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는 어떻게 역사가 되었나 - 사냥, 도살, 도축 이후 문자 발명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역사
헤르만 파르칭거 지음, 나유신 옮김 / 글항아리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전 세계 인류가 각기 다른 시기에 매우 다양한 조건 속에서 최초의 시작부터 문자 발명까지 이루었던 발달 과정들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우리는 어떤 법칙성과 기본 메커니즘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법칙성은 곧잘 생활 환경에 의해 규정된다. 이때 경제적, 기술적, 정치적, 사회적 진보의 중심 추동력이 되었던 것은 자연이 만든 한계를 넘어가려는 인간의 지칠 줄 모르는 욕구였다._헤르만 파르칭거, <인류는 어떻게 역사가 되었나>, p1005

<인류는 어떻게 역사가 되었나>는 선사(先史)시대의 인류가 어떻게 살아왔는가를 전세계를 대상으로 서술한 책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독자들은 익숙하게 알던 4대 문명(文明)이전에 존재했던 수 많은 문화(文化)를 접한다. 일반인들에게 다소 생소하게 다가올 수많은 문화와 이들의 명멸(明滅) 을 밑거름으로 비로소 오늘날 우리의 문명이 자리잡을 수 있었다는 사실과 함께 두 가지 편견을 깨뜨리게 된다.

하나는 일반적으로 널리 받아들이지는 인류의 역사를 ‘도전과 응전의 역사‘라고 말한 토인비의 역사관에 대한 생각이다. 인류 역사의 오랜 기간을 차지하는 선사 시대 인류의 문화와 생활권은 자연환경의 절대적인 영향 아래 있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인류 역사의 대부분은 자연의 지배하에 있었다. 결국, 자연을 대상화할 수 있었던 시기가 극히 최근이었음을 생각한다면, 이른바 역사(歷史)라고 하는 것은 자연에 적응하다 보니 얻어진 결과로 바라봐야 하지 않을까.

다른 하나는 아프리카를 비롯한 이른바 문명의 오지(奧地)라는 지역에도 찬란한 문화가 과거에 꽃피웠다는 사실이다.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에서도 (비록 더디지만)시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문화가 나타났다가 사라졌다는 사실은 오늘날 ‘역사의 발달‘과 오랜‘ 문명국‘이라고 부르는 것이 결국은 기후환경의 변화에 따른 결과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우리에게 일깨운다.

비록 <인류는 어떻게 역사가 되었나> 안에는 재미있는 역사 이야기 대신 고고학 유물과 기후, 지리적 변화가 문화에 미치는 영향이 반복되어 나오지만, 세계지도를 머리에 상상하며 마치 오월에 서로 다른 꽃들이 시기를 달리하며 피고 지듯, 각지의 문명이 세워졌다 사라지는 것을 그릴 수 있다면, 나름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책이라 여겨진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5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삭매냐 2021-01-08 09:31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글항아리에서 좋은 책들이 나오네요.

전 홋타 요시에의 <시간>을 읽어 보
려고 합니다.

겨울호랑이 2021-01-08 09:40   좋아요 0 | URL
예전에 레삭매냐님께서 읽고 리뷰를 남겨주신 <일본 제국 패망사>도 글항아리에서 출판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는 대체로 글항아리에서 나오는 책들이 역사/인문 분야가 많다고 생각했는데, 훗타 요시에의 <시간>은 또 다른 분야의 책이네요. 동시에, 역사에 기반한 좋은 작품인 듯 합니다. 레삭매냐님 좋은 독서 되세요!^^:)

scott 2021-01-09 13:58   좋아요 1 | URL
홋타요시에 ‘시간‘ 출간된거 전혀 몰랐던 1人
좋은 정보 얻어감 ^.^

페크pek0501 2021-01-08 17:4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역사에는 우연도 많이 작용하더군요. 저는 그런 것에 흥미를 느꼈어요.
그리고 의도한 바와 정반대로 결과가 나타날 때 역시 흥미로워요.

겨울호랑이 2021-01-08 22:00   좋아요 1 | URL
한 치 앞을 모르는 인간들의 삶이 합쳐지고, 갈라지면서 만들어지는 것이 역사이기에 불확정성이 강하게 느껴집니다. 아마도 페크님께서 말씀하시는 흥미가 불확정성이라 여겨집니다.역사 안에서 살아가는 존재에게는 답답하지만, 여기에서 한 발짝 떨어져 보는 것이 바로 흥미겠지요... 역사의 양면성이라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