기술적 용어(technical terms)는 마치 영아에게 붙여지는 세례명처럼 임의롭게 부과된 명칭이라는 사실을 분명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명칭 자체를 놓고 옳고 그름을 따질 수 없다... 정확한 단어를 구사하기 위해서는 "내가 원하는 대로 의미를 만들어 임의의 단어에 따로 그것을 부과하면 된다."... 허수 개념의 기원은 여러 측면에서 양수, 음수 개념의 경우와 흡사하다. 특히 세 가지의 심대한 수학 개념인 변수, 대수적 형식/일반화에 기인한다는 점에서 양자는 정확하게 일치한다.' 화이트헤드(Alfred North Whitehead, 1861 ~ 1947)의 <화이트헤드의 수학이란 무엇인가>(p85)


 실재 존재하지 않는 수인 허수(虛數)가 과연 어떤 의미가 있을까. 허수의 '역할'에 대해서는 실수의 기하학적 증명을 통해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수학명제에서 어떤 사항을 증명하고자 할 때, 임의의 점, 선 등을 확장시켜 이미 약속한 정의, 공리 등을 사용하여 증명하는 과정을 우리는 이미 알고 있다. 구체적으로, 유클리드(Euclid, BC 365 ? ~ BC 275?)의 <기하학 원론> 속의 명제를 통해 해당 내용을 살펴보자.


[그림] 직선, 각, 삼각형 [법칙9]


'법칙9] 어떤 직선각을 주었을 때, 그것을 이등분 하시오. 

보임] 주어진 직선각을 BAC로 나타내자. 이것을 같은 크기로 둘로 쪼개야 한다. AB에서 아무 점이라도 좋으니까 점 D를 잡아라. AD와 같은 길이가 되도록 AE를 AC에서 잡아라. 그 다음, 직선 DE를 긋고, DE를 가지고 정삼각형 DEF를 만들어라. 이제 직선 AF를 그어라. 그러면 직선 AF가 각 BAC를 같은 크기로 둘로 쪼갬을 보이겠다. AD는 AE와 길이가 같고, 변 AF는 공통이니, 두 변 DA, AF는 두 변 EA, AF와 각각 길이가 같다. 그리고 밑변 DF는 밑변 EF와 길이가 같다. 그러므로 각 DAF는 각 EAF와 크기가 같다. 그러므로 직선 AF는 각 BAC를 이등분한다.' <기하학 원론 (가)>(p16)


3. 물리학(物理學)에서의 허(虛) : 허시간(虛時間)


 '허수'의 이러한 속성의 활용은 물리학(Physics)에서도 활용된다. 물리학에서는 시간(time)을 실시간과 허시간으로 구분하여 M-이론(M- theory)를 설명하고 있다. 스티븐 호킹(Stephen William Hawking, 1942 ~ )의 <호두껍질 속의 우주 The Universe in a Nutshell>에서 허수의 구체적 활용을 살펴보자.


'양자이론이 시간과 공간을 어떻게 형성하는지 기술하기 위해서는 허시간(虛時間, imaginary time)이라는 개념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허시간은 훌륭하게 정의된 수학적 개념이다. 이것은 허수(虛數)라고 불리는 것으로 측정되는 시간이다... 허수가 실세계와 아무런 연관도 없는 수학적 게임에 불과한 것처럼 생각될 수도 있다. 그러나 실증주의 철학의 관점에 의하면, 어느 쪽이 실재(實在)인지 결정할 수 없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어떤 수학적 모형이 우리가 그 속에 살고 있는 우주를 기술(記述)하는지 발견하는 것이다. 허수를 포함하는 수학적 모형이 우리가 이미 관찰한 효과들뿐만 아니라 우리가 측정할 수는 없었지만, 그밖의 여러 가지 이유로 믿고 있던 효과들까지도 예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렇다면 무엇이 실재이고 무엇이 가상일까? 그러한 구분은 단지 우리들의 마음 속에만 존재하는 것은 아닐까?'(p59)



