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주의 군벌 장작림(張作霖)이 북평(北平)의 국민군을 내몰고 대원수가 되었으나 결국 북벌군 장개석(蔣介石)에게 패하여 봉천(奉天)으로 가던 열차에서 한때는 동업자였던 관동군(關東軍)에 의해 폭사했는데, 패전한 장작림을 뒤쫓아 국민군이 만주로 진격해올 경우 일본은 매우 불리한 입장이므로 관동군의 고급 참모 가와모토 다이사쿠[河本大作]의 공작에 의해 장작림을 폭살하고 동북 삼성(三省)을 혼란에 빠뜨려 단숨에 그들은 만주를 장악한다, 그러나 그 계획이 실패로 돌아간 것이 1927년의 일이거니와 역시 만보산 사건을 이용하여 던진 미끼를 중국은 물지 않아 일본의 희망은 또 한 번 무너졌다(p207)... 그것이 바로 만주로 향한 진격, 그러나 내용적으로는 군부의 관동군 스스로 봉천역 북방 팔 킬로 지점에 있는 유조구의 철도를 폭하한 뒤 장학량의 소행으로 뒤집어씌우면서 공격을 개시한 각본은 관동군의 고급참모 이타가키 세이시로[板垣征四郞]와 이시하라 간지[石原莞爾]의 작품이다. _ 박경리, <토지 15> , p208/594


  인실과 오가타, 오가타와 찬하가 서로 이해와 갈등을 나누는 사이 <토지 15> 속의 시간은 1930년대를 지나간다. 이 시기 이후 제국주의 일본의 행보가 극단으로 치닫기에, 그 시점이 된 1928년 장쭤린 폭살사건(황고둔 사건 皇姑屯事件)과 만주사변(滿洲事變, 1931)을 통한 만주국(滿州國) 수립(1932)의 역사를 살펴볼 필요가 있어, 이를 살펴보려 한다. <쇼와 육군>의 저자 호사카 마사야스(保阪正康, 1939 ~ ) 역시 이후 일본 관동군 중심의 육군이 가져온 파멸적인 결과에 대한 시발점과 압축점으로 장쭤린 폭살 사건을 해석한다.


 쇼와 육군을 검증할 때는 장쭤린 폭살 사건을 다각적으로 주시해야 한다. 그래야 이 무렵 중견 막료들이 육군 내부를 어떤 식으로 농단했는지, 그리고 그들이 장쭤린이나 장쉐량 張學良과 같은 중국 군벌에 대해 얼마나 모멸적인 태도를 취했는지 등이 명확해진다. 게다가 이 사건에는 사실을 은폐하기 위해 보인 억지스러운 태도, 목적을 위해서는 수단이 정당화된다는 착오 등 훗날 쇼와 육군이 저지르는 잘못이 응축되어 있었다. _ 호사카 마사야스, <쇼와 육군> , p69/974


  장쭤린 폭살 사건 직전의 중국 상황은 청조(淸朝) 멸망 이후 납립했던 여러 군벌(軍閥)세력들을 장제스(蔣介石, 1887~1975)가 북벌을 통해 제압하고, 최종적으로 동북부의 강자 장쭤린(張作霖, 1875 ~ 1928)과 결전을 벌이기 직전이었다. 이 지점에서 장쭤린과 일본의 이해관계는 충돌한다. 장쭤린이 베이징(北京)에서 결전을 피하고 랴오허강(療河) 동쪽으로 넘어가려는 순간 일본은 장쭤린의 효용가치가 없음을 파악하게 된다. 어쩌면 일본 군부는 과거 후한(後漢)의 원소(袁紹, ? ~ 202)가 관도 대전(官渡大戰, 200)에서 패한 이후의 멸망을 떠올렸을지도 모르겠다. 

