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보궐 신체부(辛替否)가 상소하였다. "옛날부터 왕도를 잃고 나라를 깨뜨리며 집안을 망치는 사람은 입으로 말하는 것이 몸으로 만나는 것 같지 못하고 귀로 들어도 눈으로 보는 것 같지 못하니, 신이 청컨대 폐하께서 눈으로 본 것을 가지고서 말하게 해 주십시오."

애초에, 고려가 이미 멸망하자 그 별종인 대조영(大祚榮)이 거주지를 영주(營州, 요녕성 조양시)로 옮겼다. 이진충(李盡忠)이 반란을 일으키자 대조영은 말갈족 걸사바우(乞四北羽)와 더불어 무리를 모아 동쪽으로 달아나서 험준한 곳에서 막으며 스스로를 견고히 하였으며 이진충이 죽자 무후(武后)는 장군인 이해고(李楷固)로 하여금 그의 나머지 무리를 토벌하도록 하였다.

이해고는 걸사바우를 쳐서 그의 목을 베고 군사를 이끌고 천문령(天門嶺, 길림성 돈화시 서북)을 넘어서 대조영을 압박하였다. 대조영이 맞서 싸우자 이해고는 크게 패배하여 겨우 몸만 모면하였다. 대조영은 드디어 그의 무리를 인솔하고 동쪽으로 가서 동모산(東牟山, 길림성 돈화시 북부)을 점거하고 성을 쌓고서 그곳에 거주하였다.

대조영은 날래고 용맹하여 싸움을 잘하였고 고려와 말갈 사람들이 조금씩 그에게 귀부하였고, 땅이 사방으로 2천 리이고 가호가 10여 만이었으며 승병(勝兵)이 수만이었는데, 스스로 진국왕(振國王)이라 칭하고 돌굴에 붙었다. 이 당시에 해(奚)와 거란이 모두 배반하였고 도로가 막히고 끊어져서 무후는 토벌할 수 없었다.

진실로 충성스럽고 정직한 사람은 대부분 뜻을 거스르고 아첨하고 사악한 사람은 대부분 지시하는 것에 순종하는데, 거스르는 일이 쌓여서 미움을 만들고 순종하는 일이 쌓이면 사랑을 만들어내니, 이것이 가까이하는 사람과 멀리하는 사람으로 나누어지는 까닭입니다.

현명한 주군은 그렇지 않습니다. 거스르는 것을 아껴서 충성스럽고 어진 사람을 거두어들이고 순종하는 것을 미워하여 아첨하고 사악한 사람을 제거하니, 태종의 태평스러운 대업이 장차 어찌 멀어지겠습니까!

"무릇 법은 간결한 것을 귀하게 여기면 금지될 수 있고, 벌은 가볍게 처리하는 것을 귀하게 여기면 반드시 시행되는데, 폐하께서 바야흐로 지극한 은덕을 일으키고 높이시며 새로운 정치를 크게 펼치시니, 청컨대 자잘한 것들은 일체 없애고 작은 허물은 살피지 마십시오.

사소한 잘못을 살피지 않으면 번거롭게 가혹한 일이 없고 큰 죄를 새나가게 하지 않으면 간악한 일을 멈추게 하니 간결하게 하나 범하기 어렵고 관대하나 통제할 수 있으면 훌륭합니다."

황상은 이미 두회정 등을 죽이고 육상선을 불러 말하였다. "추운 때에야 소나무와 잣나무를 안다고 하였는데 믿을 만하구나!"

"사람에게 일을 맡기면서 재능에 맞게 하고 정치를 하는 큰 근본은 그와 더불어 다스리는데, 이 길을 벗어나는 것은 없습니다. 예전의 인재 채용은 사람을 알아보는 식견이 없어서가 아니고 그것을 잃어서 빠지게 된 까닭은 인정에 따라서 천거한데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릇 천명을 도운 공훈을 가지고 있어야 비로소 띠풀을 나누어 토지로 보답하였습니다. 나라의 초기에 공신 중에서 식읍으로 책봉 받은 사람은 20~30가호(家戶)에 지나지 않았으나 지금은 은덕으로 식읍을 책봉 받은 사람이 마침내 100여를 넘는데, 국가의 조부(租賦)는 태반이 사사로운 가문에 있고, 사사로운 가문에서는 남는 것이 있어서 다만 사치를 늘리지만, 공가(公家, 관부)에서 쓸 것이 부족하여 앉아서 근심과 위태로움을 불러일으키니 나라를 통제하는 방도를 어찌 얻었다고 하겠습니까!