[그림] 실시간(實時間)과 허시간(虛時間)


4. 동양의 허(虛)와 서양의 Imagination


 이상에서 살펴보면, 동양의 허(虛)는 가능성이며 도(道)의 근원인 반면, 서양의 허(虛, imagination)은 실재를 증명하기 위한 한 방편(方便)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 같다. 이런 면에서 '허'의 개념은 동양과 서양에서 다소 다르게 사용되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서양의 '허(虛)'를 '실재의 증명을 위한 여유(餘裕)'라고 본다면 다른 한 편으로는 통(通)한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도덕경>의 해석은 학자에 따라 다르기에, 이러한 해석을 단정적으로 말하기는 어렵지만, '비움' 또는 '상상' 이 가진 가능성의 이미지는 인류 공통된 원형(原形)이 아닐까. 비록 세상을 바라보는 세계관(世界觀)은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지만 말이다.


 '동양 사상에서는 유난히도 "무(無)', '허(虛)', '공(空)'이라는 단어가 중요하게 취급된다. 동양에서는 눈에 보이지 않는 세상보다 눈에 보이지는 않는 세계를 더 인정해왔다. 동양 회화의 가장 중요한 조형 요소로 여백(餘白)'을 들 수 있다. 여백의 정의는 "그림에서 묘사된 대상 이외의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여백의 정의는 비단 회화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어서 문학, 음악, 서예에서도 폭넓게 찾아볼 수 있다.'(p25)


'예로부터 서양인들은 이 우주 공간이 텅 빈 허공이라고 믿어왔다. 텅 빈 공간에 별들이 떠 있는 모습이 서양인들이 생각하는 우주의 모습이다. 이렇게 텅 빈 공간에 놓여져 있는 사물은 주변과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서양에서는 사물이 독립된 하나의 개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동양인들은 우주가 텅 빈 허공이 아니라 "기(氣)"로 가득 차 있다고 생각했다.'(p26)


댓글(17) 먼댓글(0) 좋아요(4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yamoo 2017-07-10 21:3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존재의 모든 가능태‘..이건 하이데거식 표현이라 봅니다. 개인적으로 서양철학의 개념을 갖고 노자 도덕경을 읽으면 안 된다고 생각하는 1인이에요. 노자는 존재를 말하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하이데거가 말하는 인간, 그러니까 현존재요. 노자는 인간을 유무상생으로 파악했다고 봅니다. ‘가능태‘라는 표현으로 노자를 읽을 수도 있겠지만, 그리고 어떤 의도로 썼는지도 알겠지만, 좀 위험한 표현인 거 같습니다. 최직선 교수의 노자 도덕경 해석도 문제가 없는 건 아니지만, 도올의 해석보다 개인적으로 더 낫다고 생각하는 1인 입니다.

제가 생각하기로는....서양은 존재를 말했지, 허에 중점을 둔 경우는 거의 없는 거 같습니다.아예 취급을 안 한 거 같아요. 물론 서양철학자 중 중국철학을 공부한 일부는 허에 대해 논한 학자들이 있겠지만 제가 본 책들에는 ‘허‘에 대해 비중을 두고 고찰한 학자가 없는 거 같아, 호랑이 님이 쓰신 허와 미미지네이션의 관계가 무척 신선합니다~

겨울호랑이 2017-07-10 21:17   좋아요 1 | URL
^^: 그렇군요. 노자 「도덕경」관련한 저술이 여러 편인데 제가 아직 다른 분의 저서는 아직 읽지 못했습니다. yamoo님께서 말씀하신 부분에 유념해서 최진석 교수의 책을 조만간 찾아 읽어야겠습니다. 하이데거는 그 후에 읽어야겠군요^^: yamoo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북다이제스터 2017-07-10 21:14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허를 가능성의 잠재태로 보는 군요. 맘에 들지 않습니다. ㅠ. 자연스런 비어있음을 그냥 그대로 비어있음으로 놔두고 바라보면 안될까요? ㅠㅠ

