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의 나침반 The compass of Zen>은 숭산(崇山, 1927 ~ 2004)스님의 가르침을 현각(玄覺, 1964 ~ ) 스님께서 엮은 책이다. <선의 나침반>은 불교 입문자들에게 '불교(佛敎)가 무엇인가?'를 전반적으로 잘 소개한 책이라는 평(評)을 받고 있다. 좋은 평가에 맞게 간결하면서도 핵심(核心)을 설명하고 있어 불교에 대한 전체적인 윤곽을 잡는데 도움이 되며, 특히 불교 신자가 아닌 이들에게도 매우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종교가 다른 이들에게 <선의 나침반>은 어떤 방식으로 불교(佛敎)를 알려주고 있을까. 먼저 책의 제목인 <선의 나침반>의 의미를 서문(序文)에서 살펴보자. 


 '이 책의 제목을 왜 "선의 나침반"이라고 지었는가? 부처님은 우리 인생이 "고해(苦海)"라고 가르쳤다. 모든 사람들은 나고 늙고 병들어 죽는다. 그리고 또 다시 태어나고, 우리의 욕망과 집착 때문에 우리는 고해에 빠지기를 반복한다. 산스크리트로 이것을 "삼사라(samsara, 輪回)"라고 부른다. 돌고돌고 돈다는 뜻이다. 부처님은 우리가 이 고통의 바다를 건너기 위해 "지혜(prajna)의 배"가 있어야 한다고 했다. 그리고 이 배에는 다른 배들과 마찬가지로 나침반이 필요하다.'(1권 p17)


 '불교 가르침의 진수는 바로 이 "나는 누구인가?" 하는 질문을 깊이 함으로써 "오직 모를 뿐......" 이라는 깨달음을 얻는 순간이 우리의 본성, 참 나(眞我)를 얻는 것이라는 점이다. 진정한 불교는 단지 종교가 아니다. 불교는 길(道)이다. 그 길의 이름이 "오직 모를 뿐"이다.'(1권 p28)


 우리가 삶이라는 고통의 바다를 건너기 위해 '진리'를 가르키는 진리의 나침반을 필요하다. 그리고, 그 나침반을 발견하는 과정이 참선 수행일 것이다. <선의 나침반>에서는 진리 그 자체보다 참선 수행의 목적에 대해 반복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여기에 필요한 불교 지식을 함께 소개하고 있다. <선의 나침반>에 소개된 여러 내용 중에서 특히 인상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리뷰를 작성해 본다. 


 1. 불교(佛敎)와 물리학(Physics)


 <선의 나침반>에서는 불교의 우주관(宇宙觀)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세계를 시간과 공간으로 구분하고 우리의 상황이 세계 안에서 어떤 관계(인과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이 세계는 시간과 공간으로 나뉜다. (p112)... 우리가 스스로 시간과 공간을 만든다. 원인과 결과를 만든다. 그리고 이것이 우리 삶을 지배하도록 하는 것이다. 공간이 조건과 결과를 지배한다면 시간은 원인을 지배한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원인은 변하기 때문이다. 시간과 공간을 수평선과 수직선에 비유해 보면 시간은 공간을 가로지르는 수평선이며 공간은 수직선이다. 원인은 항상 어떤 조건을 가로질러서 어떤 결과를 만들어낸다. 우리가 어떤 상황에 놓여져 있다고 할 때 그 상황은 공간이다. 나의 상황은 나의 위치, 방, 관계, 집, 경험, 삶이다. 마음이 만들어내는 원인은 어떤 조건, 상황을 가로질러 "고통"이라는 결과를 만들어낸다.'(1권 p119)

 

 이와 같은 불교의 우주관을 우리는 현대 물리학 안에서 찾을 수 있다. 물리학은 시간과 공간의 장(場)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운동(運動), 그리고 그 안의 질서를 찾아내는 학문이다. 자연의 법칙을 찾는 물리학의 모습 속에서 우리는 불교를 발견하게 된다. 

 '먼저 이 행위들이 전개되는 연출무대는 공간space이 아니라 시간과 공간 space and time임을 명심해야 한다. 실제로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은 삼차원이지만, 그래프에는 직선(일차원)으로 표시하도록 하자. 즉, 수평축은 공간을, 수직축은 시간을 나타내는 그래프에 사건의 위치를 표시하기로 한다.'(p138) <일반인을 위한 파인만의 QED강의>







[그림] 시간과 공간 (출처 : http://hkpark.netholdings.co.kr/web/manual/default/manual_print.asp?menu_id=107589&id=2773)


2. 불교와 기독교(基督敎)


 종교가 다르기 때문에 내 인식틀은 '기독교'일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로 불교 신자들의 인식과는 차이가 생겨나지만, 그런 인식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선의 나침반> 안에서 많은 부분을 공감하게 된다. 그 이유는 <선의 나침반>에서 숭산 스님께서 불교의 용어로 불교를 설명한 것이 아니라, 다른 종교를 통해서도 불교의 진리를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본문에서 '열반적정'을 설명한 부분을 살펴보자. 


