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시학 horology이 연구 분야로 선택된 것은 우연이 아니다. 시계는 모든 정밀 기계의 원형이다. 일단 시계가 섬세하고 매혹적인 장난감으로서 단순히 찬탄의 대상에 그치지 않고 하나의 정밀 기계로 여겨지는 순간, 순진무구했던 산업의 시대는 끝난다.... <시계와 문명>은 한편으로는 명백하게, 한편으로는 뜻밖의 방식으로 <대포, 범선, 제국>을 보완한다. 즉 대포와 시계의 발전을 선도한 수공업자들이 흔히 같은 사람이었던 것이다. _ 카를로 치폴라, <시계와 문명> , p6/183
카를로 M. 치폴라(Carlo Maria Cipolla, 1922 ~ 2000)의 <시계와 문명 Clocks and Culture: 1300-1700>은 그의 다른 저작 <대포, 범선, 제국 Guns, Sails and Empires: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the Early Phases of European Expansion 1400~1700>의 다른 축이다. 최소한 서양과 동양이 만났을 때, '시계'와 '대포'로 대표되는 서양의 대외진출의 두 상징이 보다 열렬하게 환영받은 지역이 중국과 일본으로 달랐다는 점, 그리고 이들의 이후 행보가 달랐다는 점에서 그렇다.
서양의 시계와 화기가 극동에 출현했을 대 공상적인 중국인들은 시계에 매료된 반면 호전적인 일본인들은 특히 총포에 매료되었다. 일본인들은 곧 화승총을 제작하기 시작했고 분명 대량의 화승총을 생산했다(p98)... 중국의 기술력이 일본보다 부족했으리라고 볼 근거는 전혀 없다. 하지만 중국의 관료 정치 및 관료제적 구조가 중국 수공업자들의 잠재력이 꽃필 기회를 방해했다고 볼 근거는 있다(p101)... 그러나 내가 보기에 가장 중요한 요인은 두 나라의 크기의 차이와 대다수 중국인의 삶의 고립성이었다. _ 카를로 치폴라, <시계와 문명> , p102/183
<대포, 범선, 제국>이 군사력을 활용한 서양의 대외거점 확보와 상업 독점권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서 대포로 표현되는 상업자본주의의 진출을 그린다면, <시계와 문명>은 도시의 상공업자와 장인들에 의한 산업자본주의의 대외진출을 표현한다. 여기에 중국에서 시계가 예수회의 대(對)중국 선교활동의 수단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에서 종교의 진출 도구로 볼 수 있겠다. 이러한 수단 외에 상품으로 제국주의를 본다면 스벤 베커트의 <면화의 제국>도 논의에 추가할 수 있겠다. 이상은 <시계와 문명>에서 제국주의의 진출과 관련해서 점검해 볼 수 있는 지점이다.
중국과 일본에서 유럽 상인들은 선교사들의 실례를 금방 본받아, 무역 허가와 상업적 특권을 얻고자 유력 인사에게 값비싼 시계를 바쳤다. 유럽에서 아시아로 사절단을 파견할 때면 뛰어난 솜씨와 기술로 만들어진 시계가 아시아의 통치자들에게 바치는 선물 가운데 흔히 포함되었다. 특히 관료제가 권력 남용이 쉬운 여건을 제공하고 관리와 환관들이 때로 뇌물로 매수될 수 있는 중국에서 시계는 흔히 선물로 이용되었다. _ 카를로 치폴라, <시계와 문명> , p92/183
<시계와 문명>에서는 시계가 가지는 자체적인 의미도 발견할 수 있다. 그것은 '과학 science'과 '기술 technology'의 결합이다. 르네상스(Renaissance) 시기 이후 동방으로부터 수입된 자연과학 지식은 좌표계의 원점을 신(神)이 아닌 다른 곳으로 옮겼으며, 그 과정에서 신학을 대신한 과학이 등장하고, 시장 경제 발전과정에서 정기시(定期市, fair)가 열리며, 도시 중심의 상공업자들과 길드의 형성은 대량 생산 기술과 인프라 구축이 가능하게 되었다. 거의 같은 시기 구텐베르크(Johannes Gutenberg, 1400∼1468)의 금속 활자 인쇄술이 대량의 독일어 성경 인쇄를 가능케 하며, 기술은 이미 가톨릭 신학과 중세에 일격을 가한 바 있었다. 이제, 기술은 과학과 결합하며 새로운 근대를 여는 입구에 서 있었는데, 이러한 과학기술 연합의 결정체가 바로 '시계'다.
