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에 숟가락 하나
현기영 지음 / 창비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라산과 해변 사이 중산간지대의 백삼십여개의 마을들이 불에 타 사라졌다. 불바다와 함께 대살육극이 시작되었으니, 주민들 절반은 산으로 달아나 폭도라는 누명 아래 사살의 대상이 되고 절반은 명령에 따라 해변으로 소개했으나, 그중의 많은 부로(父老), 아녀자들이 폭도 가족이라고 처형당했다. 사람들뿐만 아니라 마소도 닥치는 대로 학살되었다. 그러나 나는 그런 물정을 잘 모르는 읍내 아이였다(p31)... (어른들은) 한라산을 적대시하도록 강요받고 있었다. 죽창을 들고 토벌대 뒤를 따라다녀야 했던 그들은 동족을 적으로 삼아야 하는 자신의 기막힌 운명에 치를 떨었다. _ 현기영, <지상에 숟가락 하나> , p37/229

일부 해안가를 제외한 섬 내륙 전체를 적성지역으로 규정하고 초토화작전을 전개한 이승만 정부. 1948년부터 1954년까지 고립된 섬 제주는 지옥도가 되었고, 지옥을 만든 것은 외세가 아닌 자국정부에 의해서였다. 앞선 시기 1909년 남한대토벌작전과 1920년대 간도참변, 같은 시기 여순사건과 이후 5.18민주화항쟁에 이르는 국가에 의한 민간의 비극을 기억하고 추모하는 것은 보다 나은 미래를 위한 우리의 의무라 생각한다.

이름난 명승지 모두가 과거에 학살터였던 아픔의 섬 제주. 제주4.3평화공원의 리플렛을 꺼내어 평화의 의미에 대해 다시 생각해본다...

삶이란 궁극적으로 그러한 아침에 의해 격려받고, 그러한 아침을 기다리며 살아가는 것이리라. 아침 빛으로부터 병든 자는 삶의 의욕을 얻고, 절망한 자는 용기를 얻고, 그리고 용기있는 자가 자신의 정치적 신념에 따라 더 밝고 더 아름다운 아침을 위해 기꺼이 목숨 바칠 결심을 하는 순간도 그러한 아침의 햇빛 속에서일 것이다. _ 현기영, <지상에 숟가락 하나> , p107/229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거리의화가 2023-04-06 07:43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저도 몇년전 4.3평화공원 다녀왔었습니다. 평화가 너무나 요원하다는것을 더욱 절감하는 요즘입니다. 리플렛 잘 보관하고 계셨군요^^ 저도 갖고 오기는 잘하는데 관리는 잘 못하네요^^

겨울호랑이 2023-04-06 07:57   좋아요 5 | URL
네. 제주를 방문하는 사람들이 주로 해안 관광지를 방문하지만, 제주의 아픔이 묻어있는 내륙지역에는 잘 가지 않는 듯 합니다. 그래서, 4.3평화공원도, 아픈 역사도 잘 알려지지 않은 듯 합니다. 그나마 4.3사건에 대한 추모행사마저도 폄훼하는 이들을 보면 아직도 갈 길이 멀다는 생각을 하게 되네요... 거리의화가님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나와같다면 2023-04-06 14:5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도대체 어떤 역사의식을 가지고 있으면 4월1일 프로야구 개막 시구하고 서문시장 갈 시간은 있어도
4.3 희생자 추념식에 불참할 수 있는가!

이제는 화도 안나고 슬프고 자괴감이 느껴집니다

겨울호랑이 2023-04-06 17:33   좋아요 2 | URL
열을 내서 화를 내는 것도 그 사람이 알아듣고 나아질 희망이 있을 때 하는 것이지 알아들을 능력도, 제대로 하지도 못하는 금치산자(지금은 폐지되었지만)에게 휘둘리는 것릉 여러모로 손해인 듯합니다. 차가운 분노로 작태를 하나하나 눈을 떼지않고 지켜본 후 끌어내려야겠다는 생각만 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