 

장작림은 일본을 의지하면서 북경정권을 장악하려 하였고, 일본은 만주와 몽고에서의 특수한 지위를 공고히 하고자 하였기 때문에 일본의 장작림에 대한 지지와 지원은 계속되었다. 1928년 봉계군벌이 북벌군에게 참패하는 순간 장작림은 만주와 몽고의 특수이익을 유지하고자 하는 일본에게 이미 장애물로 전락되었다. 일본은 장작림이 동3성에서 참패하여 물러날 경우 북벌군이 관외로 군대를 내보내는 것을 가장 염려하였으며, 그렇기 때문에 일본 관동군은 장작림을 폭사시키고 자신들이 직접 나서서 동3성을 점령한다는 정책으로 급선회하였다. _ 이건일, <군벌 1>, p88/515 


 다만, 분명한 것은 장쭤린의 패전으로 전장이 동북3성이 위치한 만주로 확대되는 것을 일본은 원치 않았다는 점이다. 그래서, 중국 내전에 개입하여 만주지역에서의 자신들의 우위를 놓지 않으려 했지만, 이러한 요구는 국제 조약에 위배된 것이었고 장쭤린, 장제스 모두에게서 거부되기에 이른다. 위기에 몰린 일본의 선택. 그것은 장쭤린 폭살이라는 극단적인 결과를 낳게 된다. 


 산둥 출병에도 불구하고 북벌군의 황허 도하를 저지하는 데 실패한 일본은 다음 책략으로 장쭤린과 장제스 양쪽에게 최후통첩을 보냈다. 제국 정부로서는 전란이 만주에 미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적당하고 유효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 수 없다. 첫째, 남군(북벌군)이 베이징에 입성하기 전에 평톈군이 산하이관 이북으로 철수하는 것은 인정하지만, 남군의 만주 진입은 용납하지 않는다. 둘째, 남국과 펑톈군이 베이징-텐진 지구에서 교전하거나 양군이 함께 만주로 진입할 경우 양쪽을 모두 무장해제하겠다. _ 권성욱, <중국 군벌 전쟁> , p778/1080


 왜 일본은 장쭤린의 패배에 그토록 초조해 했을까?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일본의 정치인과 군부, 군부 내에서 해군과 육군, 육군 내에서 관동군과 관동군이 아닌 비육군계의 갈등을 먼저 살펴야 한다. 메이지 유신(明治維新, 1868) 시대의 주역들이었던 사츠마, 조슈번의 출신 인물들이 실무에서 점차 손을 떼면서 새롭게 쇼와(昭和) 시대의 인물들이 등장하고, 때마침 1920년대 자유주의의 영향으로 이른바 다이쇼 데모크라시(1911 ~ 1925)라 불리는 일련의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었다. 


 제1차 세계대전 전후 경제 호황으로 일본경제 역시 이 시기에 크게 부흥하게 된다. 식민지 조선과 타이완에서 획득한 원재료를 가공하여 일본 본토에서 가공하여 수출하는 기존의 방식에 더해 만주 지역의 면화, 콩 등 자원을 활용하려는 일본의 계획은 물류정책에서도 드러난다. 한국 지역에서의 철도를 만주철도에 위탁경영함으로써 대륙과 연결을 원활하게 하려는 1927년의 <조선철도 12년 계획>는 이러한 일본의 야심이 잘 드러난다. 이러한 만주철도가 바로 관동군의 배후였다는 점을 생각해 본다면, 만주지역에 대한 장제스의 북벌군 진입은 결코 반가운 일이 아니었으며, 일본은 이를 막을 필요가 있었다.


