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대한민국 인구 트렌드 2022-2027 - 인구 절벽 위기를 기회로 맞바꿀 새로운 미래 지도
전영수 지음 / 블랙피쉬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은 기존 이론에서 벗어난 새로운 경로에 진입한 듯하다. 이론대로라면 고용, 소득 등 재무 개선만으로 출산율이 높아져야 하지만, 한국은 출산 포기가 사뭇 사회 트렌드로 번지는 양상이다. 과거엔 거의 없던 평생 비혼이 남(14%), 여(7%) 모두 급증했다. 20~30%로 상승하는 건 시간문제다... MZ세대는 ‘무자식‘을 표준으로 받아들일 기세다. 그들의 시대 의제는 다양성이다. 다양한 생활 모델을 골라 본인의 효용을 높이는 카드를 선호하고 선택한다. 그 때문에 ‘졸업 -> 취업 -> 결혼 -> 출산 -> 양육‘의 전통 모델은 기능 부전에 빠졌다. 저출산이 팬덤적 문화 현상으로 번지면 기존의 인구 정책은 무의미해진다. 근본적인 개혁이 필수일 수밖에 없다. _ 전영수, <대한민국 인구 트렌드 2022-2027>, 62/378

전영수의 <대한민국 인구 트렌드 2022-2027>은 향후 대한민국 인구와 이러한 트렌드 변화에 관한 책이다. 다만, 해당 기간 동안 인구 변화에 변곡점이 특별히 생긴다는 의미보다는 향후 5년간 유망산업, 구매력있는 소비자, 소비의향의 변화에 초점을 맞춘 마케팅에서 타겟팅(targeting) 책으로 구분하는 편이 더 정확할 듯하다. 그리고, 변화는 현재 우리보다 조금 앞서 고령화 길을 걷는 일본의 사례를 주된 예시로 분석된다.

초고령사회, 구매력있는 노령층, 결혼과 출산을 꺼리는 젊은 층으로 특징되는 인구 구조 속에 유망 부동산, 사업분야 등이 소개되지만, ‘저출산 고령화‘ 시대의 이슈에 새로운 통찰을 발견하기는 어려웠다. 다만, 개인적으로 점심시간에 EXCEL을 가지고 해 본 계산이 있어 올려본다. 2021년 우리나라의 저출산 관련 예산은 42.9003조다. 이를 정부에서 지출하지 않고 당사자에게 배분하면 얼마가 돌아갈까? 단순하게 계산해보자.

저출산 문제를 해석하는 방식에 따라 금액은 달리 배분될 수 있을 것이다. 크게 이렇게 나눌 수 있지 않을까. 1) 가임기 여성의 경제적 문제 2) 신혼가구의 소득 문제 3) 자녀 양육비 문제. 2020년 현재 우리나라 가임기 여성(15~49세)의 인구는 11,422,000명이며, 2020년 혼인 건수는 214,000건, 신생아수는 272,337명이다. 가임기 여성에게 저출산 예산 42.9조를 나누어 준다면 1년동안 이들에게 3,755,936원씩 지급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15세 여성부터 지급되기에 현실성이 떨어지기에 대략 금액만 짐작하는 것으로 넘기자. 혼인건수와 신생아수는 대략 비슷한데, 대략 1년에 30만명씩 신생아가 태어나고 이들이 속한 가정에 18살까지 양육비를 지급한다면, 약 800만원 정도 금액을 지급할 수 있다. 한 가정에 아이가 1명만 있어도 800만원을 지급할 수 있는 돈이 이미 편성되어 있는데 가정에서는 돈이 없어서 아이를 키우지 못하는 현실. 차라리 정말 아무것도 하지 않고, 저출산 예산을 기금에다 넣고 출생신고 때마다 계좌번호 받아서 바로 송금해주면 다른 저출산 대책이 필요할까.

저출산 문제와 저출산 예산을 보며, 이 문제야말로 정부에서 아무것도 하지 않고 시장에 맡긴다면 저절로 해결될 문제가 아닐까를 생각하게 된다...

출산 정책은 더 눈물겹다. 액수와 대상 등 자녀 숫자별 지원금을 내세워 출혈경쟁을 반복한다. 자녀를 낳으면 빚 1억을 갚아주거나 임대료를 면제해준다는 곳도 생겨났다. 튈수록 주목받기에 파격적인 아이디어는 계속 나오지만 중앙 정책과 겹치는 내용이 부지기수다. 해서 경쟁을 넘어 과열이란 혹평이 많다. 돈으로 보자면 가성비가 낮거나 없다. 투입(15년간 200조 원)은 많은데 산출(출산율 세계 꼴찌)은 별로다. 영리 조직과 개별 가계의 살림살이면 진즉 망했을 수준이다. _ 전영수, <대한민국 인구 트렌드 2022-2027>, 300/378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다이제스터 2022-06-21 13:5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지급기간을 18년으로 하셨는데, 현실적으로 최소 26년으로 해야하지 않을까요? ^^
그리고 자녀 결혼비용, 집값 등 엄청난 플러스 알파를 고려하면 무자식 상팔자라는 시대조류도 이해는 됩니다. ㅠㅠ

겨울호랑이 2022-06-21 14:18   좋아요 2 | URL
^^:) 북다이제스터님 말씀처럼 결혼전까지 생각을 하면 좋겠지만, 그 정도 기간까지 감안한다면 출산예산이 아닌 기본소득의 구조에서 파악해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부모는 자녀가 자란 후 비용까지 고려하는 것이 당연하겠지만, 모든 부분을 정부에서 보조하기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여겨집니다. 자녀 출생으로 인한 한계 편익과 한계 비용을 생각해볼 때, 많은 부분을 가정에서 가져가는 것도 사실이니 수익자 부담 원칙으로 생각해본다면, 이 정도는 괜찮지 않을까 싶습니다만...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레삭매냐 2022-06-21 16:06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무자식 표준과 출산 기피
가 시대의 트렌드가 되었군요.

출산 장려 정책은 부동산부터
시작해서 복지 그리고 교육까
지 모두 아우르는 그야말로 지
속가능한 종합 패키지 정책이
되어야 하는데, 땜질식 처방으
로 그저 예산폭탄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발상이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기존의 방식으로는 시대의 거
대한 흐름을 거스를 수 없지
않나 싶습니다.

겨울호랑이 2022-06-21 16:21   좋아요 2 | URL
천문학적인 규모의 예산을 투입하면서도 점점 악화되는 저출산 문제는 분명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한 부분이라 여겨집니다. 문제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먼저 파악하고 접근해야 할 문제를 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점에서는 환경문제와 공통점이 있어 보입니다. 여러 면에서 참 위기감을 느끼는 요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