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1950년 6월이 되기 여러 달 전에 남북간의 분쟁을 재래전의 차원으로 확대하기로 결정했다는 것은 이제 소련 문서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남한에서 결말없이 진행되는 유격전에 지쳤기 때문에, 그리고 아마도 1949년에 발생한 남쪽의 여러 차례의 도발을 구실로 삼아 이승만 정권을 무너뜨리고 싶었기 때문에 그렇게 결정했을 것이다(p38)... 옹진전투는 6월 25일 오전 3~4시 경 시작되었다. 최초의 정보 보고서는 어느 쪽이 전투를 시작했는가에 관해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나중에야 공격 부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경경비대 제3여단의 일부였고 오전 5시 30분 막강한 제6사단이 이에 합류했다고 알려졌다. 미국의 공식역사에 따르면, 거의 동시에 철원 남쪽 38도선에 주둔한 조선인민군이 남한군 제7사단 제1연대를 공격하여 큰 타격을 입혔다. 제7사단은 무너졌고, 조선인민군 제3사단과 제4사단이 기갑여단을 동반하여 밀고 들어와 서울을 향해 기세 좋게 진격했다. 그러나 남한의 자료에 따르면, 제17연대가 옹진반도에서 반격을 가했으며 해주를 점령하고 있었다. _ 브루스 커밍스, <브루스 커밍스의 한국전쟁> , p39
전면전으로서 한국전쟁(1950~1953)의 시작이 1950년 6월 25일 새벽 옹진반도와 철원일대에서 북한군의 총공세로 시작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다만, 이러한 역사적 사실 이면에 어떤 배경이 있는가를 이해하는 것은 사실 자체를 아는 것보다 중요할 것이다. 한국전쟁 발발 72주년을 맞아 남침(南侵)인가, 북침(北侵)인가에 따라 이념을 규정하는 것보다 전쟁의 기원을 차분하게 들여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전쟁이라는 물이 끓었을 때, 누가 99도에서 100도로 온도를 올렸는가보다, 100도까지 물의 온도를 올리는데 남북은 물론, 미,소,중 등 세계 각국의 기여를 아는 것은 한국전쟁의 전체적인 모습을 이해하는 것과도 통하는 면이라 여겨진다. 6월말까지 얼마나 정리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천천히 한국전쟁의 기원과 여유가 된다면 휴전까지 살펴보려 한다...
1950년에 발발한 전쟁의 기본적 문제들은 해방 직후 불과 3개월 내에 이미 뚜렸해졌다. 그 결과로 농민반란, 노동분쟁, 게릴라 전쟁 및 38선 전역에 걸쳐서 일어났던 공공연한 무력충돌 등을 통하여 결국 10만 명의 인명이 희생되었다. - 이 모든 것이 표면적인 한국전쟁 발발 이전에 일어났던 것이다. 다시 말하면 싸움의 성격은 내부적이며 혁명적인 것이었고, 1945년 직후에 시작되어 혁명과 반동의 논리하에 진행되었던 것이다. 1950년 6월의 전통적 전투의 개시는 이 전쟁이 다른 방식으로 계속된 데 지나지 않는 것이다. _ 브루스 커밍스, <한국전쟁의 기원 1> , p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