"총애를 받는 사람들에게 은혜를 주는 것은 다만 부유하게 될 수 있는 금과 비단 그리고 쌀밥과 고기반찬을 먹이는데 그칠 뿐이지 공기(公器, 공적 그릇 즉 관직)를 사사로운 용도로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지금 늘어놓은 지위가 이미 넓고 쓸데없는 인원이 두 배로 되었으나 구하고 찾는데 만족하지 않고 날과 달로 수를 늘리며, 폐하께서는 셀 수 없이 많은 은덕을 내리시고, 가까운 친척들은 끝이 없이 그것을 요청하고 관직을 팔아 자기를 이롭게 하며 법을 팔아 사사로운 것을 따릅니다.

유유구가 말하였다.

"신이 듣건대, 천하의 재앙을 없애는 사람은 응당 천하의 복을 향유해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평왕은 사직의 위태로움을 건지고 주군과 부모의 어려운 일을 구원하였으니, 공로을 평가한다면 이보다 더 큰 것이 없고, 덕망을 말하여도 가장 어지시니 의심할 만한 것이 없습니다."

군주란 사람을 근본으로 삼는 것인데, 근본이 굳으면 나라가 평안하며 나라가 평안하면 폐하의 부부(夫婦)와 모자(母子)는 오랫동안 서로 보전됩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1-12-30 13:1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12-30 18: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처음 대왕을 뵙고 운 것은 대왕께서 장차 사형을 받아 죽는 것과 멸족(滅族)될 것을 서러워한 것입니다. 뒤에 마침내 크게 웃은 것은 대왕께서 저 정음을 얻은 것을 기뻐하였던 것입니다. 대왕께서는 비록 천자의 마음을 얻었지만 저들 다섯 명이 모두 장군과 재상의 권력을 점거하고 있고 담력과 지략이 보통사람들을 넘어서 태후 폐하기를 손바닥을 뒤집는 것처럼 하였습니다. 대왕께서 스스로 보시기에 권세와 지위가 태후와 더불어 누가 무겁겠습니까?

강호(江湖)의 넉넉함은 낳고 키우는데 끝이 없지만, 부고(府庫)의 비용은 지급하고 공급받는 것이 쉽게 다합니다. 비용이 만약에 적으면, 구제하는 것을 어찌 이룰 수 있겠습니까! 사용하는 금액이 가령 많이 하면 늘 지출하는 것이 모자라는 것입니다.

사물을 구해주는 것이 어찌 사람을 걱정해 주는 것과 견줄 수 있겠습니까? 또 산 것<물고기>을 팔아서 살아가는 무리들은 오로지 이득이 보이고 전도(錢刀)가 날마다 이르니 물고기 잡는 그물을 해마다 늘려서, 이것을 시행하는 날은 하루이지만 이를 운영하는 것은 백배로 늘어날 것입니다.

아직은 죄를 용서 받으려고 사용하는 돈이나 물건을 돌이키시고, 가난하고 없는 백성들에게 요역(?役)과 부세(賦稅)를 줄여서 나라를 살리고 백성을 사랑하는 것만 같지 아니하니, 그 복(福)이 저것보다 더 낫습니다."?

"《시경(詩經)》은 300편이지만 한마디로 그것을 덮어서 말하면 ‘사무사(思無邪)’라고 하였습니다.? 만약 신선(神仙)이 있어서 사람들로 하여금 죽지 않게 할 수 있다면 곧 진 시황과 한 무제가 그것을 얻었을 것입니다. 부처가 사람들에게 복과 이로움을 줄 수 있다면 양 무제(梁 武帝)가 그것을 얻었을 것입니다.

