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대사 신론 - 개정판
윤내현 지음 / 만권당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조선은 오늘날 중국 하북성 동북부에 있는 난하의 상류와 중류 및 난하의 하류 동부 연안에 있는 갈석산을 서쪽 경계로 하여 한반도 북부의 청천강에 이르는 지역을 그 강역으로 하고 있었다. 그런데 고조선의 서부 변경, 즉 난하의 하류 동부 연안에 있었던 기자국의 정권을 탈취한 위만이 서한 제국의 원조를 받아 고조선의 서부 영역을 침략, 잠식하고 끝내는 오늘날 요하로부터 멀지 않은 지역까지를 차지해 위만조선이 성립되었다. 그 후 서한 무제가 위만조선을 멸망시키고 그 여세를 몰아 오늘날 요하까지 차지해 그 지역에 한사군을 설치하게 되었다. 한사군이 설치된 이후에도 고조선은 오늘날 요하 동쪽에 존재하고 있었지만 고조선을 구성하고 있었던 연맹부족을 통어할 능력을 이미 상실하고 왕실의 명맥만을 유지하고 있었다. _ 윤내현, <한국 고대사 신론>, p443


  윤내현(尹乃鉉, 1939~ )의 <한국 고대사 신론 韓國 古代史 新論>은 일반에 잘 알려지지 않은 신화 속의 국가 고조선(古朝鮮) 역사에 관한 새로운 관점을 제기한다. 우리에게 단군  왕검(檀君王儉)에 의해 설립되어, 한 무제(漢 武帝, BCE 156~87)가 보낸 군대에 의해 멸망당하고 그 일대에 한사군(漢四郡)이 설치된 후 이후 낙랑군이 고구려(高句麗)에 의해 복속된 것으로 알려진 고조선과 삼국시대 이전 시대의 역사. 이 역사에 대해 저자는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한다.


  저자는 <한국 고대사 신론>에 실린 여러 논문을 통해 상세한 의문들과 이에 대한 학설을 제기한다. 고조선사에는 문헌 상의 기록 뿐 아니라 고고학적인 유물을 통해서 우리에게 알려진 기본적인 흐름과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는 것. 저자의 이러한 물음의 근간에는 명사(名詞) 문제가 자리한다. 고유명사와 보통명사의 문제.  


 이상과 같이 패수가 여러 강의 명칭으로 사용되었던 것은, 그것이 원래 고유명사가 아니었고 일반적으로 강을 지칭하는 보통명사에서 연원했기 때문이다... 강에 대한 언어의 어원이 같았을 것임을 알 수 있는데, 고대에 고조선이 살던 지역 강들의 보통명사인 펴라, 피라, 벌라가 향찰(鄕札)식으로 기록됨으로써 후에 여러 강들이 패수라는 동일한 명칭으로 나타나게 되어 혼란을 가져왔다고 생각된다. 결론을 말하면, 고조선의 서쪽 경계였던 패수는 오늘날 난하 또는 그 지류였는데 후에 위만조선의 성장, 한사군의 설치 등에 의해 한의 세력과 문화가 팽창함에 따라 고조선 지역에 있었던 여러 강들이 패수(浿水)라는 명칭을 얻게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_ 윤내현, <한국 고대사 신론>, p99


 윤내현은 <한국 고대사 신론>을 통해 패수(浿水), 평양(平壤) 등의 위치 비정 시 지명에 대한 고유명사가 아닌 보통명사로 볼 것을 주문한다. 이를 거슬리는 해석은 마치 신라 향가 <처용가 處容歌>에서의 '서울'을 오늘날 서울, 한양 지역으로 비정하는 것과 마찬가지의 오류에 빠지게 된다. 서울의 의미가 수도(首都)이기에 보통명사의 관점에서 신라 시대의 서울과 고려시대의 서울, 조선시대의 서울이 달라지는 것은 너무도 당연할 것이다. 이를 고려하지 않은 해석은 고대사를 미스터리로 빠뜨리고, 더 나쁘게는 신화(信話)의 세계, 증명되지 않은 무의식과 미신의 시대로 밀어넣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저자의 연구는 고조선을 신화의 세계에서 역사의 세계로 바라본 의미있는 학문적 성과라 여겨진다.


 한국 문헌에는 고조선의 도읍이 오늘날 평양이었던 것으로 흔히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고대 한국어에서 평양은 고유명사가 아니라 보통명사로서 '대읍' 또는 '장성'을 뜻했던 것으로서 그것은 정치적, 종교적 중심지에 대한 일반적 호칭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평양은 여러 곳에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서 굳이 오늘날 평양으로만 한정시켜 생각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_ 윤내현, <한국 고대사 신론>, p194


