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성된 <뮤지엄 산>은 지붕의 기복을 정교하게 사용하여 입구에서부터의 긴 산책로를 거쳐 뮤지엄 본관에 도착하며, 다시 그 앞에 스톤 가든을 배치한 직선 구조를 이루고 있다. 본관 건물은 세 개의 직육면체가 평행하게 비껴가게 늘어서고 또 하나의 직육면체가 비스듬하게 그것들을 연계하는 배치이며, 그것들의 결절점에 정육면체와 원통(실린더), 이른바 <안도적 입체>가 들어가서 명쾌한 기하학적 구성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사람들의 동선을 이끄는 공간의 연쇄는 복합적이므로 높이가 달라지고 갑자기 개구(開口)가 열리는 등 안도 다다오의 문법이 고스란히 실현되어 있다.... 한국은 석재가 풍부한 만큼, 돌을 사용하는 데는 공을 들였다. 그래서 채용한 아이디어는 안팎의 이중 상자로 이루어진 중첩 상자 구성으로, 바깥쪽은 돌 붙임 벽으로 덮은 상자, 안쪽은 노출 콘크리트로 소재의 차이를 도드라지게 했다. 30만 개의 돌판이 필요했으며, 그것을 설치하는 작업은 장관이었다. _ 미야케 리이치, <안도 다다오, 건축을 살다>, p187


[사진] 뮤지엄 산 안내도


 지난 주 원주에 있는 <뮤지엄 산>에 다녀왔다. 안도 다다오가 설계한 뮤지엄 개관 10주년을 맞이한 <안도 타다오-청춘>이란 주제의 대규모 개인전. 건축가의 전시는 아무래도 한계가 있지만, 전시회가 열리는 공간 자체가 이미 작품이니 그 안에서 건축가의 의도, 건축의 특징을 느끼는데는 부족함이 없다. 


 1976년부터 10년 동안의 안도 주택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세련된 노출 콘크리트에 의한 디자인. 둘째, 기하학적인 형태. 셋째, 빛에 대한 집착. 넷째, 시선과 동선을 중시. _ 미야케 리이치, <안도 다다오, 건축을 살다>, p85


[사진] 뮤지엄 산 전시관 외부


 콘크리트 소재감이 흡사 스키야의 나무처럼 단정하여 내부 공간의 품위와 밀도를 높이고 있다. 안팎의 뛰어난 공간 배치와 어우러져 당대 비할 데 없는 철근 콘크리트 주택이 되고, 심지어 건축의 변치 않는 본질에 다가가며 어떤 가식도 없다.  _ 미야케 리이치, <안도 다다오, 건축을 살다>, p105


 건축가에게 기하학이란 도형이나 공간을 해석할 뿐만 아니라 형태 자체를 만들어 가는 원리이다. 계산에 따라 끌어내는 대수 값으로 길이나 크기가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도형적으로 풀어야 한다. _ 미야케 리이치, <안도 다다오, 건축을 살다>, p130


[사진] 빛의 공간 The space of Light 입구


[사진] 빛의 공간 The space of Light 내부 천장


 실내에 발을 들여놓는다. 벽이 평행하게 여러 개 겹쳐서 투사되는 그림자에 농담이 생긴다. 벽은 빛을 흡수하여 바깥 세계의 소리가 소멸한다. 굳게 침묵을 지키는 실내에서 시간이 정지한다. 스며 나오는 그림자는 신비한 느낌을 휘감은 침묵의 두께로 모습을 바꾼다. 가늘고 긴 슬릿을 통해 흘러 들어와 떨어지는 빛이 투명한 층으로 순화되어, 방 전체를 밝히지 않고 벽에 흡수되어 간다. _ 미야케 리이치, <안도 다다오, 건축을 살다>, p148


 내외부가 연결된 콘크리트 구조와 기하학적인 구도에서 흘러나오는 빛과 어둠의 대비. 물과 바람의 길처럼 건물을 크게 가로지르는 구도. 그 여백을 통해 안도 다다오의 공간(空間)을 읽는다. 그렇다면, 시간(時間)은 어디에 있을까?