 '열반적정(涅槃寂靜), 생사를 윤회하는 고통을 벗어난 피안이다. 신을 찾고 싶으면, 또 부처를 찾고 싶으면, "참 나" 혹은 "절대"를 찾고 싶으면, 당신은 이 완벽한 정적과 소멸의 상태를 얻어야 한다. 이 정적이란 진정한 공이다. 우리 마음과 우주의 본질이다. 14세기에 지어진 한 기독교 시(詩)는 이것을 아주 맑게 표현하고 있다.


 하느님은 깨끗하고 텅 빈 자리이다.

 그 자리에서 모든 모양이 나타난다.

 그것이 본성품이 되어

 밝음과 어둠, 고요함과 폭풍이 된다.


 The God who is pure emptiness(空)

 Is created as form(色)

 Becoming substance, light and darkness,

 The stillness and the storm.'(p140)


 또한, 프랑스 신부님들과의 대화를 소개한 다른 대목에서는 비록 책에서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기독교의 시간관(時間觀)과 불교의 시간관이 서로 통함을 발견하게 된다. <선의 나침반>에서는 바로 '지금' 이 우리가 성불(成佛)하는 순간이라고 말한다.


  '선사님께서는 "원점(primary point)"이 무한대의 시간과 공간이라고 말씀하셨는데, 원점과 하느님의 창조와는 어떤 관계가 있는 것입니까?(프랑스 신부의 질문)... 하느님의 창조에 대해 얘기하는 것은 단지 생각입니다. 그러나 이 테이블을 치는 것은 생각 이전입니다. 그것은 예수님과 부처님 이전입니다. 우주 이전입니다.... 법화경은 바로 이 지점이 어떻게 우리의 본성이고 모든 현상의 본질인지 깨닫게 해준다. 실제 우리는 바로 지금, 바로 이 장소가 아닌 때에 부처가 되지 못한다... 지금 이 순간에 뭔가를 하겠다는 마음이 이미 부처의 마음이다.'(1권p192)


 이와 관련하여 아우구스티누스 는 <고백록> 11권에서 현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해당되는 내용을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 리뷰에서 옮겨본다.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 [관련 내용 : http://blog.aladin.co.kr/702641187/8621064] 

<고백록> 11권에서는 "태초에 하느님이 하늘과 땅을 창조하셨다.(창세기 1:1)"는 구절을 통해 아우구스티누스의 시간론이 주된 내용으로 다루어진다. 아우구스티누스가 생각하는 '시간'이라는 개념은 신(神)적인 개념이 아니라, 인간의 개념이다. 하느님(神)의 시간은 영원이며 불변이다.  '시간'과 '공간'마저 창조된 것이기 때문에, '창조 이전의 시간'은 존재하지 않게 된다. 시간은 인간에게 있어, '현재'로 존재한다. 인간에게만 시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우리는 영혼 안에서 시간을 재게 되고, '미래->현재-> 과거'라는 일련의 흐름으로 통해, 생명의 확장이 일어나게 되고, 끊임없는 시간의  확장을 통해 하느님께  영혼이 흘러간다는 것이 아우구스투스의 '시간론'이다.


 '차라리 시간은 셋인데 과거에 대한 현재, 현재에 대한 현재, 미래에 대한 현재라고 하는 편이 적절하다. 이 셋은 영혼 속에 존재하는 무엇이고 다른 곳에서는 이것들이 안 보이며, 과거에 대한 현재는 기억(記憶)이고 현재에 대한 현재는 주시(注視)이며, 미래에 대한 현재는 기대(期待)다'. <고백록> (11권 20,26) 


 이처럼 <선의 나침반>에서는 불교와 다른 종교가 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단어 하나만 바꿨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것을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은 진리(眞理)가 결코 언어(言語)의 형식에 좌우되지 않음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점을 느끼는 것은 나뿐만은 아닌듯하다.


 '나는 미국 가톨릭 겟세마네 수도원에서 수도사들에게 참선 지도를 할 때마다 한번도 "부처"라거나 "불성"이라는 말을 쓴 적이 없다. 대신 "신성(神聖)"으로 바꿔 불렀다. 수도사들은 아주 행복해했고 우리 모두는 완전히 서로를 공유할 수 있었다.'(2권 p185)


 3. 진리를 깨닫다


 이러한 다른 종교의 세계관(世界觀), 교리(敎理)가 통할 수 있다는 점은  '진리를 깨닫는 과정'을 통해서도 발견할 수 있다. 기독교에서 진리를 찾는 과정은 <요한 복음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8장을 통해 잘 드러난다. 