 <한국 고대사 신론>에서 제기한 문제는 기본적으로 고대사에 대한 열린 시각을 요구한다. 수많은 사건들과 세월에 의해 뒤덮이고 소수의 유물과 기록에 대해 과거의 역사를 추정하는 고대사의 경우 현대 남겨진 유물만으로 역사를 끼워 맞추는 해석으로 한계가 있음을 저자는 본문의 내용을 통해 독자들에게 보여준다. 남겨진 유물은 분명 한 시대의 단면을 보여줄 수 있지만, 시대의 전반적인 흐름을 보여주지 못한다는 점에서 지나친 실증주의(實證主義)적인 접근 방식이 갖는 한계 또한 책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오늘날 평양 지역에서 중국식의 유적이 발굴되어 그것이 한사군의 낙랑군 유적으로 보고되자, 고조선이 오늘날 평양을 중심으로 한반도 북부에 위치했을 것으로 본 견해가 움직일 수 없는 사실처럼 되어버렸다. 그러나 평양지역에서 발견, 발굴된 유적을 면밀하게 검토해본 결과, 그것은 한사군의 낙랑군 유적이 아니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그것은 동한의 광무제가 고구려의 배후를 친 후 설치했던 군사 지역의 유적인 것이다. _ 윤내현, <한국 고대사 신론>, p106


 윤내현의 <한국 고대사 신론>에서는 역사 특히 고대사를 바라볼 때 현재가 아닌 당시의 관점에서 역사를 바라볼 것을 요청한다. 당대인의 시각에서 과거의 사실이 복원되었을 때 비로소 오늘날의 해석이 가능하며, 진정한 '과거와 현재와의 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생각하게 된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윤내현의 <고조선 연구>, <한국 열국사 연구>의 리뷰에서 살펴보도록 하고, 여기서는 큰 흐름만 잡도록 하자... 


 중국의 옛 문헌에 나타난 기록을 살펴보면 서한(전한) 초까지는 요수가 오늘날 난하에 대한 호칭이었다. 그런데 서한이 위만조선을 멸망시키고 그 지역에 한사군을 설치한 후에는 요수가 오늘날 요하에 대한 명칭으로 이동했다. 다시 말하면 요수는 고대에 중국의 동북부 국경을 이루는 강에 대한 호칭으로서 서한의 영토가 확장됨에 따라 요수라는 강 이름도 동북쪽으로 이동을 했던 것이다. _ 윤내현, <한국 고대사 신론>, p142

중국의 상 왕국에는 국명과 동일한 상이라는 명칭의 읍이 있었고 서주 왕국에도 국명과 동일한 주라는 명칭을 사용한 종주와 성주가 있었다. 이와 비슷하게 고조선에도 국명과 같은 조선이라는 명칭의 지역이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조선은 낙랑군에 속해 있던 25개 현 가운데 하나였고 낙랑군은 위만조선의 영역에 설치되었던 낙랑, 진번, 임둔의 3군 가운데 하나였으므로, 고조선의 서쪽 변경에 있었던 조선의 크기는 위만조선 전체 면적의 75분의 1 정도의 좁은 지역이었던 것이다. - P134

고조선 국가 구조의 기층을 형성햇던 소읍은 일정한 지역의 정치적 중심이었던 진번, 임둔 등과 같은 대읍에 종속되었을 것이며, 이러한 지방의 대읍은 중앙의 대읍인 평양, 즉 왕검성에 종속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고조선의 국가 구조는 소읍, 대읍, 평양(왕검성)의 순서로 읍이 누층적 관계를 형성한 읍제국가였다. 읍의 거주인은 혈연관계에 기초한 집단이었으므로 읍의 누층적 관계는 부족의 층서관계를 형성했을 것이다 - P232

위만조선은 고조선의 서부 영역을 차지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그 멸망은 한국 고대에 있어서 읍제국가의 붕괴와 열국시대의 개시를 가져왔으므로 한국사의 범주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기는 하다. 그러나 그것이 한국사의 주류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을지는 의문이며, 한국사의 주류를 고조선으로부터 열국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파악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413


댓글(5) 먼댓글(0) 좋아요(4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꼬마요정 2023-09-30 22:4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안 그래도 열하일기를 읽을 때나 사기를 읽을 때 한사군, 패수 등등의 위치를 정확히 알지 못해서 답답하더라구요. 분단 상태라 북쪽을 발굴하기 힘든 것도 짜증나고, 중국이 유적지 발굴하고는 폐쇄해서 비공개하는 것도 답답합니다. 일본은 자꾸 한국 역사를 축소하려고 하고 말이죠. 비전문가이고 잘 모르는 저도 답답한데 전공자 분들이나 학계에 계신 분들은 얼마나 답답할까요...

겨울호랑이 2023-09-30 23:29   좋아요 2 | URL
역사를 바라보는 기준이 민족과 국가가 된다면, 아무래도 이들 개념의 기원인 근대 민족주의와 역사의 관계가 밀접해질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사료가 되는 사건의 기록, 유물 등 자료와 이에 대한 해석이 역사학이라는 학문을 이루는 두 줄기라고 볼 때, 특히 동북아시아의 역사는 근현대사의 얽힌 국가들의 이해가 앞선 시대를 제대로 바라보지 못하게 만드는 것 같네요... 치밀한 연구와 학자의 양심이 언젠가는 왜곡된 역사의 진실을 밝혀주리라 기대해 봅니다.. ^^:)