 일본의 국내사정 역시 심각했다. 금융공황은 경제계를 휩쓸었고 급속한 공업화에 과도한 군비확장으로 농촌은 피폐해졌으며 사회 전반에 걸쳐 사회주의 물결은 드세게 일렁였다. 불경기는 수많은 실업자를 거리로 내몰았으며 노동쟁의는 격화일로, 사회풍조는 퇴폐와 환란에 흠씬 젖어가고 있었다. 정계 또한 혼란의 연속이었다_ 박경리, <토지 15> , p208/594


 관동군은 만주사변 이전만 해도 고정 사단이 없고 본국의 여러 부대가 2년 단위로 돌아가면서 파견 근무했다. 인원과 장비는 최소한의 수준을 유지했다. 관동군의 임무가 적과의 전투보다는 철도 경비라는 지엽적인 임무였다면, 조선군이야말로 유사시 대륙으로 즉시 출동하기 위한 실전부대이자 신속 대응군이었다. 그러나 정치적인 힘은 조선군보다 관동군이 더 컸다. 관동군은 군부 핵심층에서 거대한 파벌을 형성하여 발언권이 막강했다. 관동군 뒤에는 남만주의 철도사업을 담당하는 남만주철도주식회사, 이른바 만철 滿鐵이 있었다. _ 권성욱, <중국 군벌 전쟁> , p783/1080  


 1927년도 이후 도문선 건설 및 개량공사를 실시하였고, 1933년 9월 공사가 거의 마무리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북선 침 동북만주지역의 교통망 정비와 나진항 이용 개발이라는 대국적 견지에서 청진 이북의 북선선(北鮮線)을 만주철도에 위탁경영하게 되었다. (p118)... (만주철도는) 1936년 6월 동북 만주 일대의 화물을 일본으로 반출될 수 있도록 북선 3항을 병합하는 의미에서 조선총독부로부터 청진~옹기 두 항을 임대받아 나진과 함께 관리, 경영하게 되었다. 북선의 위탁 철도는 일본과 북선, 만주를 연결하는 교통망의 확충을 의미하며, 조선과 만주 지역의 각 철도 및 동해 항로를 통하여 일본의 철도와 연계 협조할 수 있는 중요한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계약 내용에 특히 조선 내외의 교통 편리를 증진하고 조선의 지방 개발을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기울인다는 취지가 기재되어 있었다. _ 센코가이, <조선교통사 1> , p119


 장쭤린 폭살 사건은 단순한 폭살 사건이 아니라, 중국 동북 지역에 대한 정책 전반이 관동군에게 넘어갔음을 잘 보여준다. 만주철도의 이익을 위해 벌인 관동군의 무모한 행동이 견제받지 못하면서 이는 일본 패전에 좋은 선례를 남긴다. 이후 중일전쟁(1937) 등으로 폭주하는 일본 육군의 움직임에 자극되어 일본 해군 또한 진주만 공격(1941)으로 막나가면서 일본제국이 종말을 맞았다는 점을 생각해본다면, 장쭤린 폭살 사건은 개인의 죽음이 아닌 일본 제국 멸망의 전조라 해석해도 무방하지 않을까. 


 다나카 수상은 철도대신 오가와 헤이키치의 보고와 외무성의 보고를 듣고 있었기 때문에 육군이 보내온 보고서와 의문을 가졌을 법하지만 상세하게는 추궁하지 않았다. 그 역시 자신이 키운 육군에 대한 신뢰를 중시했던 것이다. 동시에 이것은 육군성과 참모본부의 중견 장교가 조슈벌에 속하는 다나카와 시리카와(에히메 현 출신이지만 다나카의 직계)를 몰아 내는, 또는 메이지 유신 전후에 태어나 러일전쟁 때의 낡은 전쟁관을 갖고 있었으며 만주에 대해서도 군사에 의한 제압에 나서지 않는 세력을 내쫓는 교묘한 싸움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다나카는 이러한 계략을 충분히 알아채지 못했던 것이다(p87)... 장쭤린 폭살 사건을 쇼와 육군이 범한 오류의 제1막이라 한다면 만주사변은 제2막이었다. 만주사변에서는 제1막에 포함되어 있던 '실패의 교훈'이 교묘하게 되살아난다. _ 호사카 마사야스, <쇼와 육군> , p90/974