'너희가 내 말 안에 머무르면 참으로 나의 제자가 된다. 그러면 너희가 진리를 깨닫게 될 것이다. 그리고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할 것이다. If you remain in my word, you will truly be my disciples, and you will know the truth, and the truth will set you free.'(요한 8 : 31 ~ 32)


 한편, <선의 나침반>에서는 '선원(禪圓 The Zen Circle)'을 통해서 이러한 깨달음의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들어가 깨달음의 의미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있다. 


'0도는 "작은 나(small I)"이다. 90도는 "업을 가진 나(Karma I)"이다. 180도는 "나가 없는 나(Nothing I)"이고, 270도는 "자유로운 나(Freedom I)"이다. 그리고 360도는 "큰 나(Big I)"이다. "큰 나"란 시공을 초월한 것이다. 나와 너는 하나이다. 선 수행은 바로 이 360도에 도달하는 것이다.'(2권 p128)


 '"나"가 없음을 깨닫는 것이 만물의 실체를 깨닫는 것이다. 360도에 오면 만물을 있는 그대로 본다. 꽃은 붉고 벽은 하얗다. 나와 이 세계가 언제나 하나가 된다. 그러면 순간순간 오직 다른 사람을 위해 살게 된다. 큰 사랑과 큰 자비로 오로지 중생을 돕는 것. 그것이 바른 삶이다.'(2권 p130)


  이처럼 <선의 나침반>은 불교입문서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내용을 담고 있고, 쉽게 설명하고 있다. 또한, 다른 종교를 가진 이들도 공감할 수 있도록 여러 관점에서 불교를 설명을 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불교 신자 뿐 아니라 나와 같은 타종교인들도 편견없이 불교에 대한 개관(槪觀)을 파악할 수 있게끔 해주는 좋은 책이라 생각한다.


ps <파인만의 일반인을 위한 QED강의>의 출판사가 '숭산' 스님과 발음이 비슷한 '승산' 출판사라는 것은 '불교'와 '물리학'과의 관계와는 무관(無關)하다.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4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05-22 15:4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5-22 15:5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5-23 11:5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5-23 13:0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5-29 22: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5-30 08:21   URL
비밀 댓글입니다.

AgalmA 2017-05-24 06:4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지금 제 인식으로는 시간과 공간은 나뉘지 않습니다. 굳이 나눠야 한다면 차라리 그것은 [시간-공간] 한 경계 그리고 다른 [시간-공간] 이 이어지는 연속체이자 무한 다발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것은 다같이 움직이고요. 과거를 떠올리면 공간과 시간은 따로 오지 않습니다. 함께 옵니다. 여튼 이것도 제 사고실험일 뿐이겠지만요.
시간과 공간을 나누기 때문에 우리는 과거-현재-미래라는 선적인 세계에 갇히고 인과론적 사고밖에 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인간이 이런 사고에서 물리적으로 벗어나기 어렵다는 거 저도 잘 압니다만. 10차원 상상이 어려운 이유이기도 하죠.

선의 나침반은 저도 읽어보려 한 책인데, 제겐 좀 실망스러운 소식이네요;

겨울호랑이 2017-05-24 07:52   좋아요 2 | URL
^^: 제가 쓴 리뷰가 <선의 나침반>에 대한 전체 내용을 정리하지는 못했습니다. 제가 인상적으로 느꼈던 부분이
리뷰에서 언급한 구절이지만,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바는 ‘내가 ˝모른다˝는 것을 잡고 끊임없이 정진하라.‘가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제가 깨닫지 못해서 정확한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공(空)의 세계에서는 시간-공간의 구분도 무의미할 것 같습니다. (설명 자체가 필요없겠지요.) 그럼에도 1권에서 ‘시간-공간‘으로 나누어 설명한 것은 일반인들과 함께 이해하기 위한 방편이라 생각됩니다. 그런 의미에서 AgalmA님께서 말씀하신 부분이 책의 내용과 더 가깝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

후애(厚愛) 2017-05-26 12:11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겨울호랑이님 즐겁고 행복한 금요일 되세요.^^
맛있는 점심 드시구요~

겨울호랑이 2017-05-26 12:17   좋아요 1 | URL
^^: 후애님도 여유있는 금요일 되세요. 보노보노가 아기해달인 것을 보니 제 생각보다 스케일이 큰 캐릭터인것 같습니다 ㅋ

서니데이 2017-05-26 20:4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종교와 철학의 문법도 수학과 과학의 문법처럼 낯선 먼 나라의 언어같습니다.
겨울호랑이님, 편안한 금요일 저녁시간 보내세요.^^

겨울호랑이 2017-05-26 21:51   좋아요 2 | URL
^^: 저 역시 낯선 이방인중 한 명입니다.ㅋㅋ ㅜㅜ 어렵기만 하네요. 서니데이님 하루 마무리 잘 하시고 편한 밤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