겨울호랑이 2017-07-10 21:26   좋아요 1 | URL
^^: 북다이제스터님의 해석 역시 충분한 근거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기회되면 다른 저자의 「도덕경」해석도 비교해 보겠습니다.^^:

cyrus 2017-07-10 21:46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서양인들은 ‘텅 빈 공간‘을 유독 좋아하는 것 같습니다. 지구 내부도 텅 비었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었거든요. ^^

겨울호랑이 2017-07-10 22:29   좋아요 1 | URL
^^: 지구 공동설인가요? 저도 들은 적 있는 것 같습니다. 서양인들은 ‘텅 빈 공간‘과 ‘임자없는 땅‘을 좋아하는 것 같습니다. 조만간 점령하려구요 ^^:

곰곰생각하는발 2017-07-10 21:5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를 존중한 것은 동양이었고
눈에 보이는 세계를 존중한 것은 서양이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 말씀하신 것과 같이.. )

그래서 우리는 아이가 세상 밖으로 나오는 날부터 이미 1살 나이를 먹는 반면에
서양은 세상 밖으로 나오는 날 그 후 1년이 지나면 1살이라고 하지 않습니까..



겨호 님 글 읽을 때마다 참 정성들여 쓴다는 생각이 듭니다.. 정성하면 겨울호랑이 님과 사이러스 님이죠..

겨울호랑이 2017-07-10 22:33   좋아요 0 | URL
^^: 네 곰곰발님 말씀에 공감합니다. 이러한 사고의 차이를 아는 것이 비판적 수용의 전제 조건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곰곰발님처럼 일필휘지, 전광석화같은 순발력이 부족하다보니 글을 좀 미련하게 쓰게 됩니다 ㅋㅋ

2017-07-10 22:1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7-10 22: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oren 2017-07-10 22:5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서로 비슷한 개념 같아도 동양과 서양은 ‘언어 자체‘가 달라서 서로 비교하기가 매우 어려운 개념들이 많다는 생각도 듭니다. 베르그송이 말한 ‘incommensurable(통약불가능한)‘ 측면이 있는 셈이지요. 쇼펜하우어도 이런 점을 재미있게 지적한 적이 있었고요. ‘우주의 비밀‘에 대해 유난히 관심이 많았던 쇼펜하우어는 ‘물질‘을 아무리 쪼개더라도 그 속에 ‘또다른 우주‘가 나타날 거라고 ‘이미 오래 전에‘ 훤히 내다볼 정도였지요. 『호두껍질 속의 우주』에서 인용해 주신 한 대목(‘무엇이 실재이고 무엇이 가상일까‘)을 보니 쇼펜하우어가 유난히 강조했던 ‘마야의 베일‘도 떠오릅니다. 겨울호랑이 님의 글 덕분에 제가 방금까지 찾아 읽었던 몇 대목들을 (댓글창을 도배하는 듯해서 죄송하지만, 염치불구하고) 덧붙여 봅니다.

* * *

˝중국에서는 마호메트 교도도 기독교도도 신성의 이론적 개념을 표현하기 위해 어떤 중국어 낱말도 찾지 못했다. ······ 물질로부터 독립적이고 물질을 마음대로 지배하는 것으로서 신, 영혼, 정신이라는 단어들은 중국어에는 전혀 없다. ······ 이런 사유 과정은 언어 자체와 매우 밀접하게 얽혀 있어서 창세기의 첫 구절을 광범위하게 고쳐 쓰지 않는다면 실제로 중국어가 되도록 중국어로 번역할 수 없다.˝ 바로 그래서 스톤턴 경은 1848년에 『성경을 중국어로 번역하는 데서 신이라는 단어를 표현하는 적절한 방법에 관한 연구』라는 책을 출판했다.

