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잘 연주하기 위해 거리를 둘 것. 이것이 굴드의 미학이다... 피아노 자신과도 거리를 둘 것. 그는 녹음이 있기 전 며칠 동안 자신의 피아노를 건드리지도 않았다. 그리고는 "피아노는 손가락이 아니라 머리로 연주한다."고 말했다. 우리가 연주하는 것의 정신적 형상과 그것을 실행에 옮기는 순간의 손가락의 속박 사이에 일종의 투쟁이 벌어진다. 그런데 이 손가락의 속박에서 우리가 해방된다. 형상이 "그 개념의 순수성으로부터 한눈을 팔아 피아노에 부딪치는 일이 없었던" 것이다.'(p99)


피아노(Piano)


'작곡가는 책상에 않아 작곡하는 사람과 건반앞에서 작곡하는 사람이 있을 뿐이다.' - 림스키코르사코프 (Nikolai Rimsky-Korsakov, 1844 ~ 1908) -


'피아노는 명연주를 위한 악기일 뿐만 아니라 탐사 기구, 음악적 실체와의 접촉수단이다.' - 차이코프스키 (Pyotr Ilyich Tchaikovsky, 1840 ~ 1893) - 


'피아노는 누가 치든 어느 정도 "만들어진" 소리가 납니다. 피아니스트는 이 기계적인 연주를 뛰어넘어 음표들이 노래하게 해야 해요.... 피아노는 두 가지의 필요에 부응한다는 점에서 특별한 악기에요. 우선은 탐색의 악기라는 쓰임새가 있죠. 우리는 그 유용성 때문에 피아노를 씁니다. 그러면서도 피아노는 독주악기, 비르투오소의 악기죠. 그 아름다움 때문에 쓰는 악기도 하단 말이에요. 작곡가는 피아노 건반을 휘저으면서 다성음악의 구성요서들을 발견합니다. 건축가가 종이에 설계도를 그리듯 작곡가는 피아노로 교향악을 구상할 수 있어요.'(p112)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피아노는 모차르트에게 쓰임 받는 악기의 반열에 오르기까지 오랜 준비 기간을 거쳤다고 말할 수 있을 텐데요... 모차르트의 초기 작품들, 그러니까 그의 어린 시절 작품들은 모두 하프시코드를 염두에 두고 쓰였죠. 하지만 만 15세부터는 피아노와 친숙해져서 일상적으로 사용했다고 합니다.(p114) ... 모차르트는 피아노 건반을 두드리면서 얼마나 깊은 행복을 느꼈을까요! 타그린씨, <환상곡 C단조> 도입부를 기억합니까? (타그린) 제가 여덟 살 때에는 그 곡이 피아노의 위대함과 고결함 그 자체였죠.'(p115)


리스트(Franz Liszt, 1811 ~ 1886)와 쇼팽(Frédéric François Chopin, 1810 ~ 1849)


'피아노 제작자들이 이 악기를 최신식으로 개량한 바로 그 시점에 리스트와 쇼팽이 출현했다는 걸 기억해야 합니다. 리스트와 쇼팽이 각자 페달을 새롭게 발견했다면... 쇼팽의 음표 하나하나가 피아노를 노래하게 만드는 이유를 이해하는데 그 점이 도움이 되더라고요. 특히 <녹턴 C# 단조>는 선생님이 방금 말씀하신 페달의 실질적 활용 가능성에서 탄생한 변화를 아주 잘 보여주죠.'(p116)



초여름날이 느껴지는  6월 첫 주말이네요. 비가 없어 다소 건조한 날이지만, 청명한 일요일 오전입니다. 피아노 연주곡과 함께 이웃분들 모두 행복한 일요일 되세요^^: 



댓글(9) 먼댓글(0) 좋아요(3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7-06-04 12:46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굴드는 비범해요. 피아노 연주를 오랫동안 해도, 몇 달 동안 피아노와 떨어져 있으면 연주 감각이 잃어버려요. 제가 어렸을 때 3년 동안 피아노 학원을 다녔어요. 집에 전자 키보드가 있어서 학원 갔다가 집에 돌아보면 피아노 교본의 곡을 연습했어요. IMF가 왔을 때, 피아노 학원 다니는 것을 그만뒀어요. 학원을 그만뒀어도 생각날 때마다 전자 키보드를 쳤어요. 중학생 되고 나니까 피아노 연주의 재미를 잃어버렸어요. 그때부터 연주 감각도 잃기 시작했어요. 피아노를 다시 배우고 싶은데, 피아노에 대한 관심을 책에 몰빵했으니 다시 배우기는 힘들어 보입니다. ^^;;

겨울호랑이 2017-06-04 12:51   좋아요 3 | URL
cyrus님께서도 피아노를 배우셨군요. ^^: 저도 어린 시절 <체르니 40번>까지 쳤던 기억이 나네요.. 피아노는 많은 시간을 투자해서 연습해도 선생님께 많이 혼나기만 해서 별로 좋아하지 않았지요.. 당시 피아노와 태권도를 함께 배웠었는데, 태권도가 더 멋있어 보였어요... 지금 생각해보면 피아노를 잘 치는 것이 태권도를 잘
하는 것보다 제 삶에 더 유용했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듭니다... 그런 면에서 cyrus님의 ‘손이 굳는다‘는 말을 누구보다 잘 실감하는 1인입니다.^^

2017-06-04 14: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6-04 14: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AgalmA 2017-06-06 01:3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맞아요. 작곡가들은 악기를 만지며 얼마나 황홀경에 빠져들었을지 제가 늘 부러워하는 것 중 하나죠. 다시 안 태어나고 싶지만 혹여라도 태어나면 음악가가 되고 싶을 정도로ㅎ;

겨울호랑이 2017-06-06 10:39   좋아요 1 | URL
AgalmA님은 음악을 하셔도 잘 하셨을듯. 사실 문학을 좋아하시는 분들은 왠지 악기 하나씩을 취미로 하실 것 같다는 편견이 제겐 있네요... ㅋ

커피소년 2017-06-08 19:2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생각해보니 저도 예전에 어떻게 악보를 보고 피아노를 쳤는지.. 신기할 뿐입니다.. 지금은 악보 봐도 뭐라고 써져있는지 모를겁니다.. 체르니..ㅎㅎ 오랜만에 들어봅니다..ㅎㅎ

겨울호랑이 2017-06-08 19:32   좋아요 1 | URL
^^: 저는 요즘 캐스터네츠로 바꿨습니다.ㅋ

커피소년 2017-06-08 19:35   좋아요 0 | URL
캐스터네츠..ㅎㅎ 그 또한 추억의 악기네요..ㅎㅎ 템버린, 트라이앵글, 캐스터네츠가 삼총사였나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