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의 시대 - 종교의 탄생과 철학의 시작
카렌 암스트롱 지음, 정영목 옮김 / 교양인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우리가 독일의 철학자 카를 야스퍼스(Karl Jaspers, 1883~1969)가 '축의 시대(Axial Age)'라고 부른 시기에서 영감을 얻을 수 있다고 믿는다. 이 시기가 인류의 정신적 발전에서 중심 축을 이루기 때문이다. 대략 기원전 900년부터 기원전 200년 사이에 세계의 네 지역에서 이후 계속해서 인류의 정신에 자양분이 될 위대한 전통이 탄생했다. 중국의 유교와 도교, 인도의 힌두교와 불교, 이스라엘의 유일신교, 그리스의 철학적합리주의가 그것이다. 이 뜨거운 창조의 시기에 영적/철학적 천재들은 완전히 새로운 종류의 인간 경험을 개척해 나아갔다. _ 카렌 암스트롱, <축의 시대> , 머리말

카렌 암스트롱(Karen Armstrong, 1944 ~ )은 BCE 900년경부터 BCE 200년에 이르는 이른바 '축의 시대 Axial Age'에서 새로운 시대의 통찰을 발견한다. 이 시기에 세계는 철기 혁명을 거치며, 이전 사회와는 근원적으로 다른 새로운 시대를 맞이했고, 이러한 변혁기에 여러 문명들에서는 새로운 사상에 대한 고민이 시작되었다. 저자는 축의 시대에서 일어난 고민의 결과가 바로 새로운 영성의 시작으로 해석한다.

경제 호황은 불평등을 심화하고 심각한 사회적 분열을 일으켰다. 농민은 정기적으로 군대에 끌려가 가정과 경작지로부터 멀어졌다. 일부는 농부로서 성공을 하기도 했으나, 일부는 빚을 지고 자기 땅에서 쫓겨났다. 통치자들은 농민이 물고기를 잡고 사냥을 하고 땔감을 모으던 많은 늪지와 숲을 가로챘다. 마을 공동체들은 치명적인 피해를 입었다. _ 카렌 암스트롱, <축의 시대> , p495

중요한 것은 무엇을 믿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행동하느냐였다. 종교의 핵심은 깊은 수준에서 자신을 바꾸는 행동을 하는 것이었다. 축의 시대 이전에는 제의와 동물 희생이 종교적 탐구의 중심이었다. 종교가 곧 자비(compassion)이었다. _ 카렌 암스트롱, <축의 시대> , 머리말

철기시대는 청동기보다 광범위하게 보급되었고, 보다 많은 노동력의 동원을 가능케 했다. 이러한 상황에 맞춰 각 문명은 공동체 의식 강화를 위해 제례(祭禮)를 만들었다. 그렇지만, 약 7세기에 이르는 시간동안 제례가 한 방향으로 형성된 것은 아니었다. 때로는 긍정되고 때로는 부정되고 낡은 제례를 대신할 새로운 사회이념이 등장하면서 개혁(改革)과 새로운 길이 모색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끊임없이 재해석되었음을 본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정교한 제의는 참여자들이 자신을 초월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축의 시대 동안 사람들은 이기주의의 한계를 넘어서는 것이 단순한 방종보다 더 깊은 만족을 준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중국의 축의 시대에 일부 철학자들은 제의의 정교한 꾸밈을 거부한다. 그러나 어떤 철학자들은 이런 전례 의식을 바탕으로 심오한 영성을 구축한다. _ 카렌 암스트롱, <축의 시대> , p136

문명권마다 차이는 있지만, 공통적으로 제례의 재해석의 방향은 내면을 향한 성찰로 흐른다. 소수 엘리트 전사들에 의해 수행되던 청동기 시대 전쟁과는 달리, 철기 시대 이후 대규모 병력이 동원되면서 공동체 역량이 중요해지면서 집단의 힘을 녹여낼 수 있는 계기가 필요한 시점에서 개인의 성찰을 강조한 유교, 불교 등이 이 시기에 뿌리를 둔 것은 우연이 아니었다. 외부로의 끊임없는 팽창과 하늘(天)에 있는 존재에 대한 시선을 내부로 돌리면서, 축의 시대는 인문학적인 통찰과 지식의 시대도 함께 열게 되었다.

