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 - 조선인 혁명가 김산의 불꽃 같은 삶
님 웨일즈.김산 지음, 송영인 옮김 / 동녘 / 200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올의 중국일기>와 얼마전 종영(2016년 6월)된 TV '차이나는 도올'에도 소개되어 최근 일반에도 어느 정도 알려진 <아리랑>은 일본 제국주의에 맞선 독립운동가 김산(본명 : 장지락)의 독립투쟁기이자 평전이다.


<아리랑>에 그려진 김산의 삶은 여러면에서 윌리엄 듀이커가 쓴 <호치민 평전>과 비교가 된다. 김산과 호치민 모두 제국주의에 의해 식민지로 전락한 조국의 해방을 위해 투쟁한 독립운동가들이었고, 두 사람 모두 제국의 심장부에 들어가 유학 생활을 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투쟁노선으로 공산주의를 선택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두 사람을 연결해 주는 끈은 아마도 1927년 2월 결성된 '동방피압박민족연합'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조선, 중국, 인도, 타이완, 베트남이 연합하여 제국주의에 항쟁하는 연합체에서 두 사람이 서로를 알고 지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두 인물이 만나는 지점이 '동방피압박민족연합'이다.


이후, 두 독립운동가의 결말은 달랐다. 김산은 조국의 해방을 보지 못하고 중국 공산당에 의해 스파이로 몰려 처형되었으나, 호치민은 베트남 해방 후 프랑스와 미국을 차례로 격퇴하며, 독립국가의 주석의 자리에 까지 오르게 된다. 


그렇지만, 내게 실패한 혁명가와 국부(國父)로 추앙받는 혁명가의 일생이 주는 감동의 크기는 전자(前者)가 후자(後者)보다 더 크게 다가왔다. 아마도 그것은 '우리역사에 대한 몰입의 차이'과 '작품에 투영된 주인공 내면의 투영도' 때문이 아닐까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대중에게 생소한 베트남 독립운동사보다는 우리 현대사가 더 관심이 가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여기에 <호치민 평전>은 저자인 윌리엄 듀이커가 객관적인 자료를 이용해서 '호치민'의 뒤를 쫓고 있지만, 미국인인 저자의 시점에서 그려지기 때문에 호치민의 심경은 철저히 배제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반해, <아리랑>에서는 주로 주인공의 입을 통해 이야기가 전개되기 때문에 <아리랑> 속에서 인간 '김산'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아리랑>은 쉽게 읽을 수 있는 작품이다. (페이지 수도 <호치민 평전>의 절반인 500페이지밖에 안되서 읽는 부담을 줄여준다.)


<아리랑>의 매력은 이러한 김산의 인간적인 모습이 작품에 반영되었다는 사실 외에 역사적 사실의 영향에 대해 생생하게 그려내고 있다는 사실을 들 수 있다. 지식인인 김산의 시각에서 그려진 역사적 사건은 우리가 잘 알지 못했거나 잘못 알고 있는 사실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 준다. 대표적인 사례로 2가지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1919년 3.1운동 : 소련에 대한 기대


'3.1운동의 본질은 1907년에 시작되어 오랜 시간을 거치면서 점차 축척되어 온 민족운동의 표출이었다. 이 운동의 가장 커다란 추진력은 반일저항운동의 활동적인 중심부를 이루고 있는, 국경 너머 만주에서의 조선민족운동이었다. 이 운동은 망명한 구한말 병사와 사관들에 의해 지도되었다.' (p100)


민족자결주의의 이상속에서 평화적으로 시도된 3.1운동은 재판할 경우 무죄가 될 것을 우려한 일본경찰에 의해 학살되는 참상으로 끝나게 되었다. 처음 '영국' 등 문명대국의 이성적 가치에 기대를 걸었던 조선 지식인들은 이러한 현실에 절망하고, 투쟁의 협력자로  새로 성립된 '소련(소비에트 연방)'에 기대를 걸게 되었다. 그리고, 독립운동가 중에 공산주의자가 많아지게 된 원인이 되었다.