 만몽 지방에서는 원래 러시아가 동청 철도의 신징 이남 노선(만철)과 랴오둥 반도(관동주)를 장악하고 있었는데, 러일전쟁에서 승리하면서 일본이 그 권익을 양도받았다. 더욱이 일본은 펑톈과 푸순 등 만철 연선 沿線의 주요 지역 행정권과 그곳에 관동군을 주둔시킬 권리(주병권) 등도 함께 획득했다. 결국 러시아가 중국 동북 지방에서 장악하고 있던 식민지의 권익을 더 크게, 비대화하여 이어받았던 셈이다(p112)... 위기감을 느낀 관동군 참모는 점과 선으로 지배하고 있는 만몽 지구(동삼성)를 일본의 뜻대로 움직이는 국가, 즉 점과 선이 아니라 면으로 확보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고, 그런 의사를 관동군 내부만이 아니라 일본의 국내 정치에도 끌어들였다. _ 호사카 마사야스, <쇼와 육군> , p112/974


 만주국 건설은 만주철도의 경제적 이해와 함께 '만몽 영유론'이라는 정치적인 구상이 만들어낸 합작품이다. <마지막 황제> 푸이(愛新覺羅溥儀,1906 ~ 1967)는 자신을 여진 히틀러와 같은 제3제국 - 금(金), 후금(後金, 淸)을 잇는 - 의 황제로 생각했을지는 모르겠지만, 실은 이시와라 간지( 石原 莞爾, 1889 ~ 1949)의 관념의 실현에 필요한 꼭두각시에  불과했음을 뒤늦게나마 깨달았을까. 


 1928년 10월의 이동으로 이시하라는 관동군 참모(작전 주임)가 되었다. 도쿄에서 육군대학 강의와 목요회에서의 '연구'를 현지에서 실행할 기회가 찾아온 것이었다. 사료에 의하면 1929년 7월, 15일간의 예정으로 이뤄진 북만주 참모 여행 기간 중 이시하라는 관동군 막료와 북만주 주재 무관에 대해 만몽 영유계획의 전모를 설명하였다. 또한 1930년 3월 단계에서 만철조사과원에게도 '만몽 문제 해결의 유일한 방법은 만몽을 우리가 갖는 것이다'라는 방침을 분명히 하고 만몽의 진가, 만몽 점령이 우리의 정의라는 점, 미국에 대한 지구전을 두려워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 등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고 설명하였다. _ 가토 요코, <만주사변에서 중일전쟁으로> , p121


 메이지 유신을 통해 만들어진 기틀 위에 아시아 여러 민족의 힘을 모아 서양 문명과의 충돌을 대비해야 한다는 이시하라의 구상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만주(滿州)와 몽골(蒙古)지역에 대한 점유가 필요했고, 이러한 바탕위에 만주국이 세워지게 된다. 만주국의 성립은 만주 지역의 일본 제국 내 편입을 의미하기에 이전 체제를 느슨하게 유지해온 시데하라 외교와 장작림은 폐기되거나 제거될 필요가 있었으며, 만주지역의 풍부한 자원은 경제공황 상황에서 경제 블록화의 밑바탕이 될 예정이었다. 


 관동군 막료들은 어떠한 경위로 만몽 영유론을 꿈꾸게 되었을까? 이러한 생각이 설득력을 갖기 위해서는 그 전 단계로서 그때까지의 체제를 안정시켜온 몇 가지 전제조건이 무너져야 할 필요가 있다. 그렇다면 주어진 전제조건이란 무엇이었을까? 세 가지 측면에서 설명이 가능하다. 첫째는 일본의 만몽권익은 조약에 기초를 둔 확고한 것이며, 신 4국 차관단 등에 의한 보증도 있으므로 누가 동삼성을 지배하든 누가 중국 정부의 중심이 되든 걱정할 필요는 없다는 취하고 있던 시데하라 외교이다... 두 번째로, 장작림(張作霖)을 통한 만몽 지배의 안정성이다.... 세 번째로 총력전 시대에 일본이 직명해야 할 전쟁 준비의 어려움이다. _ 가토 요코, <만주사변에서 중일전쟁으로> , p83