요(堯)와 순(舜)이 제왕의 우두머리가 된 까닭은 역시 사람들의 일을 닦으며 다스린 것뿐입니다. 이런 무리들을 높여 주시고 총애하시는 것이 어찌 나라에 보탬이 되겠습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날의 가람(伽藍, 불교 절)은 만든 것이 궁궐을 뛰어넘습니다. 공력에서는 귀신을 부릴 수 없으면서 오직 사람을 부려먹는데 있으며, 사물은 하늘로부터 내려온 것이 아니라 끝내는 반드시 땅으로부터 나오는 것이며, 백성들에게서 덜어내지 않는다면 장차 어디에서 구하겠습니까!"

정치를 하는 사람이 진실로 월령(月令)에 따르고, 예경(禮經)에 합하면 저절로 사물은 그 생명을 키우고, 사람은 그 본성을 얻을 것입니다.

신라왕 김리홍(金理洪, 32대 孝昭王)이 사망하여, 사신을 파견하여 그의 동생인 김숭기(金崇基, 33대 聖德王)를 왕으로 세웠다.

소안항(蘇安?) 역시 상소하였다.
"폐하께서 혁명(革命)하신 처음에는 사람들이 폐하를 간하는 말을 받아들이는 주군(主君)으로 여겼지만, 나이가 드신 이래로 사람들은 폐하를 아첨하는 사람을 받아들이는 주군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위원충을 감옥에 가두고부터 마을의 거리가 어수선합니다."

이는 마침내 간악한 신하의 속이는 계책인데 만약 내버려 두라고 말씀하신다면 누가 형벌을 받을 수 있겠습니까! 하물며 일이 이미 다시 일어났는데도 폐하께서 모두 풀어주고 묻지 않으신다면 장창종으로 하여금 더욱 스스로 계책이 이루어졌다고 믿도록 하는 것이며, 천하에서는 또 천명(天命)을 받은 사람은 죽지 않았다고 여기도록 하는 것이니, 이는 마침내 폐하께서 그가 난을 일으키도록 키우고 이루어지게 하는 것입니다. 참으로 역적질을 한 신하를 주살하지 않으시면 사직은 망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라에는 일정한 법이 있는데 짐이 어찌 감히 어기겠는가! 중간에 그것이 사실이 아닌 까 의심하여 가까운 신하로 하여금 감옥으로 가서 바른대로 묻도록 하였는데, 그들이 손으로 쓴 상황을 얻어 보면 모두 스스로 승복(承服)하였으니, 짐(朕)이 의심할 것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묵철(??)이 조정에 편지를 보내어 헤아리며 말하였다.
"우리에게 삶은 곡식의 종자를 주어서 이를 심었으나 싹이 트지 않았으니 첫 번째이다. 금과 은으로 된 그릇은 모두 거리에 넘쳐나는 것이어서 진귀한 물건이 아니니 두 번째이다. 내가 사신에게 준 붉은 자색의 의복을 모두 빼앗았으니 세 번째이다. 명주와 비단은 모두 거칠고 나쁘니 네 번째이다. 나 가한(可汗)의 딸은 마땅히 천자의 아들에게 시집을 가야하며, 무씨(武氏)는 작은 성(姓)이어서 집안으로서 짝이 아닌데도 속이고 무릅쓰면서 혼인하려 하였으니 다섯째이다. 나는 이것 때문에 병사를 일으켜서 하북(河北, 황하 북쪽)을 빼앗고자 할 뿐이다."

태후가 명하여 그를 앉게 하고 묻자, 길욱이 말하였다.
"물과 흙을 섞으면 진흙이 되었다고 하여 다툼이 있겠습니까?"
태후가 대답하였다. "없다."
또 말하였다. "나누어 반은 부처로 하고, 반은 천존(天尊)으로 하면 다툼이 있겠습니까?"
대답하였다. "다툼이 있다."
길욱이 머리를 조아리며 말하였다. "종실과 외척은 각각 그 분수를 맡게 된다면 천하가 편안합니다. 지금 태자가 이미 세워졌는데도 외척(外戚)을 오히려 왕으로 삼으셨으니, 이는 폐하께서 그들을 몰아서 훗날에 반드시 다툼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며, 둘 다 편안하지 않을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