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 - 과학, 어둠 속의 촛불 ㅣ 사이언스 클래식 38
칼 세이건 지음, 이상헌 옮김, 앤 드루얀 기획 / 사이언스북스 / 2022년 2월
평점 :
나에게 <코스모스>는 무척이나 유익해서 가슴 속에 새겨져 있다.
이 책,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도 읽고 보니 그러하다.
좀더 빨리 읽었더라면 좋았을 것을 싶지만 지금에라도 읽게 되었으니 다행이다 싶은 생각도 많다.
점괘, 타로, 크롭써클, 화성의 인면암, UFO, 외계인, 유리겔라, 예언 등등의 것들...
유사과학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지 이제 확연히 알겠다.
그런데 <롭상람파의 가르침>을 읽고 죽음에 대한 생각이 확고해져서 죽음 이후가 두렵다는 생각이 없었는데 이 책을 읽고 난 후 지금은 어떻게 죽음을 바라봐야 하는지 갈팡질팡이 되긴 한다.
과학 뿐만이 아니라 국가와 민족, 지구, 우주에 대한 애정까지 모두 보여줘서 참 좋다.
특히 마녀사냥에 대해 더 잘 알게 되어서 지금 이 시대에 살고 있는 것이 얼마나 고맙게 느껴진다.
지금 이 현실을 비판하는 사람에게 그래도 봉건제보다는 낫지 않나?라고 대답하시던 법륜스님의 즉문즉설도 떠오른다.
이런 교수님에게서 가르침을 받을 수 있었던 학생들이 부럽다. 무척 부럽다.
내겐 상당히 훌륭한 책이어서 읽는 내내 아주 기뻤다.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에서 나는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 덕분에 중심을 잡고 잘 살아낼 수 있을 것이다.
* 유사 과학은 틀린 과학과 다르다. 과학은 오류를 바탕으로 발전한다. 과학은 오류를 하나씩 제거해 나가는 방식으로 발전하는 것이다. 언제나 틀린 결론이 있었지만 그것들은 잠정적이다. 가설들이 세어지지만, 그것들은 언제나 반박될 수 있다. (...) 물론 과학적 가설이 반박되는 경우에 독특한 감정이 일어 마음이 상하기는 하지만, 반증을 제기할 수 있다는 사실 자체가 과학이라는 일의 정수이다. 유사과학은 정반대이다. 유사과학의 가설들은 어떤 실험을 통해서도 반증할 수 없도록 설계되어 있다. 심지어는 원리적으로 반증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 타블로이드 스타일의 싸구려 기사가 그렇게 확산되는 것은 팔리기 때문이다. 그것이 팔리는 이유는 단조로운 일상을 벗어나게 해 줄 자극을 갈망하고, 어린 시절에 우리가 느꼈던 불가사의한 경이를 다시 르끼고 싶어 하며, 인류보다 오랜 역사를 살아 오며 더 슬기로워진 누군가가 우리를 지켜보고 있다는 믿을 얻고자 하는 사람들이 우리 가운데 많기 때문이다. (...) 타블로이드 매체들은 (...) 유사과학과 사이비 종교를 하나로 묶는다.
* 과학은 우리의 신앙에서 유령과 마녀를 쫓아냈지만 곧바로 그 자리를 똑같은 기능을 하는 외계인으로 채웠을 뿐이다.
* 우리는 지구 환경의 은혜를 입으며 살고 있다.
* 실제로 세계의 질서, 심지어 서계의 존재 자체도 신들이 아닌 바로 자연의 법칙과 힘에 달려 있다고 주장한 최초의 사람들이 고대 그리스의 식민지였던 이오니아 지역에 살았던 이오니아 인들이었다.
* 그들에게 우리가 던져야 할 질문은 "우리가 어떻게 아는가?"여야 했다.
* '의심할 줄 아는 정신과 경이를 느낄 줄 아는 감성'
* <엔처럼 적확한 조언이 가능하고 판단력이 뛰어나며 유머 감각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용기와 비전도 가진 이가 나의 사랑이라니, 나는 정말로 운 좋은 사람이다.>
이 글은 책의 마지막에 저자가 그의 아내에게 감사의 마음을 적은 것 중의 일부분이다.
십 수년 전, 나의 남편은 그의 논문의 감사 글에 가족에 대한 언급을 안했더라.
칼 세이건의 이 글을 보니 남편에 대한 그때의 서운함이 다시금 되살아나 심~~~히 출렁거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