Redman 2023-10-01 23:5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우선 윤내현의 주장에 대해 먗 가지 궁금증을 적어봅니다
1. 글에 적어준 윤내현의 주장은 얼마나 당대 기록과 자료의 지지를 받는지 궁금합니다. 삐딱한 시선에서 보면, ˝남겨진 유물만으로 역사를 끼워 맞추는 해석˝을 윤내현도 저지르지 않았나 싶고, 자신의 해석이 그다지 역사적 증거에 충실하지 않은 걸 본인도 아니 자신의 논리적 비약과 억지스러운 해석에 조금이나마 타당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그런 비판을 한 것 같다는 의심이 듭니다. 사실 그의 방법론과 논지 전개 방식 자체가 전문학자라고 보기에는 너무 허술하기도 하고요

2. 어떻게 고대인의 시각을 복원할 수 있을까요? 플라톤 철학을 전공한 이상인 교수님도 고대 그리스 철학을 고대 그리스인의 눈으로 봐야한다고 주장했으나, 현재는 고대 그리스의 눈으로 본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함을 인정하는 쪽으로 의견을 바꿨습니다. 윤내현은 기록이 고대 그리스보다도 현저히 적은 고조선은 당대인의 시각은 어떻게 알 수 있으며, 우리는 어떻게 고대인의 시각에서 볼 수 있으며, 고대인의 시각에서 과거를 복원한다 해도 그것이 정말 당대인의 시각과 합치한다고 확신할 수 있을까요? 당대인의 시각으로 본다는 것에 지나치게 매달리면, 역사 서술이라는 행위 자체에 내포된 현재성을 간과하게 되지 않나 싶습니다.

겨울호랑이 2023-10-02 07:58   좋아요 0 | URL
말씀주신 사항에 대해 제가 생각하는 선에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윤내현의 주장이 다른 학설과 차이나는 부분이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다만, 어느 정도의 타당성과 신뢰성이 있는가에 대해서는 전문가가 아닌 제가 말씀드리기는 어려운 부분이라 생각됩니다. 저자의 여러 논문 내용이 어느 정도 정리된 <한국고대사신론> <고조선 연구(상)> <고조선연구(하)> <한국 열국사 연구>에 수백 페이지에 걸쳐 저자의 주장과 근거가 있고, 학계에서 이와 관련한 치열한 논쟁이 있는 현실에서 비전문가인 일반독자의 타당성과 신뢰성에 대한 평가는 큰 의미가 없다 생각됩니다. 차차 다른 책들도 리뷰로 정리를 할 계획입니다만, 불과 몇 페이지의 리뷰에 저자의 주장과 근거를 다 정리할 수는 없는 한계가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저자의 연구에 대한 평가는 부족한 리뷰보다 원문에 근거해서 내려주시는 편이 더 좋을 듯 합니다.

2. 역사를 거칠게 분류하면 과거의 사실과 이에 대한 해석으로 나눌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중 ‘과거와 현재의 대화‘가 일어나는 부분은 해석 부분이겠지요. 과거에 일어난 사건들을 어떤 실을 통해 꿸 것인가가 사실과 해석의 문제라는 것에는 큰 이견이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여기서 한국 고대사의 문제는 해석의 문제 이전의 사실의 문제라 여겨집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이상인 교수님의 철학 문제는 해석의 문제라 여겨지고요. 제가 리뷰에서 언급한 부분에서 고대인의 시각에서 보자는 것은 일례로, ‘평양‘, ‘패수‘ 그리고 ‘낙랑‘의 명사들을 고유명사가 아닌 보통명사로 생각한 고대인들의 사고를 이해하지 못한다면, 고대의 지명 변천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는 저자의 주장을 옮긴 것입니다. 그리고, 저자는 이에 대한 근거로 해당 단어가 여러 지명에서 사용되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반론은 이러한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데 있겠지요. 이처럼 한국 고대사의 문제는 해석 이전의 사실에 대한 논의라는데 철학과 차이가 있다 여겨집니다. 플라톤이 적도(또는 중용)의 개념을 설명할 때 고대 그리스에서 포도주에 적정량을 넣어 희석시키는 것으로 비유해서 설명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그 이상의 의미가 숨겨져 있지 않다고 단정할 수 없는 것은 우리가 고대인의 생활양식을 속속들이 알지 못하기 때문이라 여겨집니다. 이러한 한계 때문에 깨어진 조각이 없는 부분은 부득이하게 현대의 사고로 연결할 수 밖에 없고 결과적으로 완벽한 사상의 복원은 불가능하다는 의미라고 생각됩니다. 이러한 과거의 한계를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저는 가능하다면 사건이 발생한 당대의 상황에 대한 최대한의 고려가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이상이 제가 리뷰에서 언급한 사건을 바라보는 고대인의 시각에 대한 의견이었습니다... 제가 드린 답변이 Redman님께 충분한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섣부른 제 의견이 저자의 진의를 왜곡시키고 Redman님께 혼란을 드리지 않을까 조심스럽습니다. 해당 부분에 대해 의문을 갖고 저자의 책을 직접 읽으신다면 많은 의문이 해소되리라 생각하며 답을 마칩니다. 함께 생각해 볼 문제를 제기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Redman 2023-10-02 10:30   좋아요 1 | URL
상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