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중일기 난중일기
이순신 지음, 이은상 옮김 / 지식공작소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고 나서도 대한민국을 사랑하지 않은 사람은 없다"


<난중일기 亂中日記> 뒷편 책 표지글이다. 그렇지만, <난중일기>를 이렇게 표현하기에는 많이 부족하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듯이 <난중일기> 속에는 물론 충무공(忠武公)의 나라를 걱정하는 마음과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이 담겨있다. 그렇지만, <난중일기>에는 이러한 원론적인 이야기보다 평범한 우리 삶의 모습이 훨씬 더 많이 기록되어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놓치고 있다. 날씨, 업무 내용, 제사일 등의 공적인 내용, 가족 이야기, 건강 이야기, 사람에 대한 평가는 물론 점 치는 이야기와 꿈 해몽 이야기까지 소소한 삶의 기록이 <난중일기>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더라도 단순히 <난중일기>를 '애국일기'로 한정하는 것에 대해 동의하기 힘들다. 더 나아가, <난중일기>에 대한 이러한 편견 - 애국일기- 때문에 우리가 생각보다 많이 안 읽게 되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본다. 간단하게나마 <난중일기>에 표현된 기록을 통해 이 책의 내용을 살펴보자. 먼저 <난중일기> 속에는 매일의 날씨, 업무처리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업무일지(業務日誌) 같다는 느낌을 독자들에게 준다. 


' 갑오 정월 초이레. 맑음. 동헌방에 앉아 배 첨지, 남의길과 종일 이야기를 했다. 늦게 공무를 보았으며 남원(南原) 도병방을 사형했다.'(p200)


'을미 칠월 열나흘. 늦게 갰다. 군사들에게 말미를 주었다. 녹도 송여종을 시켜 죽은 군졸들에게 제사 지내도록 쌀 두 섬을 주었다. 이상록, 태구련(귀련), 공태원들이 들어왔다. 어머님의 쾌평하시다니 이런 다행한 일이 없다.'(p434)


 그런가 하면, <난중일기> 속에는 저자의 좋지 못한 건강 또한 나타나 있다. 일기 곳곳에는 위장병으로 고생하는 장군의 모습이 담겨있는데 이런 기록을 통해 우리가 생각해온 장군의 강철과 같은 무인(武人) 이미지는 현실과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정유  구월 스무나흘. 맑음. 몸이 좋지 못해서 신음하였다. 김홍원(金弘遠)이 보러 왔다.

정유 구월 스무닷새. 맑음. 이날 밤 몸이 몹시 좋지 못하고 허한이 온몸에 배었다.

정유 구월 스무엿새. 맑음. 몸이 좋지 않아 종일 나가지 않았다.'(p681)


[사진] 충무공 이순신 동상(출처 : http://blue-paper.tistory.com/185)


 또한, <난중일기>에는 저자의 인간적인 모습이 기록되어 있다.  회식(會食)이야기, 활쏘는 이야기, 점(占)을 치는 모습, 간밤에 꾼 꿈을 해몽하는 부분 또한 여러 부문에 나타나며, 이를 통해 우리는 장군의 인간적인 면을 확인하게 된다. 


'병신 사월 초여드레. 종일 비, 비. 늦게 들어가 부찰사와 마주 앉아 술을 마셨다. 몹시 취하여 관등(觀燈)하고 헤어졌다.'(p452)


'갑오 구월 초하루. 맑음. 앉았다 누웠다 잠을 못루고 촛불을 켠 채 뒤척이며 지새었다. 이른 아침 세수하고 고요히 앉아 아내의 병세에 대해 점을 쳤더니, "중이 환속하는 것 같다(如僧還俗)"는 괘를 얻고 다시 쳤더니, "의심이 기쁨을 얻은 것과 같다(如疑得喜)"는 괘를 얻었다. 아주 좋다.'(p328)


 그중에서도 <난중일기> 속에 인간적인 면이 가장 잘 표현되는 부분은 원균에 대한 기록이라 생각된다. 우리는 <난중일기> 곳곳에는 경상우수사 원균에 대한 불신(不信)과 비난을 확인할 수 있는데 보통 근엄하고 인자하게 그려지는 충무공의 모습과 달리 뒷담화(?)에 가까운 일기 내용을 보면서 우리는 '인간 이순신'을 느끼게 된다.


 '계사 팔월 스무엿새. 비가 오다 개다 하였다... 원 수사가 술을 마시겠다고 하므로 약간 주었더니, 잔뜩 취해서 흉학하고 도리에 어긋나는 말을 함부로 하는 것이었다. 해괴하다....

계사 팔월 스무여드레. 맑음. 원 수사(원 균)가 와서 음흉하고 간휼한 말을 많이 하였다. 심히 해괴하다.

