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리랑 - 조선인 혁명가 김산의 불꽃 같은 삶
님 웨일즈.김산 지음, 송영인 옮김 / 동녘 / 2005년 8월
평점 :
<도올의 중국일기>와 얼마전 종영(2016년 6월)된 TV '차이나는 도올'에도 소개되어 최근 일반에도 어느 정도 알려진 <아리랑>은 일본 제국주의에 맞선 독립운동가 김산(본명 : 장지락)의 독립투쟁기이자 평전이다.
<아리랑>에 그려진 김산의 삶은 여러면에서 윌리엄 듀이커가 쓴 <호치민 평전>과 비교가 된다. 김산과 호치민 모두 제국주의에 의해 식민지로 전락한 조국의 해방을 위해 투쟁한 독립운동가들이었고, 두 사람 모두 제국의 심장부에 들어가 유학 생활을 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투쟁노선으로 공산주의를 선택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두 사람을 연결해 주는 끈은 아마도 1927년 2월 결성된 '동방피압박민족연합'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조선, 중국, 인도, 타이완, 베트남이 연합하여 제국주의에 항쟁하는 연합체에서 두 사람이 서로를 알고 지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두 인물이 만나는 지점이 '동방피압박민족연합'이다.
이후, 두 독립운동가의 결말은 달랐다. 김산은 조국의 해방을 보지 못하고 중국 공산당에 의해 스파이로 몰려 처형되었으나, 호치민은 베트남 해방 후 프랑스와 미국을 차례로 격퇴하며, 독립국가의 주석의 자리에 까지 오르게 된다.
그렇지만, 내게 실패한 혁명가와 국부(國父)로 추앙받는 혁명가의 일생이 주는 감동의 크기는 전자(前者)가 후자(後者)보다 더 크게 다가왔다. 아마도 그것은 '우리역사에 대한 몰입의 차이'과 '작품에 투영된 주인공 내면의 투영도' 때문이 아닐까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대중에게 생소한 베트남 독립운동사보다는 우리 현대사가 더 관심이 가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여기에 <호치민 평전>은 저자인 윌리엄 듀이커가 객관적인 자료를 이용해서 '호치민'의 뒤를 쫓고 있지만, 미국인인 저자의 시점에서 그려지기 때문에 호치민의 심경은 철저히 배제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반해, <아리랑>에서는 주로 주인공의 입을 통해 이야기가 전개되기 때문에 <아리랑> 속에서 인간 '김산'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아리랑>은 쉽게 읽을 수 있는 작품이다. (페이지 수도 <호치민 평전>의 절반인 500페이지밖에 안되서 읽는 부담을 줄여준다.)
<아리랑>의 매력은 이러한 김산의 인간적인 모습이 작품에 반영되었다는 사실 외에 역사적 사실의 영향에 대해 생생하게 그려내고 있다는 사실을 들 수 있다. 지식인인 김산의 시각에서 그려진 역사적 사건은 우리가 잘 알지 못했거나 잘못 알고 있는 사실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 준다. 대표적인 사례로 2가지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1919년 3.1운동 : 소련에 대한 기대
'3.1운동의 본질은 1907년에 시작되어 오랜 시간을 거치면서 점차 축척되어 온 민족운동의 표출이었다. 이 운동의 가장 커다란 추진력은 반일저항운동의 활동적인 중심부를 이루고 있는, 국경 너머 만주에서의 조선민족운동이었다. 이 운동은 망명한 구한말 병사와 사관들에 의해 지도되었다.' (p100)
민족자결주의의 이상속에서 평화적으로 시도된 3.1운동은 재판할 경우 무죄가 될 것을 우려한 일본경찰에 의해 학살되는 참상으로 끝나게 되었다. 처음 '영국' 등 문명대국의 이성적 가치에 기대를 걸었던 조선 지식인들은 이러한 현실에 절망하고, 투쟁의 협력자로 새로 성립된 '소련(소비에트 연방)'에 기대를 걸게 되었다. 그리고, 독립운동가 중에 공산주의자가 많아지게 된 원인이 되었다.
