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道不遠人。人之爲道而遠人,不可以爲道。」

詩云:『伐柯伐柯,其則不遠。』

執柯以伐柯,睨而視之。猶以爲遠。

故君子以人治人,改而止。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도(道)는 사람에게서 멀리 있지 안니하다. 사람이 도를 실천한다 하면서 도가 사람에게서 멀리 있는 것처럼 생각한다면 그는 결코 도를 실천하지 못할 것이다. 

시(詩)는 말한다. '도끼자루를 베네. 도끼자루를 베네. 그 벰의 법칙이 멀리 있지 않아.' 도끼가 꽂힌 도끼자루를 잡고 새 도끼자루를 말들려고 할 때에는 자기가 잡고 있는 도끼자루를 흘깃 보기만 해도 그 자루를 만드는 법칙을 알 수 있는 것이거늘. 오히려 그 법칙이 멀리있다고 생각하니 얼마나 어리석은 일일가! 그러므로 군자(君子)는 사람의 도리를 가지고서, 사람을 다스릴 뿐이니, 사람이 스스로 깨달아 잘못을 고치기만 하면 더 이상 다스리려고 하지 않는다.(p191)


'도끼자루를 자를 때, 그 자루에 관한 법칙(이상적 굵기, 싸이즈) 등은 바로 자기가 들고 있는 도끼자루에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모든 존재에 관한 법칙이 그 존재 자체에 내재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것은 매우 철저한 내재주의 사상이다.'(<중용, 인간의 맛> p195)


'도끼는 나무를 베려고 했다. 하지만 도끼가 나무를 벤다면 도끼는 나무뿌리 밑에 눌려 있을 수 없다. 벤 나무는 자랄 수 없고, 자랄 수 없는 나무는 도끼를 휘 감을 수 없다. 인공언어를 가지고 자연언어를 베려는 것은 자기모순에 빠진다.'

 








 


[그림] <알랙산더의 노동> 마그리트 1950 (출처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image_speech&logNo=70167288801)


'세계 속에 살고 있으므로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그 세계 속의 지식이나 가치에 물들게 마련이다. 우리가 이 선입감을 벗고 세계를 맨 눈으로 보는 것은 불가능하다.

오히려 선이해야 말로 이해의 전제조건이다. 이 선이해를 이해의 지평이라 부른다.

여기에서 지평이 없으면 사물을 이해할 수 없고, 이해가 없는 한 지평을 구성 할 수 없다. 이것은 이상한 고리의 악순환이다. 하지만 해석학은 이 이상한 고리를 적극 받아들인다. '해석학적 순환'은 전체적 지평과 개별적 이해 사이를 오가는 가운데, 우리의 이해는 점점 더 완전해 진다는 것이다. '<미학 오디세이2, 진중권>


같은 나무와 도끼를 보면서도 동양(東洋)의 <중용中庸>에서 자사(子思, BC 483? ~ BC 402?)는 인간의 도(道)가 멀리 있지 않고 가까이 있다는 것을 생각한다. 반면, 마그리트(René François Ghislain Magritte 1898 ~ 1967)는 그의 작품 <알렉산더의 노동>에서 자기모순과 해석의 순환을 발견한다. 분석적으로 사물을 해석하는 서양적 사유체계와 포괄적으로 사물을 이해하려는 동양적 사유체계는 이처럼 다르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느끼게 된다. 다른 한 편으로 같은 사물을 보며 이처럼 다른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있기에 세상은 아름다운 것이고 살만한 곳은 아닐까.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7-02-08 11:1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다른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싫어서 블랙리스트를 쓰다가 걸린 사람들도 있는데, 이런 ‘틀린 생각을 하는 사람’들은 도끼로 쳐내고 싶습니다.

겨울호랑이 2017-02-08 11:42   좋아요 0 | URL
그러게 말입니다... 다른 사람과의 공존을 거부하는 사람들마저 우리는 포용해야하는지 참 고민이 됩니다... 우리도 그들을 거부한다면 달라지는 것은 없을 것 같고. 참 어려운 문제입니다..

