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레오파기티카 - 언론 자유의 경전, 존 밀턴 <아레오파기티카>의 완역, 주석, 연구서
존 밀턴 지음, 박상익 옮김 / 소나무 / 1999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나의 양심에 따라, 자유롭게 알고 말하고 주장할 자유를, 다른 어떤 자유보다도 그러한 자유를 나에게 주십시오."
<아레오파기티카 Areopagitica>는 존 밀턴(John Milton, 1608 ~ 1674)가 저술한 언론 자유의 경전으로 평가 받고 있는 책이다. 이 책이 가지는 의의를 번역자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밀턴의 <아레오파기티카>는 로크(John Locke, 1632 ~ 1704)의 관용론(A Letter Concerning Toleration, 1689)보다 거의 반세기 앞서 자유주의의 핵심 원리 및 자유주의의 철학적 기반인 개인주의(individualism)의 본질을 분명히 했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를 갖는다.'(p9)
<아레오파기티카>에서는 17세기 초반 로마 가톨릭에 의한 사상 검열을 비판하면서 출판의 자유를 강조하고 있다. 밀턴이 살았던 17세기는 갈릴레오가 종교 재판을 받고, 브루노(Giordano Bruno, 1548 ~ 1600)가 화형을 당하는 등 신학(神學)과 과학(科學) 사이의 갈등이 고조된 시기였다. 그런 점에서 당대의 지식인들에게 출판의 자유는 우리에게 '언론의 자유'만큼이나 소중한 덕목이었을 것이다. 밀턴은 출판, 언론의 자유를 어떤 내용으로 주장하였을까. 본문을 통해 살펴보자.
1. 세상의 선(善)과 악(惡)은 나눌 수 없다
밀턴에 따르면 세상은 '선'과 '악'으로 명확히 구분될 수 없고, 불명확한 상태에서 출발하게 된다. 세상은 불순에서 순수로 나가는 과정에 있기 때문에, 악을 알기 위해서라도 이를 제거하지 않고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가 이 세상에서 알고 있는 선(善)과 악(惡)은 거의 나눌 수 없을 만큼 함께 자라고 있으며, 선의 지식은 악의 지식과 너무나도 뒤얽혀 있고, 구별할 수 없을 만큼 비슷비슷해서, 프시케(Psyche)가 부단한 수고로써 분류하지 않으면 안되었던 저 뒤섞인 씨앗들도 이보다 더 혼란스럽게 섞이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514]'(p52)
'확실히 우리는 세상에 순수한 마음으로 태어나기보다는 불순한 마음으로 태어납니다. 우리를 정화하는 것은 시련이며, 무릇 시련은 반대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515](p53) ... 그러므로 이 세상에서는 악덕에 관한 지식과 관찰이 사람의 미덕을 이루는데 반드시 필요하며, 오류를 자세히 조사하는 것이 진리를 확립하는데 꼭 필요합니다.[516]'(p55)
2. 검열(檢閱)의 한계 그리고 폐해
선과 악을 판단하는 검열관들 역시 한계를 가진 인간이기 때문에, 검열을 통해 사상을 통제하고 이상사회(理想社會)를 만들 수 없게 된다. 통제된 사회에서는 가식적인 표현만이 존재하게 된다. 밀턴은 본문에서 이탈리아의 예를 들면서 갈릴레오의 종교재판이야기를 통해 검열상태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만일 학자가 책에서 무엇인가를 처음으로 받아들이는 사람이라면, 그리고 악덕과 오류를 퍼뜨리는 사람이라면, 우리는 검열관 자신들을 어떻게 신뢰할 수 있겠습니까? 검열관에게 무오류(無誤謬)와 절대 청렴의 탁월한 미덕이 있다고 우리가 간주하거나, 그들 자신이 우리 나라의 다른 모든 사람들 이상으로 그와 같은 미덕을 갖추지 않는다면 말입니다. [520]'(p60)
'현실을 떠나 실현 불가능한 아틀란티스나 유토피아 같은 국가로 도피하는 것으로는 우리의 상태를 개선할 수 없습니다... 플라톤이 말한 서적의 검열도 이것을 할 수 없습니다. 서적 검열은 불가피하게 수많은 다른 종류의 검열(檢閱)을 수반하게 되며, 그것은 우리 모두를 우스꽝스럽고 피곤하게 만들면서도 결국 좌절만 시킬 뿐입니다.' [526]' (p65)
'그들은 그들의 학문이 빠져 있는 굴욕적인 상태를 비통해 했습니다. [538] 이탈리아인들의 위대한 재능을 질식시킨 것은 바로 이것이었습니다. 최근 수년간 그곳에서는 아첨과 과장된 표현 이외에는 아무것도 쓰여지지 않았습니다.'(p80)
3. 삭제와 금지
검열과 삭제, 그리고 금지는 부작용을 낳는 제한적인 조치에 불과하기 때문에 궁극적인 해결방안이 되지 못한다. 그보다는 선행(언론의 자유보장)에 더 힘쓰는 것이 신(God)의 뜻에 부합하는 길이다.
