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놉티콘 : 제러미 벤담 책세상문고 고전의세계 64
제러미 벤담 지음, 신건수 옮김 / 책세상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파놉티콘(Panopticon)'은 영국 공리주의자 제러미 벤담 (Jeremy Bentham, 1748 ~ 1832)에 의해 설계된 감옥을 의미한다. <파놉티콘>에서 벤담은 그가 설계한 이상적인 감옥을 간결하면서도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글 서두에서 저자는 다음과 같이 파놉티콘을 묘사한다.


[그림] 파놉티콘 (출처 : 허핑턴 포스트)


'여러분에게 제안하는 감옥 maison de penitence은 원형 건물이다. 어떠면 이것은 한 건물 안에서 다른 하나를 넣은 두 채의 건물이라고 말하는 것이 나을지 모르겠다. 감옥 둘레에는 둥근 모양의 6층짜리 바깥 건물이 있다. 이곳에 죄수들의 수용실이 배치된다. 수용실 내부는 두껍지 않은 쇠창살로 되어 있어 한눈에 [안을] 볼 수 있으며, 수용실은 문이 안쪽으로 열린다. 각 층에는 좁은 복도가 있으며, 이 복도는 하나로 통해 있다. 각 수용실의 문은 이 복도로 나 있다. 중앙에는 탑이 있다. 그곳에 감독관들이 머문다. 이 탑은 3층으로 나뉘어 있다. 각 층은 수감자 수용실들을 2층씩 내려다보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감시탑은 바깥을 환히 내다볼 수 있는 발로 가려진 복도로 둘러싸여 있다. 이 장치 [발]로 인해 감독관들은 [수감자들에게] 잘 보이지 않으면서 수용실 전체를 구석구석 감시할 수 있다.... 이 감옥의 본질적인 장점을 한 단어로 표현하기 위해, 진행되는 모든 것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 파놉티콘 Panoptique/ Panopticon 이라고 부를 것이다.'(p23)


<파놉티콘>에서는  감옥의 외양, 새로운 감옥의 장점, 수감자들의 관리, 수감자들의 교육에 관한 사항 등이 정리되어있다. 본문 70페이지 남짓 되는 이 책이 의미를 가지는 것은 이 책에 벤담의 사상(공리주의)이 현실적으로 적용되는 방안이 담겨 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파놉티콘은 감옥 건축 계획이다. 그러나 이것은 완벽한 감시를 통해 수감자를 교정하려는 목적만으로 계획된 것은 아니다. 파놉티콘은 벤담이 일생동안 연구하고 생각해온 것, 즉 법률이나 구호 제도, 경찰 체계, 특히 교육과 노동, 경제 제도를 현실에서 구체화할 수 있는 표준 모델이다. 벤담은 파놉티콘을 통해서 모든 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었다.'(p71 '해제 中)


FTA(Free Trade Agreement)가 신자유주의(新自由主義)의 현실적 적용모델이라면,  '파놉티콘'은 벤담으로 대표되는 공리주의(功利主義, Utilitarianism)의 현실적 적용 모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벤담이 제시한 파놉티콘은 단순한 수감시설이 아니라 복합적인 기능(처벌, 교육, 복지 보호)을 제공하는 공간(空間 space)이다. 중앙의 감시탑을 중심으로 일련의 관계가 형성되는 파놉티콘을 보면 자연스럽게 '중심'과'주변'으로 연결된 '제국(帝國)'의 모습이 연상된다.

 


[그림] 로마 제국의 도로망(출처 : 위키백과)


[사진] 로마 제국 도로 유적(출처 : http://blog.joins.com/media/folderlistslide.asp?uid=cjd23&folder=9&list_id=5024425)


로마는 제국을 위와 같이 '가도(街道 Via)'로 연결하여 제국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었다. 가도를 통해 제국 내 시민들과 물자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었고, 이민족의 침입 시에는 가도를 통해 병력을 신속하게 투입할 수 있었던 것은 파놉티콘 내에서 효과(效果)적인 제도의 운영과 연관되는 것 같다. 중앙집권적인 제도의 운영 역시 제국(Empire)과 파놉티콘의 공통점이라 하겠다. 그런 면에서 본다면 '중심부-주변부'로 나뉘어져 수탈과 침략으로 얼룰진 '제국의 시대'는 일종의 거대한 파놉티콘을 건설하는 과정이 아니었을까.


