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집
르 코르뷔지에 지음, 이관석 옮김 / 열화당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면이 대지 위에 자리 잡았다. 마치 손에 장갑을 끼듯이 꼭 들어맞았다. 호수는 창문에서 사 미터 앞에 있었고, 도로는 문 뒤로 사 미터 떨어져 있었다. 다뤄야 할 면적은 삼백 제곱미터 정도로,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수평선들 중 하나인, 건물 때문에 망쳐서는 안 될, 비길 데 없이 훌륭한 전망을 제공한다.(p13)

건축가 르코르뷔지에가 은퇴하시는 부모님을 위해 준비하는 호숫가의 작은 집 이야기. 제한된 예산으로 큰 집을 지을 수는 없지만, 대신 작은 집에 큰 자연을 담는다. 오늘날 규격화된 상자와 같은 곳에서 거주하며 역세권으로부터의 거리가 거주 가치의 척도인 우리들에게, 대가는 건축과 삶의 진정한 가치가 무엇인가를 알려준다.

집 안으로 들어선다. 십일 미터 길이의 창 문이 집에 품격을 준다! 이것은 창문의 역할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위해 고안된 구조상의 혁신이다. 집의 구성체이자 가장 중요한 특징이 되는 것이다.(p34)

작은 집에 자연을 담아낸 대가처럼, 외부와 단절 대신 마음의 창인 눈을 통해 이웃과 소통하는 삶을 꿈꾼다는 것은 어쩌면 시대에 뒤쳐진 사치일지도 모르겠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다이제스터 2020-09-03 21:3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르 코르뷔지에가 이런 책도 썼네요.
역시...
근데 그가 말한 창으로 자연을 혹시 보신 적 있으세요?
국내에서도 건축가들이 너도나도 따라하여 이젠 좀 흔한 창인데요. 그 창을 통해 보신 적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

겨울호랑이 2020-09-03 21:46   좋아요 1 | URL
^^:) 아쉽게도 그런 창이 있는 집에 가보질 못 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만약 할 수 있다면)창을 통해서 자연을 시각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곳도 좋겠지만, 한옥처럼 자연을 온전히 끌어들이거나, 아니면 문 밖으로 자연을 밟고, 숲냄새와 바람의 느낌을 함께 가져갈 수 있는 집에 살았으면 합니다... 집 안에서 바라본 자연과 문 밖의 자연은 분명 차이가 있더군요...

북다이제스터 2020-09-03 21:51   좋아요 1 | URL
맞는 말씀인 것 같습니다.
르 코르뷔지에 창은 성에 차지 않는 창이라고 느꼈습니다. 물론 사람마다 다르게 느끼겠지만요...
왜 다들 그의 창을 대단하다고 칭송하고 따라하는지 이해되지 않아서 그냥 여쭤봤습니다. ^^

겨울호랑이 2020-09-03 21:58   좋아요 1 | URL
정확하지는 않지만, 서양문화의 자연에 대한 태도와 동양문화의 자연에 대한 태도 차이가 아닐까 추측해봅니다. 서양문화에서 자연을 대상화하고 이로부터 숭고함과 아름다움을 느끼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에 오감 중에서 시각을 충족하는 것으로 만족한다면,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문화에서는 물아일체의 측면에서 촉각, 후각까지 고려하는 사고가 건축 철학에 드러난 것은 아닐까 조심스럽게 생각해 봅니다...^^:)

북다이제스터 2020-09-03 22:03   좋아요 1 | URL
곧 집 지으실 때 큰 도움되실 책이었다고 짐작됩니다. ^^
곧 이루어지실 것으로 느껴집니다. ^^

겨울호랑이 2020-09-03 22:57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 일단은 살 도시 아파트 구하느라 발품을 팔았지만요..ㅋㅋ 꿈을 놓쳐서는 안되겠지요.

초딩 2020-09-04 13:2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지금 읽고 있는, 유현준 교수의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그리고 읽었던 ‘어디서 살 것인가‘에서 르 코르뷔지에는 좋은 평을 듣진 못하는 것 같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자연을 ‘바라보는 것‘을 꼬집어 비판 한 것 같습니다. 유교수의 지론처럼 자연과 동화되는 것은 그 속에 - 원래 인간이 자연의 일부이니 - 있는 것이지 ‘보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수전 손택의 ‘사진에 관하여‘에서도 우리는 이미 ‘본다는 것‘으로 본연의 경험을 차단하고 또 ‘왜곡‘ 해버린 것 같습니다. :-)

겨울호랑이 2020-09-04 19:37   좋아요 1 | URL
그렇군요. 르 코르뷔지에가 서양에서는 건축대가지만, 아리스토텔레스 이래의 서양 전통인 ‘관조‘의 틀을 벗어나지 못한 한계가 있음을 실감하게 됩니다. 그들의 자연환경과는 다른 우리 환경에 맞는 건축 철학, 생활 철학이 필요함도 함께 느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