'사람을 죽이는 자는 신의 형상인 이성적 창조물을 죽이는 것입니다. 그러나 좋은 책을 파괴하는 자는 이성(理性) 그 자체를 죽이는 것이며, 말하자면 눈에 보이는 신의 형상을 죽이는 것입니다. [492] '(p28)
'선과 악 어느 쪽인지 분명치 않지만, 양자에게 똑같이 유용하게 작용하는 사물을 금지하는 법률은 하찮은 것임에 틀림없다는 것을 깨달아야 합니다. 그리고 만일 내가 선택을 해야 한다면 악행을 무리하게 방지하는 것보다는 미미할지라도 선행을 하도록 하는데 몇 곱절 더 우선권이 부여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528]'(p67)
4. 언론 자유의 보장
결국 검열관이 정당하게 검열할 가능성도 낮고, 검열과 삭제, 금지의 효과에 미비하다면 인간 스스로 판단할 수 있게끔 자유를 보장하는 것이 이성의 뜻, 신의 뜻에 부합하는 것이다. 비록 논쟁과 문제가 많이 발생하겠지만, 이러한 문제는 관용(寬容 tolerance)의 자세로 해결할 수 있다.
'절제(節制)란 얼마나 큰 미덕입니까, 그리고 그것은 사람의 삶에 있어서 얼마나 중요한 것입니까! 그러나 신께서는 특정한 율법이나 규제 없이, 성인들에게 전적으로 그 처분을 맡기셨습니다 [513]... 그러므로 신은 인간을 어린아이 같은 규제 속에 항상 잡아 두지 않으시고,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이성의 은사를 부여하셨습니다. [514]'(p51)
'[548] 사려 깊고 학식과 양식이 있는 한 사람이 자신의 견해와 논거를 위험스럽게 이 집에서 저 집으로 은밀하게 전파하는 것보다는, 그것을 공공연하게 글로 써서 세상에 공포하고, 세상 사람들이 지금 생각하고 있는 것이 건전치 못하다는 것을 드러내 보이는 것 이상으로 공명정대한 일이 무엇이겠습니까? [548] ' (p90)
'[562] 진리와 거짓으로 하여금 서로 맞붙어 싸우게 하십시오. 자유롭고 공개적인 경쟁에서 진리가 패배하는 일은 결단코 없습니다. 진리의 논박이야말로 최선의 억압이며 가장 확실한 억압입니다.'(p108)
'[554] 배우려는 욕구가 클수록 필연적으로 논쟁도 많은 법입니다. 많은 저작이 나올수록 의견도 많습니다... 얼마간의 관대한 사려와 분별, 서로에 대한 얼마간의 관용, 그리고 얼마간의 사랑만으로도 이 모든 노력을 한데 모아 진리를 향한 하나의 총체적이고도 형제다운 탐구로 통합시킬 수 있습니다.' (p99)
불필요한 검열과 규제 대신 자유롭게 내버려두자는 밀턴의 주장에서 우리는 후대의 애덤 스미스(Adam Smith 1723 ~ 1790)가 주장한 'laissez faire'의 원형을 발견하게 된다. 흙탕물을 휘젓지 말고 내버려두면 무거운 돌들은 가라앉고 맑은 물은 위로 떠오르는 것처럼, 자유롭게 두면 모든 것이 해결된다는 것이 밀턴이 주장한 언론의 자유, 출판의 자유라 생각된다. 이러한 밀턴의 주장대로 이후 언론의 자유는 법적으로 보장되었다.