 정육면체 등의 근원적인 도형이 그대로 유지되면 기하학의 절대성은 흔들리지 않는데, 안도는 지오메트리와 풍토성 사이에서 절묘한 균형을 잡는다. 르코르뷔지에 같은 플라톤주의 계승자들과의 차이가 거기서 드러난다. 대지를 읽는 수준을 훌쩍 뛰어넘어, 대지의 배후에 있는 지형, 문화, 기맥(氣脈) 같은 것을 몸으로 느끼는 것이다. _ 미야케 리이치, <안도 다다오, 건축을 살다>, p137


  뮤지엄 내부에서 우리는 시간을 발견하지 못한다. 건물 바깥에 심어진 가을꽃들이 자태를 뽐내지만, 건축의 수명에 비길바는 아니다. 뮤지엄 산에서 안도 다다오의 시간을 찾기 위해서는 좀 더 멀리서 지켜봐야 한다. 뮤지엄 산을 둘러싼 수십 억년의 역사가 담긴 대지(大地)와 산. 거기에서 자라난 수십 년 수령의 나무들. 이들이 바로 공간을 둘러싼 시간이 아닐까.


 식물은 성장한다. 특히 수목은 수명이 몇십 년, 때에 따라서는 1백 년이라는 규모이며, 사찰 경내에 있는 나무는 몇백 년에서 1천 년 단위이다. 안도의 내면에 있는 시간의 계측 단위에는 두 가지 표준이 있는 것 같다. 하나는 건축으로, 몇 년이 걸려서 준공하고 그 후에는 수십 년 단위로 유지, 보수하면서 지속된다. 다른 하나는 수목 또는 식생으로, 이것의 수명은 최소 50년에서 1백 년이며 앞으로도 긴 세월 동안 생명을 유지한다. 안도의 신체에는 이처럼 서로 다른 두 가지 수명이 함께 갖춰져 있어서 건축과 수목, 양쪽을 오가면서 생명을 불어넣는다. _ 미야케 리이치, <안도 다다오, 건축을 살다>, p76


 때마침 단풍의 계절이었다. 산등성이에 펼쳐진 이 땅을 본 안도는, 거기서 다른 데서는 맛볼 수 없는 '생명의 힘'을 느꼈다고 한다. 이 흙에서 솟구쳐 오르는 힘은 미래의 아이들에게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고, 자손 대대로 이어져 갈 땅이라고. 이 절묘한 대지를 보고 안도는 그 자리에서 설계하기로 결단을 내리고 스케치도 그린다. _ 미야케 리이치, <안도 다다오, 건축을 살다>, p499


[사진] 뮤지엄 산 외경


 젊은 시절 프로권투선수였던 안도는 두가지 싸움을 펼친다. 자연을 대상화하고 그것을 인간의 세계로 편입시키고자 하는 서구적 가치관과의 싸움 그리고 주어진 환경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드러내고자 하는 싸움. 모든 예술가가 마찬가지겠지만, 안도 다다오에게도 작품은 치열한 싸움의 결과물임을 새삼 확인하게 된다.


 주거야말로 거점이며 전투의 요새이다. 안도의 말을 빌리면 이렇다. "어디까지나 개개인으로부터 시작되는 '산다', '생활한다'는 것에 대해 자아가 그로테스크하게 느껴질 정도까지 드러내는 원시 욕구를 사고의 중심에 놓음으로써, 주거는 그것들을 폭 감싸서 덮어 버린다"... 자신의 주거를 만들어 그 안에 기존 마을 풍경 속에서 키워 온 생활을 외부 자본에 맡기지 않고 관철해 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이다. _ 미야케 리이치, <안도 다다오, 건축을 살다>, p48


 건축은 싸움입니다. 거기에는 긴장감을 지속시킬 수 있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모든 것이 걸려 있습니다. 긴장을 지속하고 사물을 끝까지 파고들어 그 원리까지 되돌아가서 재조합하는 구상력이야말로 문제를 분명하게 드러내고, 기존의 조합을 깨부수는 강력함을 가진 건축을 낳는 것입니다. _ 미야케 리이치, <안도 다다오, 건축을 살다>, p58


 

 <뮤지엄 산>에서 안도 다다오의 도록 <TADAO ANDO : YOUTH>를 구입했다. 이 도록은 <안도 다다오, 건축을 살다>에서 설명된 주요 작품에 대한 생생한 컬러 사진을 제공해 작품에 대한 이해를 더해준다. <안도 다다오-안도 다다오가 말하는 집의 의미와 설계>는 건축의 도면에 대한 정리가 잘 되어 이들을 통해 안도 다다오의 건축을 바라본다면, 보다 의미있는 시간이 되지 않을까.



