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
월터 리프먼 지음, 이동근 옮김 / 커뮤니케이션북스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프먼은 현대사회로 다가갈수록 언론은 정부와 기업의 이익에 점점 더 놀아날 것이라고 생각했다. 독자의 구독료를 대체하거나 보충해주는 광고로 인해 언론의 내용은 점점 더 소비자 시장 논리, 즉 광고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다. 광고주는 언론의 보도 내용이 소비자 시장을 교란시킨다고 판단되면 가차없이 비토권을 행사한다는 것이다. _ 월터 리프먼, <여론> , p8/319

1922년에 출간된 월터 리프먼의 <여론>은 개인의 이해가 고정관념에 의해 좌우되고, 개인들의 정보 취득 경로가 언론으로 한정된 상황하에서 대중의 여론이 기술적 방법론에 의해 좌우된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를 통해 플라톤의 <국가>에서와 같이 철인(哲人)에 의한 지배 체제가 최상의 정체(政體)라는 결론에 이른다.(실제로 <여론>에는 <국가>의 많은 내용이 인용된다). 월터 리프먼은 현대 사회의 어떤 문제점에 주목하여 새로운 <국가>를 쓰게 되었을까. 이에 대해서는 리뷰에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하자...

리프먼은 민주주의 국가가 훌륭한 정부를 도출해내기 위한 방법으로 상상력이 풍부한 사회의 지도자들과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계발된 여론‘에 전적으로 의존할 것을 제안한다. 민주주의는 국민 주권을 주장하지만 올바른 지도자가 없는 국민은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으며 보통 사람들, 즉 대중의 행위로는 어떤 것도 이룩하거나 다스릴 수 없다는 것이다 . _ 월터 리프먼, <여론> , p10/319

사고가 훈련되지 않을수록 동시에 주의를 끄는 두 사건이 인과관계로 연결되어 있다는 이론을 끌어내기가 더 쉽다. 우리는 이미 사물이 주의를 끄는 방식을 어느 정도 길게 논의했다. 정보에 접근하는 데 방해를 받아 접근이 불확실해지는 것을 알았다. 우리의 이해는 고정관념에 의해 크게 통제받으며, 이성에게  유용한 증거는 변명, 명성, 체면, 공간, 시간, 그리고  표본 추출 등의 착각에 지배된다는 사실을 알았다.  이제 여론이 초기의 결점과 함께 그것들보다 더 심한  것들로 둘러싸여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주로 고정관념을 통해 바라보는 일련의 사건에서 시간적으로 잇달아 
일어나거나 평행하는 것을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쉽게 받아들이기 때문이다.(p128/319) - P128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갱지 2022-01-13 15:5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민심과 여론은 다르다던 노무현대통령 말씀이 생각납니다.

겨울호랑이 2022-01-13 16:00   좋아요 2 | URL
갱지님께서 인용해 주신 내용처럼 일반적인 정서와 특정 시점에 형성되는 여론은 분명 차이가 있다 여겨집니다. 여기에 더해 ‘여론조사‘라는 하나의 형식적 절차가 더해지면서, 개인들의 생각과 감정과는 다른 조작화된 집단의식이 형성됨을 <여론>을 통해 배우게 됩니다.^^:)

기억의집 2022-01-13 17:3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지금은 환경이 변해서.. 정보 채널이 많아지고 전 유투브의 역활이 엄청 나다고 봐요. 저같은 경우는 진보유투버들이 이번에 이렇게 맹활약하지 않었다면 이재명이 진짜 나쁜놈으로 알았을거예요. 대장동때도 추석임에도 긴급편성해서 대장동 이익환수를 성남시에서 어떻게 했는지, 모텔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하신 깨시연의 이병철이 변호사비대납 사건을 어떻게 만들어냈는지 등. 진보유튜버들 없이 기존 레거시미디어만 들었다면 이재명을 찍으려고도 하지 않었을 것 같아요. 유투버의 광고 수익이 일반인들을 크리에이티브로 만들었고 고퀄의 유툽 방송이 나올 수 있었는지… 리프먼의 글을 읽으며 약간이나마 정리할 수 있네요.

겨울호랑이 2022-01-13 17:54   좋아요 1 | URL
그렇습니다. 기억의집님께서 말씀하신 지점이 100년 전 리프먼과 오늘날 우리가 직면한 현실이 가장 크게 다른 부분이라 여겨집니다. 그래서, 리프먼의 결론을 그대로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논거가 될 수 있겠습니다. 다만, 이 지점은 오늘날 우리가 풀어야 할 다른 과제를 던져줍니다. 리프먼의 시대에는 언론에 의해 왜곡된 정보가 하나의 경로로 제공되었기에 공통된 배경지식하에서 토론이 가능했다면, 정보수용자가 선택적으로 자신의 매체를 선택하는 오늘날의 현실에서 개인의 배경 지식이 전혀 다른 현실에서 의견 수렴은 예전보다 어려워진 것도 사실입니다. 이른바 공론의 장이 붕괴되고 있는 현실에서 사회적 합의를 어떤 방식으로 끌어낼 것인가. 이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 아닌가를 생각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