- 쇼펜하우어,『자연에서의 의지에 관하여』

* * *

뱀이라고 생각하고 던져 버리는 새끼줄과도 같은 것

시간에 있어 각 순간은 오직 선행하는 순간, 즉 그 순간의 앞 순간을 없앤 후에만 존재하며, 그 순간 자체도 마찬가지로 곧 없어져 버리는 것이다. 과거도 미래도 그 내용의 연속은 별도로 해도 마치 꿈과 같이 헛된 것이고, 현재는 이 둘 사이에 있는 넓이도 존속성도 없는 경계에 불과한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우리는 충족 이유율의 다른 모든 형태에서도 이와 같은 공허함을 다시 인식할 것이다. 그리고 시간과 마찬가지로 공간도, 또 공간과 마찬가지로 시간과 공간 속에 동시에 존재하는 모든 것, 즉 원인과 동기에서 생기는 모든 것은 상대적인 현존을 가지고 있을 뿐이며, 이와 같은 성질은 그것과 동일한 형태로만 존재하는 다른 것에 의해, 또 그러한 다른 것 때문에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그러한 견해의 근본은 옛날부터 있었다.

헤라클레이토스는 이러한 견해를 이야기하며 사물의 영원한 유동을 탄식했고, 플라톤은 그 대상을 언제나 생성될 뿐 결코 존재하지 않는 것이라고 경시했다. 스피노자는 그러한 것을 존재하고 영속하는 유일한 실체의 단순한 우연성이라고 불렀다. 그리고 칸트는 이렇게 인식된 것을 물자체에 대한 단순한 환상으로 간주했고, 마지막으로 오랜 옛날 인도인의 지혜는 다음과 같이 말해 주고 있다.

그것은 ‘마야(베단타 학파의 술어로 환(幻) 또는 화상(化像)의 뜻, 현상 세계는 진제의 입장에서 보면 마야다)‘다. 인간의 눈을 덮고 이것을 통해 세계를 보게 하는 거짓된 베일이다. 이 세계는 있다고 할 수도 없고 또 없다고도 할 수 없다. 왜냐하면 이 세계는 꿈과 같은 것으로, 방랑자가 멀리서 보물로 생각하는 모래 위에 반짝이는 햇빛과 같으며, 또 그가 뱀이라고 생각하고 던져 버리는 새끼줄과도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 쇼펜하우어,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 * *

그 이상 ‘왜‘ 하고 물을 수 없는 관계

과학 일반의 ‘내용‘을 말한다면, 그것은 본래 언제나 충족 이유율에 따라, 또 이 원리에 의해 비로소 타당하고 의미를 갖는 이유 탐구를 길잡이로 한, 세계의 현상들 사이의 상호 관계다. 이를 표시하는 것이 ‘설명‘이다. 따라서 설명은 두 개의 표상을 이 표상들이 속해 있는 부분을 지배하고 있는 충족 이유율 형태의 상호 관계에서 나타내는 것 이상으로 보여 줄 수는 없다. 설명이 여기까지 진행되면 그 이상은 ‘왜‘라고 질문할 수도 없다. 왜냐하면 거기에 표시된 관계는 오직 그것뿐이며, 그 밖에는 표상할 수 없는 것, 즉 그 관계는 모든 인식의 형식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람들은 왜 2 2=4인가 하고 질문하지 않으며, 왜 삼각형의 각이 같으면 변도 같은가 하고 묻지 않고, 또 왜 전제가 옳으면 결론도 옳은가 하고 묻지도 않는다. 그 이상 ‘왜‘ 하고 물을 수 없는 관계에까지 거슬러 올라가지 않는 설명은 모두 어떤 숨겨진 성질을 상정하여 거기에 머무른다. 그런데 근원적인 자연의 힘은 모두 이런 종류의 숨겨진 성질이다. 어떠한 자연과학적인 설명도 결국은 이러한 자연의 힘, 즉 어떤 컴컴한 곳에 머물러 있어야만 한다. 그래서 자연과학적 설명은 한 인간의 내적 본질과 마찬가지로 돌의 내적 본질에까지도 설명을 가하지 말고 방치해 두어야 한다. 돌이 나타내는 중력, 응집력, 화학적 성질 등을 해명할 수도 없고 또 인간의 인식이나 행동을 해명할 수도 없다. 예를 들면, 중력은 하나의 숨겨진 성질이다. 왜냐하면 중력은 없는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는 것이며, 인식의 형식에서 하나의 필연적인 것으로 나오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 쇼펜하우어,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겨울호랑이 2017-07-10 22:59   좋아요 1 | URL
^^: 언어적 차이 또는 문화 차이는 서로 다른 문명이 교류할 때 변화될 수 밖에 없는듯합니다. 기독교의 ‘하느님‘이 그 예라 생각되네요. oren님께서 일전에 쇼펜하우어와 충족이유율에 대해 알려주셨는데, 이렇게 연결되기도 하는군요! 후에 쇼펜하우어를 깊이있게 읽을 때 좋은 참고가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북다이제스터 2017-07-10 23:01   좋아요 2 | URL
쇼펜하우어의 충족이유율에 반대합니다.
세상은 목적론이 아닌 경우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

