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하느님>에서 권정생은 이렇게 말한다. 


"겨울이면 아랫목에 생쥐들이 와서 이불 속에 들어와 잤다. 자다 보면 발가락을 깨물기도 하고 옷 속으로 비집고 겨등랑이까지 파고 들어오기도 했다. 처음 몇 번은 놀라기도 하고 귀찮기도 했지만 지내다 보니 그것들과 정이 들어 버려 아예 발치에다 먹을 것을 놓아두고 기다렸다." <권정생의 낯선 사랑법> 中


 오늘 성당 주보에 실린 글을 읽다 낯익은 이름을 발견하고 반가운 마음이 들었다. 이런 마음을 품고 집에 돌아와 아이책 중 <강아지똥>을 모처럼 꺼내어 다시 읽어본다.

 

 "뭐야! 내가 똥이라고? 더럽다고?"

 강아지똥은 화도 나고 서러워서 눈물이 나왔어요.(p2)


"난 더러운 똥인데, 어떻게 착하게 살 수 있을까? 아무짝에도 쓸 수 없을 텐데......." 강아지똥은 쓸쓸하게 혼자서 중얼거렸어요.(p8) 


 "네가 거름이 돼 줘야 한단다." "내가 거름이 되다니?" "네 몸뚱이를 고스란히 녹여 내  몸속으로 들어와야 해. 그래야만 별처럼 고운 꽃이 핀단다."(p10) 


 봄이 한창인 어느 날, 민들레 싹은 한 송이 아름다운 꽃을 피웠어요. 향긋한 꽃 냄새가 바람을 타고 퍼져 나갔어요. 방긋방긋 웃는 꽃송이엔 귀여운 강아지똥의 눈물겨운 사랑이 가득 어려 있었어요.(p13) <강아지 똥> 中


 <강아지똥>의 이야기는 그리 길지 않지만, 몇 번을 읽어도 마음에 잔잔함을 퍼뜨린다.  말 그대로 강아지 똥이, 시간이 흘러 새로운 생명 민들레 싹을 틔워내는 이야기안에는 어떤 아름다움이 담겨있을까. 얼핏 <강아지똥>의 이야기는 다른 동화, 특히 안데르센(Hans Christian Andersen, 1805 ~ 1875)의 전래 동화와 많은 닮은 듯하다.  

 

 오리 새끼는 물 위로 날아가서는, 아름다운 백조들 쪽으로 헤엄쳤다. 백조들이 오리 새끼를 발견하더니 날개를 펼치고 그를 만나러 달려왔다. "좋아. 나를 죽여, 죽여봐"하며 불쌍한 새는 울음을 터뜨렸다. 그러고는 죽음을 기다리듯이 머리를 물 쪽으로 숙였다. 그런데 맑은 물 표면에서 오리 새끼가 발견한 것은 무엇이었을까? 물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게 된 오리 새끼는 자신이 더 이상 꼴사나운 새가 아니며, 못생기고 불쾌한 얼굴도 아님을 깨달았다. 그 자신이 바로 한 마리 백조였다!(p382) <주석달린 고전동화집, 미운 오리 새끼> 中


  "한 인간이 너를 너무 사랑해서 자기 아버지와 어머니보다 너를 더 소중히 여긴다면, 또한 그가 가슴과 영혼으로 너를 사랑하고 성직자 앞에서 지금은 물론이고 앞으로도 영원히 너에게 충실하고 진실하겠다고 약속하면서 너의 손에 그의 오른손을 올려놓으면, 그의 영혼이 너에게로 미끄러지듯 들어오게 될 것이고, 너도 인간이 누리는 행복의 몫을 얻게 될지도 모르지.(p401)... 왕자님과 불멸의 영혼을 얻을 수만 있다면 난 뭐라도 할 수 있을 것 같아.(p403) <주석달린 고전동화집, 어린 인어 공주> 中


  남들로부터 인정받지 못하는 주인공이 새롭게 자신의 존재를 깨닫는다는 이야기는 <미운 오리 새끼>와, 사랑하는 이를 위해 자신을 희생한다는 면에서는 <작은 인어 공주>유사점이 있는듯하다. 그렇지만, 내용적으로 보다 깊게 들어가면이들 안데르센 동화와 <강아지 똥>은 크게 2가지 면에서 차이를 발견하게 된다.


 오리 새끼가 아름다운 백조로 변신하는 이 고전동화는 여러 세대에 걸쳐 자신감 부족과 소외감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로하는 작품으로 읽혀왔다. 미운 오리 새끼는 자기 스스로 노력하지 않고 초라한 상황을 벗어난다. 오리 새끼는 때가 될 때까지 그저 묵묵히 굴욕과 궁핌 그리고 위험 요소들을 참아냈을 뿐이다.(p366)... 안데르센은 미운 오리 새끼의 타고난 우수성이 다른 혈통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다른 오리들과는 다르게 미운 오리 새끼는 백조알에서 부화된 것이다. 안데르센의 이야기는 왕과 귀좃가회를 아름다음과 연관시키는 문화적 편견을 영속화할 뿐만 아니라, 육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뇌 속에서 미덕을 찾는 경향, 즉 고통의 숭배를 조장한다.(p367) <주석달린 고전동화집, 미운 오리 새끼 註> 中


 어린 인어공주에게는 조용한 인내심을 넘어서는 세속적인 야망이 있다.(p384)... 어린 인어는 처음에는 바다 마녀가 줄 수 있는 것에 유혹되어 마녀의 처소를 방문하는 데 따른 여러 위험에 용감하게 맞선다. 그러나 그녀는 결국 왕자를 찌를 칼을 바닷속으로 던져버림으로써, 바다 마녀의 검은 마술을 버리고 불멸의 삶을 얻을 기회를 얻는다.(p385)<주석달린 고전동화집, 어린 인어 공주 註> 中