성숙한 과학자 대 단순한 수공업자란 식의 순진한 이분법으로 현상을 이해해서는 안 된다. 역사는 더 미묘한 방식으로, 훨씬 더 복잡한 경로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작동한다(p29)... 결국에는 혁신자들이 승리했다. 그들의 승리는 경험주의와 실리주의에 물든 새로운 철학의 승리였고 새로운 철학은 인간 지식의 모든 분야에 침투했다. 수학은 분석의 주요 도구가 되었고 기계는 세계를 설명하는 원리로 자리 잡았다. _ 카를로 치폴라, <시계와 문명> , p30/183
측시학에서 일어난 모든 일은 서로 맞물려 있는 기술적 변화의 더 폭넓고 복잡한 흐름의 한 측면에 불과하다. 시계 제작은 물리학과 역햑의 이론적 발견이 실용화된 최초의 산업이었다. 동시에 그것은 응용역학의 전반적 발달에서 첨단을 달리며 과학 기구의 진화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p61)... 정밀 기기는 과학의 진보를 가져온 반면, 과학은 정밀 기기의 향상을 가능케 했다(Les instruments precis font progresser la science, tandis que la science permet l'amelioration des instruments precis)". 오랜 잉태 기간을 거친 후 우리의 근대과학이 탄생했다. 그리고 누적된 과정은 점진적으로 그 발전을 가속화했다. _ 카를로 치폴라, <시계와 문명> , p63/183
저자는 <시계와 문명>에서 시계의 의미를 이와 같이 발견하지만, 동시에 '왜 이러한 과학기술 문명'이 동양에서 일어나지 않았는가에 대한 질문도 함께 던진다. 이는 19세기 조선의 동도서기(東道西器), 중국의 중체서용(中體西用), 일본의 화혼양재(和魂洋材)의 한계와도 연결되는 부분일 것이다. 시계의 부품이 아닌 시계침이 가리키는 움직임의 의미와 세계관에 대한 이해 없이 결과를 내려는 시도 자체가 실패로 돌아간 것은 역사의 흐름에서 실증된다. 그렇지만, 치폴라는 여기에서 논의를 멈추지 않는다.
중국의 지식인들은 예술과 철학은 배웠지만 과학은 배우지 않았다. 리치 신부가 언급한 대로 "학문 분야에서 명성을 떨치려는 사람 어느 누구도 수학이나 의학에서 실력을 쌓으려고 하지 않는다." 도시 생활은 나라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주도하지 않았다. 본질적으로 문인 상류층과, "분이나 시가 아니라 날과 달로 시간을 헤아리는" 다수의 농민으로 구성된 사회에서 시계는 유용하고 실용적인 장치로 활약한 기회가 거의 없었다. 그런 일이 일어나려면 사회의 전면적 변화가 일어나야, 다시 말해 사회의 구조와 필요가 싹 바뀌어야 했다. 기계는 환경과 다른 인간들이 제기하는 문제에 대처하는 방식으로서만 실천적인 의미를 얻는다. _ 카를로 치폴라, <시계와 문명> , p91/183
동양에서 과학기술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문명의 한계로 볼 수 없다는 것이 저자의 결론이다. 이들이 필연적으로 결합해야 할 이유가 있는 것이 아니다. 각기 서로 다른 자연환경과 사회구조, 사회적 요구와 필요성이 문명의 다른 화학적 결합을 끌어냈기에 문명의 우열(優劣)를 가리는 것은 의미가 없다는 말을 잊지 않는다.
