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추석 연휴 동안 두 편의 영화를 봤습니다. <남한산성>과 <아이 캔 스피크>. 흥행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는 이들 영화를 보고 난 후 두 영화를 관통하는 내용을 이번 페이퍼에서 정리해봅니다. 다만, 제가 영화에 대해서는 잘 모르기 때문에 촬영기법, 영화의 내적 의미 등에 대해서 언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되기에, 영화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관된 주제를 다룬 책의 내용을 바탕으로 페이퍼를 적어봤습니다.


1. <남한산성 南漢山城> : 삶과 죽음의 길


[사진] 영화 남한산성(출처 : CJ엔터테인먼트)

 

 영화 <남한산성>은 김 훈 작가의 소설 <남한산성>을 원작으로 하고 있습니다. 최근 CG의 발달로 영화 상에서 대규모 전투신이 어렵지 않게 구현되고 있는 많은 영화를 우리는 접하고 있습니다. 그러한 속에서 치열한 논쟁(論爭)이 주로 이루어지는 영화 <남한산성>은 자칫 지루하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이는 원작에 충실하려는 노력으로도 여겨지기도 합니다. 영화와 마찬가지로 소설 <남한산성>에서도 주전파(主戰派)와 주화파(主和派)의 대립이 작품 전반에 흐르고 있습니다.


 '청(淸)의 무력은 대륙을 비워 놓고 반도 깊숙이 들어와 있었다. 요동을 내주기는 했으나 북경 언저리로 밀려난 청의 빈자리를 압박하면, 청은 남한산성을 포기하고 군사를 거두어 돌아갈 수도 있을 것이었다. 청이 돌아가면 조정은 청의 퇴로를 따라서 싸우지 않고 도성으로 복귀할 것이고, 그런 식으로 환도가 이루어진다면 성 안에서 투항이나 화친을 발설하던 자들은 사직의 이름으로 휘두르는 임금의 칼에 죽어야할 것이었다. 그리고 성 안이 스스로 기진하여 문을 열고 나가는 날, 끝까지 싸우기를 발설했던 자들은 용골대의 칼 아래서 살아남지 못할 것이었다.(p95)'


   우리는 소설 <남한산성>을 통해서 예조판서 김상헌과 이조판서 최명길의 논쟁은 국가적 차원만의 논의가 아니라, 각각 자신의 생명과의 문제와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그야말로 목숨을 걸고 치열한 다툼을 벌이게 됩니다. 이들의 전쟁에서 '총'과 '칼'의 자리를 '말'과 '글'이 대신하고 있음은 주인공 김상헌 또한 잘 알고 있습니다.


  '사물은 몸에 깃들고 마음은 일에 깃든다. 마음은 몸의 터전이고 몸은 마음의 집이니, 일과 몸과 마음은 더불어 사귀며 다투지 않는다... 글은 멀고, 몸은 가깝구나... 몸이 성 안에 갇혀 있으니 글로써 성문을 열고 나가야 할진대, 창검이 어찌 글과 다르며, 몸이 어찌 창검과 다르겠느냐.(p122)'


 그리고, 남한산성 47일의 시간이 경과하면서, 김상헌과 최명길의 논쟁의 끝은 삶과 죽음의 길의 선택으로 치닫게 됩니다. 각자 자신의 길이 '생명(生命)의 길'임을 주장하면서, 이들의 대립은 극으로 치닫습니다.  그렇지만, 소설<남한산성>의 결말은 이들의 대립과는 무관하게 우리가 아는 대로 삼전도의 치욕으로 이어지고, 조선은 결국 청에게 굴복하게 됩니다.


  '김상헌의 목소리에 울음기가 섞여 들었다. - 전하, 죽음이 가볍지 어찌 삶이 가볍겠습니까. 명길이 말하는 생이란 곧 죽음입니다. 명길은 삶과 죽음을 구분하지 못하고, 삶을 죽음과 뒤섞어 삶을 욕되게 하는 자이옵니다. 신은 가벼운 죽음으로 무거운 삶을 지탱하려 하옵니다. 최명길의 목소리에도 울음기가 섞여 들었다.  - 전하, 죽음은 가볍지 않사옵니다. 만백성과 더불어 죽음을 각오하지 마소서. 죽음으로써 삶을 지탱하지는 못할 것이옵니다.(p143)'