 '제국주의'와 '공리주의'와 연결은 다른 부문에서도 생각할 수 있을 것 같다. 책에 서술된 벤담이 생각하는 감옥의 목적을 보면, 선진국이 이른바 후진국을 계몽(啓蒙)한다는 명목으로 수행한 여러가지 침탈(侵奪)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무엇보다 이러한 제도가 수행해야 하는 목적에 대해 간략하게 나마 상기할 필요가 있다. 즉 고통의 본보기를 통해 범죄 모방 불식, 수감 기간 동안 수감자의 무례함 예방, 수감자 사이의 예의 유지, 수감자의 거주지 청결과 건강 관리, 탈옥 예방, 석방 후 생계 수단 마련, 필요한 교육, 올바른 습관 형성, 부당한 대우에서 보호, 처벌의 목적에 위배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복지 제공...'(p35)


'쾌락'을 '선(善)'으로 생각하고 이를 계량화하여 최대의 쾌락을 추구하던 공리주의자들의 주장은 지극히 주관적이다. 그래서, 소속집단의 최대가 되지 못한다면 고통(惡)을 받게 될 것이고, 악으로 규정될 위험이 있다는 생각이 든다. '악'으로 규정된 집단의 범위를 확대하면 제국주의 시대의  '식민지'의 처지와 유사하지 않을까. 이러한 면에서 '제국주의'는 '공리주의'가 효율(效率)적으로 광범위하게 구현된 체제가 아니었을까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아직 공리주의에 대해서 깊이 있는 공부가 부족하기 때문에 조심스럽지만, 향후 공리주의자들의 저서를 읽을 때 이 부분에 대해서도 한 번 짚고 넘어가는 것도 좋을 듯 하다.


<파놉티콘>은 벤담이 꿈꿨던 공리주의 사회를 위한 격리된 유토피아(Utopia)다. 수감자들에게는 디스토피아(Dystopia)였겠지만. 책에서 설명되는 '파놉티콘'은 벤담 사상이 현실적으로 구현된 모델이기 때문에 공리주의의 이상향(理想鄕)이 어떤 곳인지 알려준다는 면에서 참고할만한 책이라 생각된다. 다만, <파놉티콘>은 벤담 본인에게는 이상적인 가치지만, 공감을 불러오지 못한다는 생각이 든다. 이런 느낌은 예전에 플라톤(Platon BC 428 ~ BC 347)의 <국가 Politeia>를 읽을 때와 비슷했던 것 같다. 다만, 두 책의 중요한 차이가 있다면 전자(前者)는 단편(약 70페이지)이지만, 후자(後者)는 장편(약 580페이지)이라는 사실이다.

 

PS. <파놉티콘>을 수감자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결코 이상향이 될 수 없을 것이다. 안중근(安重根 1879 ~ 1910)의사가 순국하셨던 뤼순(旅順) 감옥의 모습에서 우리는 파놉티콘의 수감자와 제국주의 시대 식민의 처지를 느끼게 된다. (주의 : 안중근 의사가 수감되셨던 감옥은 하얼삔 감옥이 아니다.) 


[사진] 안중근 의사가 수감되었던 여순 감옥(출처 : 가톨릭 신문)


또한, 같은 원형구조이면서 그리스의 원형극장에서는 '중심-주변'의 또 다른 관계를 발견하게 된다. '감시와 통제'라는 '중심-주변'의 관계에서 서로 교감(交感)하는 관계가 우리가 추구해야할 진정한 가치가 아닐까 생각해보면서 이번 리뷰를 마친다.