 나는 제1차 유럽대전을 통해 전개된 자유주의로부터 통제주의로의 혁신, 즉 쇼와유신이 급진전된 것으로 본다. 쇼와유신은 일본만의 문제가 아니다. 진정으로 동아시아 각 민족의 힘을 종합적으로 발휘하여 서양 문명의 대표자와 싸울 결승전 준비를 완료하기 위함이다. 메이지유신의 주안점이 왕정복고, 혹은 폐번치현(廢藩置縣)이었던 사실과 마찬가지로, 쇼와유신의 정치적 주안점은 동아연맹(東亞連盟)의 결성이다. 만주사변을 통해 그 원칙이 발견되었고 오늘애야 비로소 국가의 방침이 되려하고 있다. _ 이시와라 간지, <세계최종전쟁론> , p77/300


 마치 우리가 메이지유신을 통해 번후(藩候)에 대한 충성을 덴노(天皇)에 대한 충성으로 되돌렸듯이, 동아연맹을 결성하기 위해서는 민족의 투쟁이나 동아시아 각국의 대립보다 민족의 협력과 화합(協和)을 통해 동아시아 각 국가의 진정한 결합이란 새로운 도덕을 만들어가야 한다. 그때 가장 중심이 되는 문제는 만주국의 건국 정신인 민족협화의 실현이다. _ 이시와라 간지, <세계최종전쟁론> , p78/300


 이런 구상에 대해 아버지를 잃은 군벌 장쉐량의 배일(排日)행보로 초조해진 관동군은 결국 만주사변(滿洲事變)을 통해 '만몽영유'를 현실화시키게 된다. 경제적 이권을 위해 세워진 괴뢰국가 만주국. 만주점령를 합리화하기 위해 구상된 오족협화(五族協和)라는 관념의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만주국에서 '민족'을 기본으로 한 근대성을 찾을 수 없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아울러, 만주국에서의 경제발전 모델을 이식한 조선에서의 근대산업화 모델 역시 중심부에 대한 주변부의 역할에 다름아니기에 우리는 만주국의 관념적 공허성과 제국 내 의존성을 통해 일본에 의한 식민지근대화론을 비판할 다른 하나의 자료를 추가하게 된다. 조선에서의 내선일체(內鮮一體), 만주국에서의 오족협화, 태평양 전쟁 시기 동남아 제국에서 주장된 대동아공영권(大東亞共榮圈)은 이러한 관념과 같은 선에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페이퍼에서 다루도록 하자.


 1930년대 초 만주에서는 장쭤린의 뒤를 이은 장쉐량(張學良)이 국권회복과 배일운동을 적극 전개하기 시작하면서 일본의 권익을 뒤흔들기 시작했다. 그는 일본에게는 관동군 철수, 남만주철도 회수 등을, 소련에게는 북만주철도 회수 등을 주장했다.(그 뒤에 소련군이 만주리에 침입). 게다가 간도(間島)에서 '만보산사건'(1931.7. 지린성 창춘현 만보산 지역에서 일본의 술책으로 조선인과 중국인이 벌인 유혈 충돌 사태) 등 '만몽의 위기'가 거론되자 다시 일본 내에서 강경론이 비등하기 시작했다. 관동군은 중국 측이 조선인을 만주에서 추방하기 시작하자 '조선계 일본인'을 보호한다는 구실로 동 지역에 파병했다. _ 서승원, <근현대 일본의 지정학적 상상력> , p87