  '길은 사람의 마음속에 있는 것이며, 마음의 길을 마음 밖으로 밀어내어 세상의 길과 맞닿게 해서 마음과 세상이 한 줄로 이어지는 자기에서 삶의 길은 열릴 것이므로, 군사를 앞세워 치고 나가는 출성과 마음을 앞세워 나가는 출성이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먼 산줄기를 바라보면서 김상헌은 생각했다.(p199)'


[사진] 삼전도비(三田渡碑) ( 출처 : 두피디아)


 어느 누구의 길이 바른 길이었는지는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그렇지만, 분명한 것은 최대 피해자는 백성이라는 사실입니다. 병자호란 이후 약 50여만명의 백성이 포로로 끌려가게 되고, 포로들의 귀환 문제는 이후 조선에서 중요한 사회 문제로 부각됩니다. 국가적으로는 소현세자의 비극으로부터, 가정으로는 귀향한 부인과의 이혼 문제에 이르기까지. 병자호란의 비극 속에서 우리는 전쟁을 결정하는 것은 수뇌부/ 권력층이지만, 그 비극을 직접 당하는 것은 일반 백성, 국민이라는 사실을 새삼 깨닫게 됩니다. 그리고, <아이 캔 스피크>는 전쟁의 피해 속에서 오늘을 살아가는 한 명의 모습을 주제로 합니다. 위안부 할머니의 문제를 다룬 영화 <아이 캔 스피크>를 보면서 우리는 영화가 "I can speak English"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I can speak Truth... I have experienced "Truth''임을 확인하게 됩니다.  그리고, 우리는  소설 <한 명>을 통해서 그 truth에 대해 보다 깊이 알 수 있습니다.


[사진] 영화 <아이 캔 스피크> (출처 : 위키트리)


2. <한 명> : I can speak Truth... I have experienced... "Truth"

 

'"희들이 뒷바라지를 안 하면 군인들이 전쟁을 어떻게 하겠느냐?" 하하가 정색을 했다. "군인들 뒷바라지하는 데인 줄 알았으면 내가 절대로 안 따라왔을 것이오."(p37)'


  '신(神)이 있는지 없는지 모르겠으면서, 그녀는 신을 느낄 때가 있다. 간유리에 새벽빛이 번질 때, 풀숲에서 참새들이  떼 지어 날아오를 때, 다디단 복숭아를 베어 물 때... 신을 느낄 때를 헤아려보던 그녀는 자신이 신을 느낄 때가 많다는 걸 깨닫고 놀란다. 생전 처음 도라지꽃을 보았을 때도 그녀는 신을 느꼈다... 신이 있다고 말하는 이들보다 자신이 어쩌면 더 신을 두려워하는 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마저 든다.(p56)


  '그녀는 울고 싶은데 울음이 안 나온다. 아귀처럼 입을 한껏 벌리고 목을 늘어뜨려도 눈물 한 방울 안 난다. 자매들이 죽었을 때도, 오빠가 죽었을 때도 그녀가 눈물 한 방울 흘리지 않았으니까, 친인척들은 흉을 보았다. 독해서 시집도 안 가고 평생 혼자 살더니만 울지도 않는다고. 그녀는 너무 지독하게 살아서 눈꺼풀을 쥐어뜯어도 눈물이 안 나는가 보다 했다. 평생에 걸쳐서 두고두고 울 걸 소싯적에 다 울어버려서 그런가 보다고.(p36)


  소설 <한 숨> 속에서을 통해서 극한 삶의 끝에 놓여진 개인의 모습이 그려집니다. 적나라하게 말하지는 않지만, 무덤덤하게 진술된 내용 속에서 그 참담함이 오히려 더 가슴깊이 다가옴을 느낍다.  


  '2만 명이었다고 들었다. 20만 명이 갔다가 해방 후 돌아온 숫자가 고작 2만 명에 불과하다고. 그녀는 자신이 20만 명 중 한 명이었다는 사실을 알았을 때보다 2만 명 중 한 명이라는 사실을 알고는 더 놀랐다. 20만 명 중 2만 명이면 10분의 1이었다. 말하자면 열 명 중 한 명...(p125)'


  '아버지, 어머니 저는 만주에 와 있어요. 이곳에서는 아침부터 군인들이 줄을 서서 들어와요. 저는 곧 죽을 거예요.(p148)'


  '백지에 쓴 문장을 소리 내 읽던 그녀는, 모든 걸 다 말하고 싶은 충동에 휩싸인다. "말을 하고, 그리고 죽고 싶다."... "엄마가, 엄마가 가장 갖고 싶어.(p153)'