[사진] 그리스 원혁 극장(출처 : http://m.blog.daum.net/bond1226/4267762)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5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양철나무꾼 2017-04-07 18:4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내용은 다 이해하지 못했지만,( 쿨럭~--;)
이 리뷰 완전 좋은 걸요~.
한 백번쯤 ‘좋아요‘ 누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겨울호랑이 2017-04-07 19:00   좋아요 1 | URL
^^: 양철나무꾼님 감사합니다.ㅋ 이런 백번을 누르시면 ‘좋아요‘와 ‘좋아요 취소‘가 반복되면서 결국 ‘좋아요 취소‘가 될 것 같네요. 99번만 부탁드려요.ㅋ 양철나무꾸님 즐거운 주말 되세요.

AgalmA 2017-04-07 19:3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요즘 한국의 실세들이 모두 교도소 가는 상황이라 특별 편성하신 건 아니지요ㅎ?
서대문 형무소 갔을 때 감정이 묘했습니다. 그건 종교적인 건물 갔을 때와도 비슷....

겨울호랑이 2017-04-07 19:42   좋아요 3 | URL
^^: That‘s a good point! 입니다.ㅋ <파놉티콘> 에서 [발]은 두 가지 역할을 합니다. 평소에는 격리의 공간이 되지만, 주말에는 [발]을 제거하게 된다면 바로 ‘교회‘의 역할 을 수행하게 된다고 벤담은 설명하네요.. 아마도 Agalma님께서 그런 부분을 서대문 형무소에 가셨을 때 느끼셨던 것 같습니다.

커피소년 2017-04-08 14:4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파놉티콘..

저런 구조의 건물은 최악입니다..

예전에 보면서 매우 부정적으로 생각한 기억이 나네요..

파놉티콘,, 감시사회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대표적인 건물이 아닐까 싶더군요..

이유야 어찌되었던간에 개인의 기본 생활권에 대한 침해는 인권을 심하게 침해하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보이고 싶지 않은 것들까지 적나라하게 누군가에게 보여지고 감시당한다면.. 그것만한 지옥이 없을 것 같습니다..

헬 조선이 문제인 것은 돈 많은 권력자들이 수감되는 방은 그들의 감추고 싶은 것에 대한 권리를 존중해주는지 가릴 것 다 가려주고 개인의 사생활을 존중해주는데 쥐뿔도 없는 사람들은 개인 권리를 모두 박탈당합니다.. 교도소 수감 생활에 공평함이 없습니다..

이래서야 법이 공정하다고 할 수 있는지요..

정말 억울하게 수감된 사람도 그런 취급을 당하는데 명백한 범죄사실이 존재하고 만인의 불행을 야기한 범죄자에게는 가장 좋은 방을 주고 황제수감생활을 하게 해줍니다.


겨울호랑이 2017-04-08 16:18   좋아요 2 | URL
그렇지요.. 한 명을 죽이면 살인자가 되지만 만 명을 죽이면 영웅이 된다고 했던가요. 그런 불공정은 처벌받는 감옥생활에서도 이어지는 것 같습니다..

나와같다면 2017-04-08 20:3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pan opticon

공리주의자 벤덤은 왜 행복을 만들어주는 어떤 것이 아니 감옥을 설계했을까요..?

시선의 불평등과 정보의 비대칭으로 결국에는 수감자 스스로가 스스로를 감시하게 되죠..
그 점이 무서운것 같아요

우리는 그들을 볼 수 없지만
그들은 우리를 보고 있습니다

겨울호랑이 2017-04-08 20:32   좋아요 2 | URL
많은 이들의 이익(선)을 위해 악을 격리시키고 이들을 악에서 선으로 계도하기 위한 목적이라 생각되네요.. 벤담에게 그들은 타자화된 대상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서니데이 2017-04-11 20:0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연의 사진이 달라졌네요.
겨울호랑이님 좋은 저녁시간 되세요.^^

겨울호랑이 2017-04-11 20:06   좋아요 2 | URL
^^: 서니데이님 감사합니다. 즐거운 저녁시간 되세요.

2017-04-13 15:1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4-13 15:23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