2. 1923년 관동 대지진 : 꾾어진 일본 프롤레타리아와의 연대


'1923년 사건은 큰 방향을 불러일으켰다. 몇몇 일본의 중요한 정치가는 그 배반적인 학살 후에 극동의 어느 민족도 더는 일본이 보이는 거짓 '우호'에 속지 않을 것을 깨달았고, 자기들이 한 짓거리에 당황했다... 이 때문에 일본은 '대동아공영권'이라는 사상을 열심히 선전하기 시작했으며, 지금에 이르기까지 이 구호를 열광적으로 들먹이고 있는 것이다... 민족주의 운동이 급진화되었고 소극적인 대일 우호 감정까지도 깨끗이 씻겨버렸다.'(p118)


1920년 초반까지만 해도, '일본 내 일본인'들을 '조선 내 일본인'들과는 달리 계급투쟁의 동료로 생각하던 분위기는 관동 대지진 후 이루어진 '조선인 학살'로 냉각되어 '조-중 항일투쟁'의 분위기가 강해지게 되었다.


이러한 거대한 역사적 흐름 속에서 인간 '김산'이 어떻게 투쟁했고, 절망했는지가 그려져 있다. 그의 삶을 지배한 사상은 마지막 '25장 패배하더라도 좌절하지 않는 자만이'속에 잘 나타나 있다.

(밑줄 긋기)


전체적으로 <아리랑>에는 혁명가로서의 김산의 모습이 강하게 그려지지만, 그가 스스로 절망하여 자살을 시도하려고 할 때 그의 독립운동가로서의 모습이 잘 나타난다.


'나는 아름답고 맑은 조국의 강들을 떠올렸다. 그곳이라면 즐거이 뛰어들텐데...... 나는 바야흐로 죽음을 앞두고 조국, 그대를 -그대의 아름다운 강과 사랑스런 푸른 산을- 떠올려 보았다. 그대의 자식은 나약하지만 삼천리 강산은 강하다. 우리가 모두 이국땅에서 죽더라도 삼천리 강산만은 살아남으리라... 그대를 위하여, 인류의 자유를 위하여 싸우느라고 내 몸은 망가져버렸다. .. 심지어는 혼마저도 죽어버렸다.'(p393)


인간이 죽음 앞에 직면했을 때 모든 것을 내려놓는다고 한다.

김산은 죽음의 순간 속에서 조국을 그리워했다. 위의 말 속에서 그의 마음과 삶의 목표를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우리는 목숨을 바쳐 독립을 위해 싸워간 독립운동가들의 전형적인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아리랑>을 읽고 난 후 '일제 시대'를 다시 생각하게 된다. 

우리 민족에게 닥친 역사적 암흑기 속에서 얼마나 많은 선조들이 후손들에게 제대로 된 나라를 물려주겠다고 자신의 목숨을 버렸던가. 역사의 암흑기에서  고귀한 희생이 빛났던 찬란한 슬픔의 시기가 일제 시대는 아니었을까. 마치 깊은 새벽 밤 속에 빛나는 별들처럼. 그리고, 그들의 빛나는 정신은 어둠이 너무도 깊었기 때문에 더 빛난다는 역설적인 상황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해 보게 된다.

` 내 전 생애는 실패의 연속이었다... 나는 단 하나에 대해서만- 나 자신에 대하여- 승리했을 뿐이다. 그렇지만 계속 전진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는 데는 이 하나의 작은 승리만으로도 충분하다.`(p464)

`중요한 것은 단 하나뿐이라는 사실을 배웠다. 민중과의 계급관계를 유지하는 것. 왜냐하면 민중의 의지는 역사의 의지이기 때문이다.`(p465)

`우월한 권력에 대항하여 개인적으로 싸우는 것은 쓸데없는 비극에 지나지 않는다. 힘에 대해 저항할 수 있는 대등한 힘을 조직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리고 그 힘을 동원할 수 없다면 행동을 늦추어야 한다.`(p466)

`도덕적 용기야말로 혁명 윤리의 정수인 것이다. 자기 견해 표현의 자유를 행사를 박탈하려는 자들에게 굴복할 때, 혁명가는 자기의 임무에 실패하고 있는 것이다.`(p467)