 천진(天津)폭동을 유도하면서 교묘히 끌어낸 청의 마지막 황제 부의(簿儀)를 내걸고 1932년 3월 1일 드디어 일본은 대망의 만주국 괴뢰정권을 만들어내었던 것이다. 그동안 일본 정부는 세계이 여론을 두려워하여 사변의 불확대를 성명했으나 그것은 구두선에 불과했다. 신속하기가 질풍과도 같은 관동군의 진격은 멈추지 않았고 일본 국민은 열렬히 만주침략을 지지하고 나섰다. _ 박경리, <토지 15> , p209/594


  평소대로라면 이시와라가 가장  열심히 다섯 민족(일본인, 조선인, 한족, 만주족, 몽골족)이 조화를 이루는 만주국 건국을 주장해도 이상할 게 없었다(p93)... 만주국은 관동군 참모들의 정치 공작에 의해 만들어진 국가였다. 그랬기 때문에 역사적으로는 일본의 괴뢰 국가로 일컬어지는데, 당시 일본의 국내 정세로는 그렇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오히려 이 새로운 국가는 정치 이데올로기의 측면에서는 '오족협화'의 이상향으로 고취되었고,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자원이 풍부한 중국 둥베이(東北) 지방의 개발에 공헌할 것을 강조했다. _ 호사카 마사야스, <쇼와 육군> , p112/974


 국가 형식과 파시스트 체제의 특별한 조합은 만주국의 통치성을 특징지었다. 그것과 다른 근대국가들과의 차이는 그것이 한 민족의 정통성을 결여했다는 점이다. 통치성은 주권의 요구를 배제하지 않으며, 1차 세계대전 이후의 시대에 주권은 점차 민족의  담론 속에 배태되었다. 국가 권리의 기초에서 국제연맹으로부터의 인정을 얻는 데 실패하면서, 만주국은 더욱 중국 내셔널리즘이 내거는 심오한 (역사적) 주장들과 맞붙어야 했다. 만주국의 스토리는 - 적어도 초기의 양상에서는 - 민족을 추구하는 국가의 스토리이다. _ 프래신짓트 두아라, <주권과 순수성>, p157


 만주사변은 공황의 늪에서 헤매던 일본인들에게 한 줄기 빛을 던져준다. 전쟁은 유효수요를 만들어냈으며, 원재료를 공급해 줄 것이었고, 무엇보다도 일본인이라는 자부심을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격렬한 투쟁에 지친 중도층에게 심어주었다. 전쟁이라는 더 큰 파괴와 혼란이 작은 혼란을 잠재우는 좋은 수단이 된다는 것, 심지어 이러한 논리가 매우 유효하다는 비극을 유효함을 우리는 2021년 대통령 선거과정에서도 확인한다.


 만주사변은 일본 사회 내부의 대립을 첨예화시키면서도 대립과 대항의 존재를 해소하고 소거시켜 버리는 논조를 만들어 냈다. '끓는 조국애의 피, 일본에 넘쳐 흐른다!' 는 <도쿄아사히신문>(1931년 11월 18일)의 표제어였다. 또 신문에서는 '눈 내리는 광야, 포탄 속의 참호에서 모국의 생명선을 사수하는 우리 파견군 장병에 대한 국민의 감격은 날로 커져 가고 있다'고 선동하면서, 위문금이 1일 평균 1,500~1,600엔, 위문 보따리는 평균 3만 개에 달한다고 보도했다. 이처럼 만주사변 이후 사람들의 감정은 일거에 거국적이 되었다. 그동안의 비판적인 발언은 보이지 않고 세 조류가 정립한 상황은 급격히 유동화되었다. _ 나리타 류이치, <다이쇼 데모크라시> , p215

 

