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인 니르바나님(하느님)의 영원한 생명인 얼나(法我)를 참나로 깨달아 참나의 권능으로 제나(自我)의 수성(獸性)을 다스려 제나의 수성에서 자유로운 상태에 이른 사람을 아눗다라삼먁삼보디를 얻었다고 한다. 한마디로 말하면 얼인 참나를 깨달아 붓다(부처님)가 되고 하느님의 아들이 된 것이다. 금강경을 포함한 모든 불경은 아눗다라삼먁삼보디를 이루는 길을 밝혀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시작도 없고 마침도 없는 영원한 생명(Dharma)을 얻게 하자는 것이다. 이것은 예수가 사람들로 하여금 멸망의 생명(自我)에서 영원한 생명(靈我)으로 솟나게 하고자 한 것과 일치한다. _ 박영호, <다석사상으로 본 불교 : 금강경>, p63


 박영호의 <다석사상으로 본 불교>는 <금강경 金剛經>과 <반야심경 般若心經>을 다석 류영모(柳永模 1890 ~ 1981)의 관점에서 풀이한 책이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제나(自我)와 얼나(法我)가 있다. 저자는 짐승의 본성인 수성(獸性)에서 벗어나지 못한 제나를 벗어나 자신의 다르마(Dhrama)를 깨닫고 얼나(法我)로 다시 태어나야 한다는 일관된 주제로 <금강경>과 <반야심경> 전체를 설명한다.


 석가는 우리를 위하여 니르바나님께로 건너갈 떼배를 만들었다고 하고 예수는 우리를 위하여 하늘나라에 있을 곳을 마련한다고 했지만 무임승차가 되는 것은 아니다. 그 모습을 본받아 내 스스로 이루어야 한다. 너 스스로를 등불로 삼으라고 한 석가요 내가 떠나가는 것이 좋다고 한 예수가 아닌가. 그들처럼 우리도 니르바나님(하느님)을 그리고 사랑해야 한다. _ 박영호, <다석사상으로 본 불교 : 금강경>, p99


 저자는 <금강경>에서 벼락같은 깨달음으로 제나가 죽고 얼나가 태어나는 것은 <반야심경>에서 차안(此岸)에서 피안(彼岸)으로 건너가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는 기독교에서 예수의 죽음과 부활 그리고 영원한 생명과도 연결되는 내용이기도 하다. 저자는 본문의 여러 곳에서 불교사상을 설명하는데, 기독교, 유교, 도교의 사상을 가져오면서 보편적인 해석을 하기 위해 노력한다. 저자는 자칫 거부감이 들 수 있는 이러한 해석에 앞서 언어(言語)에 매이지 않고 언어에 담긴 뜻을 볼 것을 아래와 같이 강조한다. 


 여기에서 우리가 분명히 알아야 할 것은 석가붓다는 법(法)에 의하라는 것이다. 법이라면 먼저 의언진여(依言眞如)의 법(法)이 있고 이언진여(離言眞如)의 법이 있다. 의언진여는 사람의 말씀으로 바뀐 진리의 말씀이고 이언진여는 사람의 말씀 이전의 얼나이다. 석가붓다의 유언은 거짓이 생기므로 의언진여의 법(말씀)을 다 믿지 말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결국엔 이언진여의 법(얼나)에 의지하라는 말이다. 그러므로 깨달은 얼나(Dharma)로 모든 경전을 검토하고 해석하는 것은 참으로 중요하고 필요한 일이다. _ 박영호, <다석사상으로 본 불교 : 반야심경>, p34


 기독교 사상가이자 이를 바탕으로 유불선(儒佛仙)을 바라보려 했던 다석 사상의 관점에서 이러한 사상의 연결은 자연스러운 흐름일 것이다. 이러한 저자의 해석이 불자 입장에서는 생소할 수도 있겠지만, <다석사상으로 본 불교>는 불교 안의 진리를 타 종교 신자들도 자신들의 배경 아래에서 쉽게 이해시켜 준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책이라 생각된다... 


 영원절대인 하나(一)가 하느님인 니르바나님이다. 니르바나님은 아니 계시는 곳이 없다. 다만 내 마음속에 온 니르바나님을 다르마(Dhrama)라고 한다. 다르마(얼나)를 의식화(意識化)하면 반야바라밀다(Prajna paramita)로 도피안(度彼岸)의 지혜이다. 니르바나님으로부터 온 얼나만이 니르바나님에게 이른 얼나이다. 반야바라밀다가 제나(自我)의 수성(獸性)을 온전히 다스리면 붓다(Buddha)가 된다. _ 박영호, <다석사상으로 본 불교 : 반야심경>, p326


 색, 수. 상, 행, 식(色受想行識)의 제나(自我)를 버리지 않으면 생노병사(生老病死)의 괴로움에서 벗어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괴로움에서 벗어난다는 것은 제나(自我)에서 얼나(法我)로 솟나면 거짓나인 제나(自我)의 생노병사의 고통은 더이상 고통이 되지 않는다는 말이다. 제나(自我)가 생노병사에서 벗어나게 된다는 말이 아니다. 이것을 분명하게 알지 않으면 석가붓다의 말씀을 바로 알아듣지 못하게 된다. _ 박영호, <다석사상으로 본 불교 : 반야심경>, p101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시우행 2023-10-12 00:0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좋은글입니다. 감사합니다.

겨울호랑이 2023-10-12 07:54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yamoo 2023-10-12 09:2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다석 유영모는 많이 안알려진 우리나라 초기 기독교 사상가이죠. 함석헌은 알아도 다석 모르는 사람들 많습니다. 기독교도 중에서도 아주 많아요. 책이 출간됐음에도 읽는 개신교도는 별로 없죠. 내가 아는 기독교도 중 10년 이상을 교회에 다녔음에도 다석을 모르는 사람들 부지기수에요. 참 거시기 합니다. 저는 다석 유영모를 소개한 책을 본 후 다석에 관계된 출판물은 구할 수 있으면 거의 구했는데, 위 두 책만 구하지 못한 듯합니다. 다석은 지금의 시각으로 보면 일종의 종교철학자인 듯해요. 불교 도교 기독교 등 종교의 핵심 경전들을 연구한 게 그 증거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다석의 저작들이 널리 읽혔으면 하는 바람인데, 그렇지 않은 거 같아 아쉬운 감이 들었는데, 호랑이 님 서재에서 다석의 책도 보게 되네요!!^^

겨울호랑이 2023-10-12 16:32   좋아요 1 | URL
함석헌의 스승인 다석 유영모의 이름이 낯설지만, 기독교 사상가임에도 불구하고 보편종교의 틀을 제시하고 이를 삶으로 옮긴 실천적 철학자라는 점에서 yamoo님 말씀처럼 다석 사상이 보다 널리 알려졌으면 하는 바람을 가지게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함석헌의 사상이 공동체의 윤리를 강조한다면, 다석 사상은 공동체 이전의 개인의 깨달음을 말한다는 점에서 더불어 읽을 사상가들의 책이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