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Book] 로마의 운명 : 기후, 질병, 그리고 제국의 종말
카일 하퍼 지음, 부희령 옮김 / 더봄 / 2021년 12월
평점 :
로마인들은 홀로세라 불리는 역사적 기후 시대의 특정한 순간, 지중해 지역에 거대한 제국을 건설했다. 급격한 기후 변화가 지연되고 있던 시기였다. 더 중요한 것은, 로마인들이 이미 알려져 있던 세계를 가로질러 열대의 변두리까지 덩굴손처럼 뻗어나가 도시화한 제국을 건설했다는 것이다. 예측하지 못한 자연의 음모 속에서, 로마인들은 병원체가 진화의 잠재력을 분출하기 쉬운 질병 생태계를 창조했다. 그리하여 오늘날 신종 전염병이라고 부르는 압도적 힘에 포위되었다. 로마 제국의 종말을 이야기할 때 인류와 환경은 서로 분리될 수 없다. _ 카일 하퍼, <로마의 운명 : 기후, 질병, 그리고 제국의 종말> , p19/521
카일 하퍼(Kyle Harper, 1979 ~ )는<로마의 운명 : 기후, 질병, 그리고 제국의 종말 THE FATE OF ROME: Climate, Disease & the End of an Empire>에서 로마 제국의 멸망 원인을 제국 내부의 쇠퇴가 아닌 기후와 질병에서 찾는다. 홀로세의 온난한 기후가 로마에게 지중해를 호수로 선물했다면, 이후 화산폭발 등으로 촉발된 기온 저하는 제국에게 페스트를 비롯한 각종 질병을 선사하며, 제국의 안정을 위협한다. 그리고, 그때까지 제국을 하나로 연결해주던 도로와 도로로 연결된 도시는 질병이 뻗어나갈 수 있는 숙주로서 기능하며 제국의 죽음을 재촉했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영토 확장의 배경이 되었던 홀로세 기후다. 기원전의 마지막 세기와 기원후 첫 세기에 로마는 이른바 '로마 기후 최적기'로 알려진 온난다습한 안정적 기후 체제의 혜택을 받았다. 로마 제국과 한 漢 왕조 치하의 중국이 동시에 개화한 것은 역사 속에서 자주 나타나는 '기이한 평행'들 중 하나이며, 전 지구적 규모로 성장과 수축이 동시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것이다. _ 카일 하퍼, <로마의 운명 : 기후, 질병, 그리고 제국의 종말> , p75/521
5세기 후반부터 기후가 결정적으로 재편성되는 소용돌이가 시작되었고, 고대 후기 소빙하기에 접어들면서 절정에 이른다. 530년대와 540년대의 화산활동으로 후기 홀로세는 전반적으로 냉랭한 날씨가 지속되었다. 그와 동시에 태양에서 지구로 도달하는 에너지의 수준은 수천 년 만에 가장 낮은 지점으로 떨어졌다. 앞으로 살펴보겠지만, 물리적 기후 조건이 악회되면서 미약하나마 남아 있던 로마 제국을 휩쓸어버리는 전례 없는 생물학적 재앙이 함께 일어났다... 로마 제국이 야심차게 사회를 발전시킨 결과는, 역설적으로 치명적인 미생물이 번성할 환경을 여러 방식으로 배양한 것이었다. 로마인이 전혀 의식하지 못한 채 그들의 인구 체계에 영향을 끼칠 질병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연루되었다. _ 카일 하퍼, <로마의 운명 : 기후, 질병, 그리고 제국의 종말> , p22/521
기후가 제국의 경제를 쇠퇴시켰다면, 질병은 제국의 국방에 치명상을 안겼다. 농업이 주된 산업이었던 당시 5세기부터 시작된 이상 기온은 제국의 농업생산량을 급격하게 감소시켰고, 이로 인해 제국의 경제상황은 치명상을 안게 된다. 다른 한편, 질병은 인구를 감소키는데, 이로 인해 제국의 변방을 유지할 병력 공급에 차질을 빚으며 제국의 안보 역시 위협받게 된다. 이후 역사에서 로마제국은 게르만 민족의 이동 속에 몰락해 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전염병이 도는 해와 홍수가 일어나는 것과 같은 단기적 환경 교란이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은 토착 질병들이 기후 변동으로 증폭되어 사망률을 치솟게 만든 주범임을 뜻한다. 로마 세계는 들끓는 미생물 수프의 희생양이 되곤 했다. 외부에서 들어온 병원체에게 습격을 당한 것이 아니었다. _ 카일 하퍼, <로마의 운명 : 기후, 질병, 그리고 제국의 종말> , p159/521
유스티아누스 역병보다 앞서 나타난 기후 교란은 갑자기 눈앞이 하얘지는 섬광 같았다. 우리는 곧 뒤따라올 충돌이 있음을 본능적으로 알 수 있다. 정확하게 어떤 방식으로 하나가 다른 하나의 원인이 되는지는 알지 못하지만 페스트의 유행은 적어도 다섯 종을 포괄하는 연쇄 반응이다. 박테리아와 야생 동물 숙주(마못),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는 숙주(검은 쥐), 절지동물 매개체(동양의 쥐벼룩) 그리고 우리 인간을 둘러싼 엄청난 생물학적 도미노 사태이다. _ 카일 하퍼, <로마의 운명 : 기후, 질병, 그리고 제국의 종말> , p382/521
카일 하퍼의 <로마의 운명 : 기후, 질병, 그리고 제국의 종말>이 다른 역사책들과 구분되는 지점은 기후와 질병에 의해 이미 역사의 흐름이 결정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로마의 마지막을 시스템의 문제가 아닌 어쩔 수 없는 외부 환경의 영향에서 찾는다는 점이 인상적이지만, 이러한 저자의 관점에 대해 다른 한 편으로 의문을 제기하게 된다.