`다년간의 마음의 고통과 눈물을 통하여 "오류"가 필수적이며 따라서 선이라는 것을 배웠다. 오류는 인간 발전의 통합적인 일부분이며, 사회변화 과정의 통합적인 일부분인 것이다.`(p471)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4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프리쿠키 2016-08-29 11:1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차이나는도올에서 매력쩌는 김산과 님웨일스와의 만남을 생생하게 묘사하던데 심쿵했습니다.ㅎ 님웨일스의 남편이 애드거스노우란 사실도 배웠구요. 아리랑을 탈고하며 말한 대목이 기억에 남네요
˝현대는 사람들의 정신이 시험받고 있는 시대다. 우리는 백년을 단 하룻만에 파악해야 하고 역사는 뇌세포의 진동보다 빠르게 흘러간다. 혼란과 공포로 현기증이 일때면 나는 이따금씩 연안의 그 옹색한 방안에서 꾸밈없이 조용하게 자신의 이야기를 해주던 김산을 생각한다. 그는 환상도 없었지만 냉소주의자도 아니었다. 그는 패배주의라는 질병을 이겨낸 지식인이었다˝ 늘 노려보고만(?) 있던 책이라 호랭이님의 리뷰가 반가웠어요^^;

겨울호랑이 2016-08-29 11:43   좋아요 1 | URL
^^: `차이나는 도올`에서 김산을 매우 멋있게 묘사했지요. 저도 기억이 나네요. 그런 느낌을 가지고, <아리랑>을 읽으면 그의 멋이 이런 아픔속에서 피었났다는 사실을 더 잘 느끼게 되는 것 같아요. 북프리쿠키님께서는 인상적으로 김산과 님웨일스의 만남을 기억하시네요. 특히, 북프리쿠키님께는 더 의미있는 작품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붉은눈 2016-08-29 11:3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김산과 호치민을 이렇게 비교하며 읽을 수도 있겠군요. 역사의 연결점과 고리들은 실로 그 확장성이 방대한 것 같아요. 겨울호랑이님 리뷰를 읽다보니 <호치민 평전>에 이은 숙제가 하나 더 생긴 것 같네요. 자살에 앞선 그의 생각 속에서 지금 저는 너무 무심히 쓰고 있는 `조국`과 `국가`의 어감에 대해서도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되었네요.

겨울호랑이 2016-08-30 23:07   좋아요 1 | URL
^^: 네. 저는 실패한 혁명가 VS 성공한 혁명가 측면에서 생각해 봤습니다. 아직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체 게바라`와 `마오쩌뚱`도 어떤 도식에서 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됩니다. 붉은눈님의 글을 읽다보니, 저도 과제를 하나 더 받았네요.^^: 저는 미처 생각하지 못한 부분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맛있는 점심 하시고, 좋은 하루 되세요. 붉은눈님!

cyrus 2016-08-29 13:0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별밤 사진을 보면서 윤동주 시인의 `별 헤는 밤`이 생각났습니다.

겨울호랑이 2016-08-29 13:15   좋아요 0 | URL
네, 윤동주 시인도 암흑기를 살던 분이시지요... 그분에게 `별`은 어떤 의미였을지 궁금해지네요..^^: cyrus님 감사합니다.

Grace 2016-08-30 19:5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고은의 만인보를 보는 중인데,
<김성숙>이란 제목의 시에
장지락, 김산, 님웨일즈, 아리랑 등등이 나옵니다.
잘 모르는 부분이라 무심히 읽고 지나쳤는데,
겨울호랑이님의 위의 글을 읽어보니 <김성숙>이란 시가
확연히 이해 되네요.
감사합니다.^^

겨울호랑이 2016-08-30 22:12   좋아요 0 | URL
그렇군요^^: 저는 고은님의 <김성숙>이라는 시를 Grace님 덕분에 알게 되었어요. 꼭 읽어보려 합니다. 감사합니다^^

수이 2016-10-02 12:0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사랑하는 김산_ 이렇게 마주하니 새삼 가슴 뛰는걸요. 잘 읽었습니다, 겨울호랑이님 :)

겨울호랑이 2016-10-02 10:56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야나님^^: 야나님께 칭찬을 들으니 저도 가슴이 뜁니다^^: 야나님, 행복한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