2. 1923년 관동 대지진 : 꾾어진 일본 프롤레타리아와의 연대
'1923년 사건은 큰 방향을 불러일으켰다. 몇몇 일본의 중요한 정치가는 그 배반적인 학살 후에 극동의 어느 민족도 더는 일본이 보이는 거짓 '우호'에 속지 않을 것을 깨달았고, 자기들이 한 짓거리에 당황했다... 이 때문에 일본은 '대동아공영권'이라는 사상을 열심히 선전하기 시작했으며, 지금에 이르기까지 이 구호를 열광적으로 들먹이고 있는 것이다... 민족주의 운동이 급진화되었고 소극적인 대일 우호 감정까지도 깨끗이 씻겨버렸다.'(p118)
1920년 초반까지만 해도, '일본 내 일본인'들을 '조선 내 일본인'들과는 달리 계급투쟁의 동료로 생각하던 분위기는 관동 대지진 후 이루어진 '조선인 학살'로 냉각되어 '조-중 항일투쟁'의 분위기가 강해지게 되었다.
이러한 거대한 역사적 흐름 속에서 인간 '김산'이 어떻게 투쟁했고, 절망했는지가 그려져 있다. 그의 삶을 지배한 사상은 마지막 '25장 패배하더라도 좌절하지 않는 자만이'속에 잘 나타나 있다.
(밑줄 긋기)
전체적으로 <아리랑>에는 혁명가로서의 김산의 모습이 강하게 그려지지만, 그가 스스로 절망하여 자살을 시도하려고 할 때 그의 독립운동가로서의 모습이 잘 나타난다.
'나는 아름답고 맑은 조국의 강들을 떠올렸다. 그곳이라면 즐거이 뛰어들텐데...... 나는 바야흐로 죽음을 앞두고 조국, 그대를 -그대의 아름다운 강과 사랑스런 푸른 산을- 떠올려 보았다. 그대의 자식은 나약하지만 삼천리 강산은 강하다. 우리가 모두 이국땅에서 죽더라도 삼천리 강산만은 살아남으리라... 그대를 위하여, 인류의 자유를 위하여 싸우느라고 내 몸은 망가져버렸다. .. 심지어는 혼마저도 죽어버렸다.'(p393)
인간이 죽음 앞에 직면했을 때 모든 것을 내려놓는다고 한다.
김산은 죽음의 순간 속에서 조국을 그리워했다. 위의 말 속에서 그의 마음과 삶의 목표를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우리는 목숨을 바쳐 독립을 위해 싸워간 독립운동가들의 전형적인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아리랑>을 읽고 난 후 '일제 시대'를 다시 생각하게 된다.
우리 민족에게 닥친 역사적 암흑기 속에서 얼마나 많은 선조들이 후손들에게 제대로 된 나라를 물려주겠다고 자신의 목숨을 버렸던가. 역사의 암흑기에서 고귀한 희생이 빛났던 찬란한 슬픔의 시기가 일제 시대는 아니었을까. 마치 깊은 새벽 밤 속에 빛나는 별들처럼. 그리고, 그들의 빛나는 정신은 어둠이 너무도 깊었기 때문에 더 빛난다는 역설적인 상황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해 보게 된다.
` 내 전 생애는 실패의 연속이었다... 나는 단 하나에 대해서만- 나 자신에 대하여- 승리했을 뿐이다. 그렇지만 계속 전진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는 데는 이 하나의 작은 승리만으로도 충분하다.`(p464)
`중요한 것은 단 하나뿐이라는 사실을 배웠다. 민중과의 계급관계를 유지하는 것. 왜냐하면 민중의 의지는 역사의 의지이기 때문이다.`(p465)
`우월한 권력에 대항하여 개인적으로 싸우는 것은 쓸데없는 비극에 지나지 않는다. 힘에 대해 저항할 수 있는 대등한 힘을 조직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리고 그 힘을 동원할 수 없다면 행동을 늦추어야 한다.`(p466)
`도덕적 용기야말로 혁명 윤리의 정수인 것이다. 자기 견해 표현의 자유를 행사를 박탈하려는 자들에게 굴복할 때, 혁명가는 자기의 임무에 실패하고 있는 것이다.`(p467)
`다년간의 마음의 고통과 눈물을 통하여 "오류"가 필수적이며 따라서 선이라는 것을 배웠다. 오류는 인간 발전의 통합적인 일부분이며, 사회변화 과정의 통합적인 일부분인 것이다.`(p4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