oren 2017-07-10 23:32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북다이제스터 님께서 무슨 뜻으로 말씀하시는지 저로선 언뜻 이해하기가 쉽지 않군요. 쇼펜하우어가 쓴『충족이유율의 네 겹의 뿌리에 관해서』에서는 도리어 ‘철학이 신학의 도구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특히나 다른 철학자들이 ‘신의 존재증명‘에 잘못 사용했던 ‘충족이유율‘을 바로잡고 있기도 하고요. ‘알라딘 책소개 글 일부‘만 덧붙이겠습니다.
* * *
‘충족이유율’은 인식이나 사고, 사물 등에는 언제나 충분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는 법칙을 뜻하는 것으로, 모든 판단이나 현상에 대해 “왜”라고 물을 권리를 우리에게 부여한다는 점에서 모든 학문의 기초가 된다. 그런데 쇼펜하우어는 철학사에서 ‘인식이유’와 ‘원인’이 혼동되어 왔으며, 특히 데카르트와 스피노자에게 이 혼동은 의도적인 면이 있다고 비판한다. 즉 데카르트는 ‘원인’을 제시해야 할 곳에 ‘인식이유’를 밀어 넣음으로써 신의 현존에 대한 존재론적 증명의 길을 닦았고, 스피노자는 이 혼동을 범신론의 기초로 삼았다는 것이다. 이 둘의 명확한 구분이 이루어진 것은 칸트가 “모든 명제는 그것의 이유를 가져야 한다”는 인식의 논리적 원칙과 “모든 사물은 그것의 이유를 가져야 한다”는 선험적 원칙을 구별하면서였다. 쇼펜하우어는 여기서 더 나아가 충족이유율을 생성, 인식, 존재, 행위 네 가지 형태로 구분한다.

북다이제스터 2017-07-18 20:15   좋아요 0 | URL
죄송합니다. 답글을 넘 늦게 보고 답변하게 되어 죄송합니다. 쇼펜하우어의 충족이유율이 인류사에 큰 공헌을 한 점을 인정합니다. 충족이유율이 최선 아니지만, 그것 없었다면 과학 발전이 극히 어려웠을 것으로 짐작됩니다. 그렇지만 그것에 경도되면 모든 것이 지향점과 취지, 목적을 가질 때만 원인을 알 수 있다는 의미로 제게 해석되어 그의 충족이유율에 반대합니다. 한마디로 끼워맞추기식이 되는 것 같습니다.

야상곡(夜想曲) 2017-07-10 23:4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노자병법이라는 책을 강추합니다

겨울호랑이 2017-07-11 06:30   좋아요 0 | URL
야상곡님 좋은 책 추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