oren 2017-02-08 11:2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도끼는 인류 진화 역사에서도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 도구였던 듯해요. ‘도끼에서 싹튼 ‘생각‘의 과거,현재,미래‘라는 제법 거창한 제목을 달아놓고 제가 끄적거렸던 옛날 글을 찾아보니, 제가 한때나마 저런 글을 남겼다는 기억조차도 벌써 희미해져 있더군요. 그 사이에 벌써 도끼자루가 썩었나 봐요.. ㅠㅠ
* * *
초기 인류가 ‘도끼란 어떤 것이어야 한다는 생각‘을 품게 된 것은 대략 지금으로부터 약 70만 년 전이라고 한다. 인간이 불을 처음 사용한 시기였던 142만년 전으로부터 따지면 무려 70만 년 이상이나 더 지난 셈인데, 그 뒤로 인간은 ‘사냥을 통한 육식‘이 가능해지면서 두뇌를 키울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직립 보행 덕분에 인간은 턱의 구조가 바뀌고 혀의 정교한 놀림이 가능해져 언어에 필요한 여러가지 소리를 낼 수 있었다고 한다. 돌도끼의 사용은 결국 사냥한 동물의 영양분을 섭취하기 위한 이빨의 크기까지도 점차 줄이게 되어 언어의 발달에 더욱 좋은 영향을 미치게 되고, 집단 생활에 따른 의사소통의 발달은 결국 생각을 ‘공유‘하는 데까지 이르렀을 것이다.(http://blog.aladin.co.kr/oren/5987175)

겨울호랑이 2017-02-08 11:54   좋아요 0 | URL
Oren님께서 알려주신 서재글을 읽었습니다.^^: 생각의 시작이 ‘석기‘에서 시작되어 이후 불의 발견, 직립보행, 언어의 사용 등으로 이어지면서, 인류는 ‘사유‘할 수 있게 되었다는 좋은 리뷰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Oren님의 글을 통해서 도끼 등 석기는 우리 생활을 지탱해주는 기본도구이면서, 우리 생각의 뿌리가 되는 것을 알게 되었네요. 좋은 채과 멋진 리뷰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Oren님^^;

yureka01 2017-02-08 12:1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근사한 도끼하나 가지고 싶어요...산에 갈려면 도끼는 필수 인데요(아 제가 댓글로 내용과 상관 없는 글만 쓴듯 ㅎㅎㅎㅎ) 도끼의 도리는 내손에 든 도끼와 가깝다..이런 이치에 공감합니다~

겨울호랑이 2017-02-08 12:21   좋아요 2 | URL
^^: ㅋ 아니에요. 유레카님은 사진을 찍기 위해서라도 좋은 도끼가 좋은 이웃처럼 반드시 필요하실 것 같습니다. 그래서 아마 위의 글에 대해서 저보다 더 많이 공감하시리라 생각되네요. 유레카님 즐거운 오후 되세요.

AgalmA 2017-02-08 17:3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유발 하라리 <사피엔스>에 이런 표현이 있더군요.
˝현대 수렵채집인에 대한 인류학적 관찰을 통해서 우리는 고대 수렵채집인들에게 어떤 가능성들이 있었을지 이해할 수 있지만, 고대엔 그 가능성의 지평*이 훨씬 넓었고 그 대부분은 우리 시야에서 가려져 있다˝
*가능성의 지평: 특정 사회에서 열려 있는 신념과 관행, 경험의 스펙트럼 전체를 말한다. 이는 나름의 생태적, 기술적, 문화적 한계를 전제로 한다. 하나의 사회나 개인이 각자의 가능성의 지평 안에서 실제로 탐색하는 범위는 매우 좁게 마련이다.

유발 하라리 <사피엔스>는 포괄적으로 인간 이성의 오류와 한계(...그것에 대해 우리는 모른다가 주를 이룸ㅎ;)를 짚어내는 게 많아 재밌더군요. 인간의 잔인성에 대해서도 많이 생각하게 합니다.

겨울호랑이 2017-02-08 18:57   좋아요 1 | URL
^^: 그렇군요. Agalma님의 글을 읽으니 <사피엔스>는 <생각의 역사>처럼 인류의 기원에 대한 작품인 것 같네요.아직 <사피엔스>를 읽어보지는 않았는데 조만간 읽어야겠네요.ㅋ 읽어야할 책이 많아서 2017년 연말까지 예약이 끝났네요..ㅋ

갱지 2017-02-09 19:1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직도 다른과 틀린을 헷갈려 해,
바깥양반이랑 허구헌날 설전이네요:-p

겨울호랑이 2017-02-09 19:27   좋아요 0 | URL
^^: ‘다른‘과 ‘틀린‘은 많이 다른 말이겠지요? 제가 틀린 것은 아니면 좋겠습니다 ㅋ 갱지님 좋은 저녁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