 에도의 자취를 걷어낸 동경에는 파리가 있었고, 런던 뉴욕도 있었다. 루바시카의 모스크바도 있었다. 유행이라면 무엇이든지 사회전반으로 현기증 나게 탈바꿈을 거듭하는데, 환락가, 유흥가, 연예계는 구미(歐美)를 뺨칠 만큼 개방적이며, 성냥갑이나 포스터의 나체 그림은 그들의 전통인 남녀 혼욕(混浴)만큼이나 자연스러웠다(p113)... 도시 뒤켠에는 그 같은 계층이 있고 농촌에는 소작료가 밀렸다 하여 농가의 농기구에 빨간 딱지가 붙은 현실, 정쟁(政爭)이 있고 암살이 있고 쿠데타의 기도가 있고 계급투쟁/노동쟁의/여성해방의 운동이 있고, 노동자 열 명의 이십 년 월급보다 훨씬 많은 돈을 방 하나 치장하는데 쓰는 나리킨이 있고, 그러나 이러한 모든 것은 일본의 얼굴일 뿐이다. 분을 바르건 성형수술을 하건, 보기 흉한 종기에는 반창고를 붙이건 잘라내 버리건 그것은 얼굴에 다름없다. 천하무적의 군비, 일본의 심장은 그것으로 뛰고 있는 것이다. _ 박경리, <토지 15> , p113/594


 사회 자체가 거대한 에고이즘의 덩어리라는 말은 맞는 말이네. 전폭적인 긍정으로 감상주의에 흐르는 것도 대단히 위험한 일이야. 더더구나 민족주의를 휘두르고 나가는 사람들에겐...... 사회주의자들도 마찬가지야. 민중에게 절망하는 것도 그러하나 큰 기대를 거는 것도 것도 어리석어. 실체를 뚫어보지 않고 하는 일은 결국 붕괴된다. _ 박경리, <토지 15> , p221/720


 <토지 15> 중반부의 배경이 된 장쭤린 폭살사건과 만주사변을 통해 우리는 제국의 정점에서 이제 급전직하(急轉直下)의 일본제국을 발견하게 된다. 경제공황이라는 경제위기를 손해없이 돌파하려는 자본의 모습과 성장을 위한 고통을 피하려는 대중의 심리, 이를 덮으려는 민족주의와 파시즘이 만들어낸 거대한 움직임은 다시 전쟁이라는 이정표로 흐르고 있음도 함께 생각하게 된다. 동우크라이나의 도네츠크주, 루한스크주에서의 갈등과 NATO가입을 둘러싼 우크라이나에서의 전쟁 위협을 바라보고 있는 현시점에서 과거 역사는 또다른 시사점을 던져준다.


 환국은 칸딘스키의 초기 그림이 좋았다. 칸딘스키가 추상화의 이론가라는 것은 그림 공부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다 아는 일이지만 그의 초기 그림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은 주변에 별로 없는 것 같았다. 사철 눈과 얼음에 덮여 있을 것 같고, 색채가 빈곤할 것만 같은 러시아에서 어떻게 현란한 이런 색채를 빚어내었는지, 칸딘스키의 초기 그림을 볼 때마다 환국은 신비스러움과 동경을 느끼는 것이다. _ 박경리, <토지 15> , p121/594


 미술을 좋아하는 환국은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 1866 ~ 1944)의 색채에 빠져있다. 아마도 환국은 칸딘스키의 색에 담긴 영혼을 움직이는 힘에 경도되었을 것이다. 칸딘스키의 말처럼 예술이 내부와 외부에서의 변화를 점(點), 선(線), 면(面)로 표현하여 영혼을 움직이는 것이라면, 일본제국은 1930년대 세계 공황의 위기를 중국에서 점과 선으로 연결된 자신의 영향력을 면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지나친 욕심을 벌인 것이 칸딘스키와의 차이라 할 수 있을까. 이 역시 파멸로 이른 것도 내적 필연성일지 모르겠다... 