그렇다면, 밀턴의 주장대로 헌법 제21조 1항에 따라 모든 국민은 언론, 출판의 자유와 집회, 결사의 자유를 가지는 21세기 대한민국을 살아가는 우리는 과연 선(善)한 세상에서 살고 있는가. 이에 대해 동의하는 이들은 많지 않을 것이다. 17세기에는 약자였던 언론이 21세기에는 하나의 권력으로 군림하고 있는 시대를 우리는 살고 있다. 대표적으로 제19대 대통령 선거를 며칠 앞두고 발생한 SBS의 '세월호 관련' 오보(誤報)는 이러한 우리의 현실을 잘 비춰준다는 생각이 든다.
[사진] SBS 방송 오보(출처 : SBS 뉴스)
사실 이러한 한국언론의 문제는 이명박정부 이후 10년간의 문제만은 아니다. 일제 강점기였던 1940년대 이후 우리 사회에서는 끊임없이 언론의 문제는 제기되어왔다. 1994년에 발표되었던 그룹 015B의 노래 가사에서도 우리는 언론에 대한 우리사회의 불신을 확인할 수 있다.
드라마를 보면 언제나 상류사회뿐이고
CF를 보면 항상 행복한 사람들 강한자에겐 무릎 굽히고
약한자에겐 고개를 세우고 그걸 공정하다고 하지
어제는 악인을 만들고 오늘은 영웅이라하고
아무런 생각도없이 잘도 얘기들을 하지 모든것을 비판해버리곤
그걸 자유라 부르지 우- 우- 녹슬어진 펜을 놓고서
우- 우- 이젠 모든말에 책임을 져 방향잃고 헤매는 가엾은 무관의 제왕
약속을 어긴 무책임뒤엔 차가운 비웃음 뿐
- 015B <第四府> -
언론의 자유를 주장하는 <아레오파기티카> 속에 나타난 연구자의 모습 속에서 우리 언론인들이 나가야할 길을 발견하게 된다. 그리고 이는 시대와 관계없는 언론의 이상적인 모습이고, 변치않을 지향점이라고 생각된다.
'한 인간이 세상을 향해 글을 쓸 때 그는 자신의 이성과 사려를 총동원합니다. 그는 탐구하고 사색하며 근면하게 노력합니다. 그는 자신의 현명한 동료들에게 자문을 구합니다. 이러한 일들을 다 거친 후에야 비로소 그는 자신이 쓴 것을 발표합니다. [532]' (p73)
'[550] 우리는 우리의 빛을 자랑합니다. 그러나 지혜롭게 태양을 바라보지 않으면 태양은 우리를 후려쳐서 어둠으로 밀어 넣습니다... 우리가 획득한 빛은 응시하기 위해 주어진 것이 아닙니다. 그 빛에 의해 우리의 지식으로부터 저만큼 멀리 떨어진 것들을 계속 발견해내기 위해 우리에게 주어진 것입니다.' (p93)
오랜 기간동안 달라지지 않은 언론의 문제점에 우리는 절망해 왔다. 그렇지만, 지난 6개월의 시간동안 우리는 새로운 경험을 했기에, 이제는 바꿀 수 있다는 희망을 꿈꿀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사진] 촛불집회 (출처 : 불교방송)
과거에는 핍박받던 위치에서 이제는 거대권력이 되버린 언론의 변화된 모습을 보면서 <아레오파기티카>에서 주장하는 언론 자유(自由)의 의미를 발견하는 것은 쉽지만은 않다. 그렇지만, 이제는 SNS 등의 발달로 인해 매스미디어보다는 1인 언론의 중요성이 더 커진 요즘, 진실(眞實)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가 언론인(言論人)의 위치에서 판단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짜 뉴스에 현혹되지 않고 진실을 바라보는 것. 이것이 밀턴이 <아레오파기티카>에서 말하고 싶은 바는 아닐까. 언론의 자유를 통해서 우리 사회가 얼마나 밝아질 수 있는가를 묘사한 밀턴의 말을 옮기며 이번 리뷰를 갈무리한다.
'[558] 내 마음속에는 한 고상하고 강한 국민이 잠에서 깨어난 뒤의 투사처럼 떨쳐 일어나, 천하 무적의 머리털을 흔드는 광경이 보입니다. 나는 이 국민이 마치 독수리처럼 깃털을 갈고 강인한 젊음을 되찾는 모습을, 그리고 정오의 햇살에 현란한 두 눈을 불붙여, 오랫동안 혹사한 눈을 하늘의 광휘의 원천으로 씻어내고 정화하는 광경을 봅니다.'(p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