 10명 중 1명만 생존해 온 현실 속에서 이들이 원한 것은 삶이었습니다. 그렇지만, 이들이 말하는 삶의 의미는 <남한산성>에서 말하는 언어로서의 '삶'과는 또 다르게 다가옵니다. 뜨거운 검은 피가 쏟아질듯한 느낌의 '삶'을 <한 명>에서 받다보면, 과연 어떤 명분이 이분들의 고통을 막는 것보다 중요한 것인가 하는 질문을 던지게 됩니다. 이분들의 경험을 우리의 문제로 만드는 것은 이러한 일련의 사태에 대한 '공감(共感)'이라 생각합니다. 공감을 느끼게하는 계기는 개인적으로 차이가 있겠지만, 지난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사건은 우리 모두가 마음 깊이 공감할 수 있는 큰 사건이었다는 것은 우리 모두가 동의할 것입니다.


3. <금요일에 돌아오렴> : 공감(共感)


 자신의 가족이 위안부로 끌려가는 참상을 겪은 부모의 심정과 세월호 사건을 통해 자식을 잃은 부모의 심정의 참담함은 동일할 것이라 미루어 생각해 봅니다.


'승희 보내고 삶의 완전히 바뀌었어요. 인생에 즐거운 것도 없고, 삶에 의욕도 없고, 사람들도 싫고. 사람들은 위로라고 하는데 지금은 어떤 말을 해도 안 들려요. 억울하고 분한 마음밖에 없는데 뭐가 들리겠어요.(p147)'


그리고, 세월호 유가족들과 마찬가지로 우리는 이 일이 '우리에게 있을 수 있었던 일'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제가 한창 슬픔에 젖어 있던 무렵에 삼풍백화점 붕괴사고로 딸과 아들을 잃은 부모를 만났어요. 그분이 고맙게도 위로를 해주고 가시더라구요. "아, 그 당시에 나는 뭐했나"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때는 남의 얘기였고 나와 먼 얘기였는데 이렇게 내가 위로를 받는구나... 다른 사람의 아픔을 껴안는다는 거 그전에는 전혀 생각 못했어요. 내가 경험하지 않았다고 모른 체하고 살았던 게 문제라는 생각이 들었어요.(p623)'


 의도하지 않게 추석 연휴 기간 본 두 편의 영화를 통해서 1636년 병자호란에서 1940년대 태평양 전쟁, 그리고 2014년 4월 16일 세월호의 비극을 생각해봅니다. 가슴아픈 일을 우리가 잊지 않고 다시 생각하는 것은 반복되지 않기 위함일 것입니다. 연휴 기간에 본 두 편의 영화와 세 권의 책 속에서 전쟁 위기론이 부각되고 있는 오늘을 바라보며, 우리가 가야할 길을 생각해 봅니다. 그 어떤 거창한 이념이나 사상도 어린 아이의 웃음이나, 들판의 들꽃보다 크지 않을 것입니다.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글을 마치면서 떠오르는 노래를 마지막으로 이 번 페이퍼를 마칩니다.


[사진] 집에 있는 소녀 상 뒷자리에 놓여진 세월호 리본


  '하나의 시간은 균질한 시간이 아니다. 지금도 이어지고 있는 시간들에 하나의 수식어를 붙인다면, 슬픔이 아니라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이 더 맞다. 집 밖을 나갈 수도, 집 안에만 있을 수도 없는 시간, 아이의 물건을 태울 수도 그대로 둘 수도 없는 시간, 밥을 먹을 수도 안 먹을 수도 없는 시간.(p649)'





댓글(8) 먼댓글(0) 좋아요(4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17-10-15 17:0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사랑의 송가 좋아하는데, 오늘은 조금은 쓸쓸한 기분이 들어요.
겨울호랑이님 좋은 저녁시간 되세요.^^

겨울호랑이 2017-10-15 19:28   좋아요 1 | URL
^^: 일요일 저녁이라 그럴까요? 서니데이님 하루 마무리 잘 하시고 기운차게 월요일 맞이하자구요ㅜㅜ. 감사합니다^^:

나와같다면 2017-10-15 22:0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공감과 연대함에 대해 끊임없이 묻고 생각하던 시간을 기억합니다

겨울호랑이 2017-10-15 22:16   좋아요 2 | URL
^^: 그렇군요... 얼마후면 박근혜 퇴진을 위한 촛불집회가 시작된지 1년이 되어가네요. 역사 속에서 이 일은 어떻게 기록될지 궁금해집니다...

2017-10-18 10:1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10-18 10: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10-19 10: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10-19 10:47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