[그림] Wassily kandinsky oben und links (출처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Wassily_kandinsky_oben_und_links.jpg)


 우리는 색들로 덮인 팔레트를 주시할 경우에 두 가지 사실을 경험하게 된다. 첫째, 우리는 순수한 물리적 작용을 받아들이게 된다(p57)... 둘째, 그리하여 우리는 색을 응시했을 때에 생기는 제이의 결과, 즉 색들의 심리적인 효과에 이르게 된다. 여기에서 색의 심리적인 힘이 생겨나고, 이 힘은 영혼은 동요시킨다. 그리하여 첫번째의 기본적이며 물리적인 힘은 색이 영혼에 도달하는 길을 열어 주고 있다(p59)... 예술가들은 인간의 영혼에 진동을 일으키는 목적에 적합하도록 이렇게, 저렇게 건반을 두드리는 손과 같다. 그러므로 색의 조화는 오직 인간의 영혼을 합목적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법칙에 근거한다는 사실이 명백해진다. 이것은 내적 필연성의 원칙을 나타내고 있다. _ W. 칸딘스키, <예술에서의 정신적인 것에 대하여> , p62


 점(點)의 크기가 변화하면 점은 상대적인 본질 내에서의 변화도 함께 일어난다. 이 경우 점은 그 스스로로부터, 즉 그 자신의 중심으로부터 자라나는데, 이것은 점의 집중적인 긴장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결과만을 초래할 뿐이다. 한편, 점 내부에서가 아니라 외부에서 생겨나는 어떤 다른 힘이 있을 수 있다. 이 힘은 화면 속으로 박혀 들어가 있는 점에 의지하여 점을 밖으로 끄집어내어, 화면 위에서 그것을 어느 방향으로인지 밀어내고 있다. 이를 통해 점의 집중적인 긴장은 곧장 소멸되며, 동시에 점 자체는 생명을 잃게 되고, 따라서 이 점으로부터 하나의 새로운 자리적인 생명을 가진, 다시 말해 그 고유한 법칙에 따르는 하나의 새로운 본질이 생겨난다. 이것이 선(線)이다. _ W. 칸딘스키, <점, 선, 면> , p46


PS. 페이퍼가 산으로 가는 것을 보면, 가끔은 내가 <토지>독서챌린지를 하고 있다는 것을 잊고 페이퍼를 쓰는 듯하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5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읽는나무 2022-02-13 15:59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ㅋㅋㅋ
분명 양질의 리뷰입니다.
언젠가 날 잡아 재독 삼독해야 할 호랑님의 글들이에요.
토지 이야기 더 써주세요^^

겨울호랑이 2022-02-13 16:27   좋아요 2 | URL
감사합니다. 토지 독서챌린지가 4월말까지라 아직 10여편 정도 더 써야 됩니다. 아직 한참 남았네요ㅋ 책읽는나무님 좋은 오후 되세요!

페넬로페 2022-02-13 16:0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토지가 인물사전까지 21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제 겨울호랑이님의 토지 읽기가 얼마 남지 않았네요.
그동안 책 읽으시고 거기에 관련된 이렇게 방대하고도 훌륭한 글 쓰시는 것, 너무 대단하십니다^^
보람된 완독되시길 기원합니다**

겨울호랑이 2022-02-13 16:31   좋아요 2 | URL
가끔 페이퍼를 쓰면서 너무 옆으로 간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만, 이웃분들께서 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페넬로페님 행복한 오후 되세요. 감사합니다! ^^:)

바람돌이 2022-02-13 17:0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진짜 공부하는 책읽기! 저는 이런식으로 책 못읽는데 겨울호랑이님 글을 읽다보면 아 진짜 공부하는 사람이 어떻게 하는건지를 배웁니다. ^^

겨울호랑이 2022-02-13 20:29   좋아요 1 | URL
감사합니다. 관련 내용이 나오면 찾아가다 보니 진도는 더디고 옆길로 많이 새는 것같아 사실 좋은 방법만은 아닌 듯 합니다. 이번에 전체적인 배경을 챙겼다면 다음에는 내용에 집중해서 읽으려 합니다. 바람돌이님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