과연 기후와 질병이 제국의 종말을 가져왔다고 볼 수 있을까? 본문에서 보여지는 저자의 관점은 '로마의 멸망'이라는 결과에 대해 기후와 질병을 '제1윈인'을 지적하는 느낌을 받는다. 원인의 원인을 찾아들어가는 원인론과 같은 저자의 주장이지만, 로마의 멸망을 가져온 여러 원인들 상호간의 영향관계를 고려한다면 그렇게 쉽게 말할 수 없는 부분이라 여겨진다. 아래 [그림]은 저자가 본문에서 제시한 여러 요인들과 상호 관계를 거칠게나마 정리한 것이지만, 이들만으로도 상당한 영향관계가 있음을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그렇다면, 제국의 멸망 원인을 특정하는 것 자체가 어렵지 않을까.
[그림] 로마 제국의 멸망원인은? (by 겨울호랑이)
본문 안에 표현된 제국의 멸망을 바라보는 저자의 관점은 다분히 감상적이다. 제국의 문제가 아닌 불가항력에 의한 몰락. 그것이 저자가 바라보는 제국의 종말이지만, 냉정하게 말해서 로마의 몰락은 시대의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했기 때문이 아닐까. 로마가 전성기로 향했을 때의 기후는 카르타고와 갈리아가 멸망했을 때의 기후였으며, 로마가 쇠퇴할 때의 기후는 사산조 페르시아가 번영할 때의 기후이기도 했다. 그런 면에서 본다면, 기후와 질병이 가져온 결과보다 이에 대한 대처가 가져온 결과가 한 국가의 운명을 좌우하는 직접적인 원인으로 보는 편이 더 타당하지 않을까. 이 부분에서 저자와는 다른 생각을 갖게 된다.
로마 제국은 언제나 허약함과 회복 탄력성 사이에서 불안정한 상태였고, 마침내 해체의 힘이 우세해졌다. 그러나 이 이야기 속에서 요동치는 기후 변동과 질병이라는 요소는 로마의 종말을 부른 숨겨진 발톱이나 치명적 선택을 찾고자 하는 유혹을 조금이나마 제거해준다. 로마 제국의 몰락은 시간이 되면 저절로 드러나는 본질적 결함으로 인한 불가피한 결과가 아니었다. 혹은 더 현명한 조취를 취했더라면 피할 수 있었던 경로로 잘못 들어선 불필요한 결과도 아니었다... 어쨌든 제국은 끊이지 않는 역경과 마주하면서 굳건히 버텼다. 헤아릴 수 없는 슬픔 속에서도 제국의 사람들은 견뎌냈다. 마침내 제국의 뼈대는 더는 견뎌낼 수 없는 필멸의 운명을 맞이할 때까지, 그리고 잿더미 속에 남은 풍요로운 토양 속에서 자랑스러운 새 문명이 자랄 때까지. _ 카일 하퍼, <로마의 운명 : 기후, 질병, 그리고 제국의 종말> , p494/521
카일 하퍼의 <로마의 운명 : 기후, 질병, 그리고 제국의 종말>은 이처럼 로마 멸망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함께 기후와 질병이 어떻게 우리에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잘 보여준다. 개인적으로는 저자의 주장에 모두 동의하는 것은 안이지만, 과거 역사를 통해 지금 우리에게 닥친 기후, 질병 등 환경 문제에 대해서도 생각할 거리를 던져준다는 점에서 충분히 일독할만한 책이라 여겨진다...
발밑을 받쳐주던 기반이 약해지고, 쾌적하지 못한 기후가 시작되면서 로마인들이 한 번도 마주해본 적이 없는 훙포하고 눈에 보이지 않는 미시의 적이 도래했다(p111)... 로마 제국은 살아 남았다. 그러나 팬데믹의 시대가 도래했고, 새로운 세균과 만나게 되는 미래에서 제국은 자연이 예비하고 있던 도전을 결코 감당할 수 없음이 드러난다. _ p123/521 - P123
인도양 체제의 진정한 생물학적 의의는 ‘유라시아의 문명화된 질병 집단들‘을 융합시킨 것이 아니라, 장애물 없이 신종 전염병을 통과시킬 수 있는 통로를 형성했다는 데 있었다. 중앙아프리카는 지구상에서 가장 많은 종류의 척추동물과 다양한 미생물이 서식하는 곳이다. 결과적으로 그곳은 인간에게 유해할 정도로 불균형한 숫자로 득실거리는 병원균의 요람이기도 한, 진화 실험의 위험한 생산지였고, 지금도 그런 상태로 남아 있다. _ p173/521 - P173
감염된 쥐가 일단 상륙하면, 질병은 로마의 운송망을 따라 확산이 가속화되었다. 로마의 도로 위로 수레와 마차들이 밀항한 설치류를 실어 날랐다... 예르시니아 페스티스는 인간과 독립적으로 전파되기 때문에 확산이 은밀하게 진행된다. 쥐들이 갈 수 있는 곳이면 어디든지 퍼질 수 있다. _ p392/521 - P39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