계사 팔월 그믐. 원 수사가 또 와서 영등으로 가자고 독촉한다. 참으로 음흉하다. 그가 거느린 스물다섯 척의 배는 모두 내보내고, 다만 칠팔척을 가지고 이런 말을 하니, 그 마음 쓰고 행사함이 모두 이따위다.'(p188)


 임진왜란(壬辰倭亂) 7년의 기간을 우리는 직접 경험하지 않았기 때문에 "전쟁"이라는 이미지로 막연하게 느낄수 밖에 없다. 막연한게 다가오는 과거 기록은 우리에게 추상적으로 인식된다. 그렇지만, 그 시대를 살았던 이의 기록은 비록 어렵고 힘든 시기였지만, 그 속에서도 "인간의 삶"이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임진왜란 7년의 기간동안 하루하루가 끔찍했을 것이라 우리는 짐작한다. 그렇지만, <난중일기>는 어려운 중에도 회식이 있었고, 바쁜 중에도 활쏘기를 하는 삶의 모습이 담겨 있다. 우리는 외적의 침입에 일치단결하여 대응한 조선 수군을 막연하게 상상하지만, 그 안에서는 치열한 논쟁이 있었고, 개인적인 감정 대립이 있음을 또한 확인할 수 있다. <난중일기>속에는 우리의 일상(日常)과 다름없는 모습이 그려진다. 그리고, 그러한 일상의 기록이 모여 <난중일기>라는 시대의 기록이 되었을 것이다.


 <난중일기>를 통해 '충무공 이순신'이 '군신(軍神)'이 아니라 우리와 같은 '위장병에 고생하며 결근을 하기도 하고, 동료와 갈등을 겪으며 마음 고생을 하는, 또한 미래에 대한 불안으로 꿈 해몽과 점에 의지하기도 하는' 평범한 인간임을 우리는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충무공의 위대함은 인간적인 약점(弱點)에 의해 낮아지는 것이 아니라, 이를 극복했기 때문에 우리에게 더한 감동을 주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리고, <난중일기>를 읽으며 희노애락(喜怒愛樂)의 감정과 의식주(衣食住)가 펼쳐지는 삶의 공간인 일상(日常)의 의미를 깨닫게 된다. 어느 '개인의 하루'가 7년 동안 모이고, 어느 개인들이 모여 사회(社會)를 만들고 그 과정에서 발생한 결과물을 우리는 지금 '임진왜란'으로 보고 있는 것은 아닌지. 우리의 하루가 결코 작지 않음을 새삼 깨닫게 된다. 책표지 뒷면의 글을 바꾸어 <난중일기>를 읽은 느낌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을 것 같다.


이 책을 읽고 나서도 일상(日常)을 사랑하지 않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4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곰곰생각하는발 2017-08-23 20:1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난중일기 문체를 보니 왜 김훈이 칼의노래 문체와 닮았는지알것 같군요.. ^^

겨울호랑이 2017-08-23 20:20   좋아요 0 | URL
^^: 그렇군요.. 저는 작가도 역사적 사실을 모사할 때는 배우처럼 몰입해서 닮아간다는 것을 곰곰발님 말씀을 통해 알게 되었습니다.

2017-08-23 23:0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8-23 23:1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8-24 12:5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8-24 13:01   URL
비밀 댓글입니다.

AgalmA 2017-08-25 02:4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오늘 퇴근하며 해철형 생각했는데ㅜㅜ

겨울호랑이 2017-08-25 07:05   좋아요 1 | URL
그렇지요...저도 참 아쉽습니다..

만화애니비평 2017-10-10 16:5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와,...
추석 때 시간죽이기 겸사하여 <불멸의 이순신> 드라마를 다시 봤는데, 감동이었습니다.
이순신 장군이 다시 생각해도 위대한 것은 본인의 불굴의 의지도 있지만,
왜 그를 많은 백성과 병사들이 따르냐는 말이죠.

다른 장군(원균)이나 고관대작들은 기생을 끼고 좋은 안주에 술만 마시기 바쁘지만
정작 통제사인 본인은 병사들이 먹는 식단을 비교하여 별반 차이가 없어 보이는 것이 인상적입니다.

최근 광해군을 다시 생각하며, 한명기교수의 <광해군>이란 책이 다시 떠오르나, 드라마에서 광해군은 이순신을 옹호하는데
이 모습을 제대로 드러내지 못한 역사가 문듯 아쉽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적어도 광해군이 조정에서 혹은 무군사로 내려갈 때 사관이나 기록만큼은 분명 기록에 의지했습니깐요..



겨울호랑이 2017-10-10 17:13   좋아요 0 | URL
^^: 만화애니비평님 추석 연휴 잘 보내셨나요? 요즘 「남한산성」도 개봉하는 등 16세기 조선에 대한 내용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는 것 같네요. 다양한 관점에서 역사에 대한 재조명과 해석이 꾸준히 이루어진다면 만화애니비평님께서 말씀하신 역사에서의 아쉬운 점도 점차 줄여갈 수 있지 않나 생각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