전례의 가장 중요한 결과는 내면 세계의 발견이었다. 제의 전문가들은 희생제를 드리는 사람의 정신적 상태를 강조하여 그의 관심을 내부로 이끌었다. 고대에는 종교가 보통 바깥을, 외부의 현실을 가리켰다. 과거의 제의들은 신에게 초점을 맞추었으며, 그들의 목표는 가축, 부, 지위 등 물질적 이익을 얻는 것이었다. 자의식적인 반성은 거의 또는 전혀 없었다. 따라서 제의 개혁가들은 선구자들이었다. _ 카렌 암스트롱, <축의 시대> , p148

이들 종교들은 황금률(黃金律, Golden Rule)에 근거하여 개인의 윤리(倫理)가 확대시켰다.. 그렇지만, 현실과 이상간의 차이 때문일까, 아니면 이들이 추구한 안정돠된 상태(아타락시아, 평화 등)의 특성 때문일지는 모르겠지만, 결과적으로 이들은 모두 제국의 이데올로기와 결합되었다. 제국의 이데올로기로 현실의 제도로 정착된 모습이 초기 사상과 차이가 있다는 것도 축의 시대 공통점 중의 하나일 것이다.

이처럼<축의 시대>에서 우리는 현대 종교의 시원(始原)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역사 속에서 종교의 형성이 치열한 시대정신의 결과물임도 함께 알아가게 된다. 오늘날 우리에게는 모순으로 비춰지는 종교의 충돌하는 교리들이, 각기 다른 시대 속에서 나름의 이유로 형성되어 전승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다면, 오늘날 우리의 교리 역시 현대 관점에서 끊임없이 재해석되어야 하지 않을까. 이러한 필요성에 우리가 눈을 뜨고 교리에 매몰되지 않고 새로운 시대정신을 종교에서 발견하기를 바라는 것이 바로 저자의 본심이 아닐까를 생각하게 된다...

카를 야스퍼스는 이렇게 말했다. "축의 시대는 큰 두 제국 사이의 공백기, 자유를 위한 휴식, 가장 명료한 의식을 가져다 주는 깊은 숨이라고 부를 수 있다." 기원전 2세기 말에 이르자 세계는 안정되었다. 축의 시대 후에 확립된 제국에서는 새로운 정치적 통일을 긍정하는 정신성을 찾는 것이 문제가 되었다. _ 카렌 암스트롱, <축의 시대> , p624

댓글(7) 먼댓글(0) 좋아요(4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젤소민아 2022-09-12 23:4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이 벽돌책을 읽으셨군요! ㅎㅎ 전 짬짬이 아무 데나 펴서 읽고 있는데 1년도 넘었네요~~

겨울호랑이 2022-09-13 06:46   좋아요 1 | URL
저도 여러차례 미루다가 이번 추석 연휴를 이용해서 겨우 읽었네요. 공자, 소크라테스, 붓다의 시대를 각자 세계사적인 흐름 속에서 해석한 저자의 관점이 흥미롭게 다가오는 책이었습니다. 젤소민아님 감사합니다! ^^:)

hnine 2022-09-13 05:0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이 책을 읽으셨네요. <황금가지>와 함께 제게 숙제 같은 책이고, 수년째 째려보기만 하고 있는 책인데요.

겨울호랑이 2022-09-13 06:50   좋아요 2 | URL
hnine님 말씀처럼 <축의 시대>는 유명도에 비해 쉽게 손이 가질 않는 책 중 하나라 여겨집니다. 저 경우에는 ‘종교‘에 대한 마음의 부담 때문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해야 한다‘는 당위가 이러한 진입장벽을 높혔던 듯 합니다... 그럼에도 막상 책을 읽다보니, 거시적인 관점에서 인류문명의 보편점을 찾아내는 저자의 통찰에 빠르게 읽게 되는 명저라 여겨집니다. hnine님 감사합니다! ^^:)

그레이스 2022-09-13 09:29   좋아요 2 | URL
빌렸다가 반납한 책이예요 ^^

초란공 2022-09-13 09:1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도 고민하는 책인데 마침 올려주셨어요^^ 책을 읽으라는 계시! ㅋ BC500년 즈음 전후로 석가모니, 공자 등의 인물이 나타난 것이 흥미롭기도 했는데 이것도 당시 시대적인 영향(고민)의 결과라고 이해해볼 수도 있겠어요. (뒤늦게) ‘종교‘에 대한 관심이 생겨서 주목하던 책이었어요. 잘 읽었습니다!!!

겨울호랑이 2022-09-13 10:09   좋아요 2 | URL
<축의 시대>는 과거에 새로운 시대 정신의 산물이었던 종교의 모습을 실감나게 보여주는데, 저는 여러 면에서 교조화된 현대 종교의 모습과 비교하며 읽었습니다. 이제는 안정화, 정형화된 예식으로서의 종교가 아닌, 불안한 시대에 새로운 정신을 담아낼 수 있는 초기 축의 시대 모습이 재현되길 바라는 것이 저자의 생각이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만... 독자마다 자신에 맞는 새로움을 맛볼 수 있는 좋은 책이라 여겨집니다. 초란공님 즐거운 독서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