 <물의 교회>에서는 무덤 앞에 세우는 표시처럼 우리를 마주 보는 네 개의 십자가를 빠져나와 예배당 안으로 들어오게 되며, 거기서 다시 물의 정원에 우뚝 선 십자가를 바라보게 된다. 반대로 <빛의 교회>에서는 성당 정면에 벽을 찢고 빛이 된 십자가가 출현한다. 전자가 행진에 의한 죽음과 재생의 의식이라면, 후자는 현현(顯現) 그 자체이다. _ 미야케 리이치, <안도 다다오, 건축을 살다>, p187


[사진] 물의 교회


[사진] 빛의 교회


 서로 다른 두 개의 교회를 연결시켜 그리스도의 수난과 죽음, 그리고 재림의 의미를 해석한 글 안에서 스토아학파적인 안도 다다오의 면모를 깨닫게 된다. 이 참에 임석재의 서양 건축사도 정리해봐야겠다...


 포스트모던이라 불리는 1970년대 이후의 현대는 에피쿠로스학파, 스토아학파와 닮았다는 생각이 든다... 1970년대 이후의 건축과 도시계획에 있어 포스트모더니즘은 개별 건축물부터 도시에 이르기까지 통일감 있는 디자인으로 구성하겠다는 야망을 단념하고 유동하는 하나의 무리가 된 세계 속에서 로컬한 질서를 만들어내고 있다. 그런 점에서, 스승인 단게 겐조(1913~2005)의 모더니즘으로부터 포스트모더니즘으로 전향한 이소자키 아라타(1931~2022)를 에피쿠로스학파에 비교한다면, 단게-이소자키와 같은 국가적 엘리트와는 거리가 먼 곳에서 맨주먹으로 출발한 안도 타다오(1941~ )는 스토아 학파에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스토아학파의 가르침처럼, 형성된 질서는 반드시 해체되고 태어난 것은 반드시 죽게 되므로 그 운명에 화내고 슬퍼해봤자 소용이 없으니, 오히려 사태를 냉정하게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데서 더 나아가 운명을 사랑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는 것일까? _ 아사다 아키라,<안도 타다오, YOUTH> <안도 타다오의 스토아학파적 건축> 中





댓글(8) 먼댓글(0) 좋아요(4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희선 2023-10-16 03:3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겨울호랑이 님 안도 다다오가 설계한 뮤지엄 산에 다녀오셨군요 그런 곳이 있다는 말 들어본 적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어느새 십년이 되다니... 안도 다다오 이름만 알고 잘 모르기도 하네요 안도 다다오 건축을 보고 서양건축사를 정리하시려 하다니 멋지시네요 저는 그런 거 보면 그걸로 끝일 텐데... 하나에서 다른 걸로 이어지는 공부를 하면 좋을 듯하네요


희선

겨울호랑이 2023-10-16 07:42   좋아요 2 | URL
저도 뮤지엄 산 근처에 자주 가면서도 제대로 감상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사실 이번에도 거의 지나칠 뻔 했는데 다행히 기회가 잘 맞았고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우리에게 좋은 많은 기회들이 알지 못하는 사이에 지나가 놓쳐버린 것이 얼마나 많을지도 생각하게 됩니다. 기회를 통해 무엇인가를 새로운 계기를 마련하는 것은 계획에는 어긋나지만, 우리 삶을 재밌게 해주는 일탈이 아닌가 싶습니다. 희선님, 감사합니다! ^^:)

yamoo 2023-10-16 09:4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여기 어디 인가요? 저도 시간되면 가볼까 합니다만..^^;;

겨울호랑이 2023-10-16 10:13   좋아요 2 | URL
강원도 원주 오크밸리안쪽에 있는 <뮤지엄 산>입니다. <안도 다다오 - 청춘>은 10월 29일까지 예정되어 있어 시간이 조금 촉박하네요... 조금 멀지만 좋은 시간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yamoo님 좋은 하루 되세요! ^^:)

2023-10-16 11:1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3-10-16 14:22   URL
비밀 댓글입니다.

꼬마요정 2023-10-20 10:4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아아 <뮤지엄 산>이로군요!!! 저는 2017년에 다녀오고 다시 못 가서 아쉽습니다. 너무 예쁘고 신기한 곳이었죠. 그 때는 백남준 전시 보고 제임스 터렐관 갔었어요. 기억이 새록새록 납니다. 건축가들도 천재인 것 같아요!!!!!

겨울호랑이 2023-10-16 17:47   좋아요 2 | URL
지금도 백남준 전시와 제임흐 터렐관에서 전시 중이라 안도 다다오 전 이외에 크게 달라진 것은 없는 것 같습니다. 저 도한 산 속에서 몸과 마음을 쉬게 하는 재생과 부활의 공간이라는 느낌을 받았는데, 다른 분들에게도 멋진 공간으로 기억되는 것 같아 반갑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