로빈 G. 콜링우드가 썼듯이 "두 가지 다른 삶의 방식을 두고 두 방식 모두 같은 것을 이루려 했다고 가정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바흐는 베토벤처럼 곡을 쓰려다 실패한 것이 아니다. 아테네는 로마가 되려고 했으나 그리 성공적이지 못했던 시도가 아니다.".. 우리는 록펠러 재단의 이사가 한 말을 빌려서 이렇게 결론 내려야 할지도 모른다. "왜 16세기와 17세기, 18세기에 걸쳐 중국이 유럽의 과학기술을 발전시키지 못했는가라고 묻는 것은 다소 예의 없을 뿐 아니라 무의할지도 모른다. 오히려 놀라운 것은 어쨌든 그런 일이 일어났다는 것이다." _ 카를로 치폴라, <시계와 문명> , p103/183
<시계와 문명>은 서양의 정밀과학기술의 발달과 그 영향에 대해 분석하며. 이를 통해 동서양 문명의 차이를 큰 틀에서 이해하게 만든다. 동시에, 과학기술에 대한 동서양의 차이를 보여줌에도 이에 대한 확대해석을 경계한다는 점에서 인상적인 책이다. 동서양 문명을 같은 선상에서 인식했을 때 오늘날 서구 문명이 처한 한계상황에 대한 처방을 동양 문명에서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페르낭 브로델 (Fernand Braudel)이 <물질문명과 자본주의>에서 설명하는 물질문명과 시장경제 그리고 자본주의 관계 설저에서 구조적인 움지임을 좀바르트(Werner Sombart)의 <사치와 자본주의> <전쟁과 자본주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면, 치폴라의 <대포, 범선, 제국>과 <시계와 문명>은 미시적으로 흐름을 파악하게 한다. 때문에 이들을 서로 연결해서 읽는다면 보다 알찬 독서가 되지 않을까 여겨진다. 이제 다시 브로델의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마지막 3권으로 넘어가야겠다...
16세기와 17세기는 위대한 천문학적 발견을 목도하고 대양 항해가 크게 확장된 시기였다. 천문학자와 항해자 모두 정확한 경도를 결정하고 별이 뜨는 정확한 시각을 측정하기 위해 정밀한 시간 측정 기기가 필요했다. 그와 동시에 고도로 정밀한 측시기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과학혁명의 핵심인 역학의 기본 문제들을 먼저 해결해야 했다. 과학자들이 시간 측정 문제에 주목하게 된 17세기 중반을 거치면서 측시학에 과학적 원리와 체계적인 실험이 적용되었다. 당시 과학자와 시계공들은 긴밀하게 협력했고 그 결과 일련의 혁명적 발견이 이루어져 시계 제작의 기술 진보에서 돌파구가 열렸다. _ 카를로 치폴라, <시계와 문명> , p60/183
PS. 치폴라는 '시계'가 중국에서 보다 환영받고, '대포'가 일본에서 환영받았다는 점에서 서구화의 차이에 주목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관점이 여전히 유효한 것은 아니다. 치폴라 사후인 오늘날 정밀과학 기술에 보다 관심을 보인 '시계'의 중국이 많은 부분에서 미국의 첨단과학을 따라잡으며 G2로 우뚝 선 반면(최근에는 주춤하지만), 오늘날까지도 재무장에 열을 올리는 '대포'의 일본은 1985년 프라자 합의 이후 잃어버린 30여년을 겪으며 몰락하고 있는 현실을 우리는 직접 경험하고 있다. 21세기 들어 역전된 이들의 위상을 지켜보며 근대화의 정의와 함께 역사 해석의 적정한 시점에 대해 고민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