 <미운 오리 새끼>와 <어린 인어 공주>는 모두 태생적으로 고귀한 존재들이다. 오리 새끼는 '백조'의 혈통을, <어린 인어 공주>는 말 그대로 공주다. 이들은 각각 시련을 겪기는 하지만, 이러한 어려움을 넘어설 수 있는 '가능성'이 그들안에 내재(內在)한다. 특히, 미운 오리 새끼에서 그런 면이 두드러지지만, 인어 공주에서도 고귀함의 실현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크게 같은 부류로 묶을 수 있지 않을까. 그런 의미에서 그들은 '성령(聖靈)이 육화(肉化)'된 것처럼 보통 이하의 존재로 하강한 후 시간의 흐름 또는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상승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마치 플라톤(Platon, BC 427 ~ BC 348) 의 동굴의 비유 또는 기독교의 메시아(Messiah)의 모습이 동화 안에 구현된 듯한 인상을 받는다.  


[그림] 무염시태 immaculata conceptio beatae virginis mariae (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Feast_of_the_Immaculate_Conception) 


 그렇지만, 강아지똥은 그냥 똥이다... 안데르센 동화의 두 이야기가 금수저의 유학생활을 다룬 이야기라면, <강아지똥>은 흙수저의 삶을 다룬 이야기라고 해야할까. 평범한 이가 발견하는 삶의 의미. 이것이 첫 번째 차이라 생각된다.


 두 번째 차이는 두 이야기에서 고난을 겪고 얻어낸 성취가 '개인' 수준을 넘지 않는데 반해, <강아지 똥>에서는 자신을 넘어섰다는 점에 있다. <미운 오리 새끼>에서 오리 새끼는 '아름다운 미모'를 얻었고, <어린 인어 공주>는 다른 방식의 '영원한 삶'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이것들은 모두 자신들이 열망하는 것이었지만, 그들을 둘러싼 주변은 이들로 인해 바뀌지 않는다.

 

 단순한 즐거움이나 고통이든 아니면 이들의 변형된 형태든, 사람의 마음에 강한 인상을 심어줄 수 있는 관념들 거의 대부분을 우리는 자기 보존과 사회라는 두 가지 항목 아래 분류할 수 있다(p83)... 개인의 보존과 관련된 감정들은 주로 고통이나 위험이 있을 때 생겨나며 모든 감정들 중에서 가장 강한 감정이다. 어떤 형태로든 고통이나 위험의 관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모든 것은 우리가 느낄 수 있는 가장 강한 감정인 숭고의 원천이다.(p84) <숭고와 아름다움의 이념의 기원에 대한 철학적 탐구> 中


 에드먼드 버크(Edmund Burk, 1729 ~ 1797)는 <숭고와 아름다움의 이념의 기원에 대한 철학적 탐구 A Philosophical Enquiry into the Origin of our Ideas of the Sublime and Beautiful>에서 숭고(崇高)의 기원 중 하나를 자기 보존에서 찾고 있다.    

 버크의 관점을 따른다면,  미운 오리 새끼, 어린 인어 공주의 이야기에서 우리는 숭고미를 찾을 수 있다. 


 그렇지만, 강아지똥에서 자신의 삶의 이유를 자신에게서 발견하지 않고, 민들레라는 타자(他者)에 의해 발견된다. 자신이 아닌 다른 존재를 키워낸다는 점에서 이들의 숭고를 넘어선 다른 의미에서 거대함(greatness)이 있지 않을까. ('거대함'은 버크가 <탐구>에서 논하는 숭고함의 필수적 요소이다.) 


 만약, 우리가 <강아지 똥>에서 숭고미를 발견할 수 있다라고 했을 때, 그 숭고미는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개인적으로 숭고미의 근원을 우리 문화와 작가에서 찾을 수 있다 생각한다. 먼저,  우리 신화(神話) 안에 담긴 숭고미를 살펴보자. 전국 여러 곳에서 폭넓게 이야기로 전해오는 <당금애기> 속에서 우리는 자기 희생의 신성(神性)을 발견할 수 있다.

 

 (당금애기에서) 운명은 가만히 있어도 저절로 실현되는 무엇이 아니다. 거기 대면하여 감당하기를 시작할 때 비로소 그것은 나의 삶이 되어서 의미를 발하게 된다. 이 신화에서 당금애기는 무척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형태로 운명에 휘둘리는 존재로 보이지만, 되짚어보면 그렇지 않다.. 그는 방문 밖으로 나가서 시준님을 대면했고, 그를 방 안에서 들여서 자게 했으며, 그와의 만남을 운명으로 여겨 결연을 받아들였다. 뱃속에 버거운 생명이 자라났지만 마침내 그로부터 도피하지 않았다. 깜깜한 돌함 속에 홀로 갇혀서도 스스로를 무너뜨리지 않고 아이를 낳았다. 그리고 세상의 조롱과 박해를 무릅쓰고서 그 아이들을 키워냈다. 누군가 하면 세상의 신령한 구원자로.(p92)...  당금애기는 이렇게 한 명의 딸로부터 여자가 되고 또 어머니가 된다. 키워지던 존재에서 홀로 선 존재가 되고 타인을 키우는 존재가 된다. 요컨대 당금애기는 자신의 운명과 대면하여 그것을 감당함으로써 존재를 실현한 자였다. 일컬어, 신(神)!(p93) <살아있는 한국 신화> 中 


 이러한 전통 문화의 바탕 위에 고된 삶에서 피어난 연꽃 같은 작가의 맑은 정신이 <강아지똥>안에 담겨 있기에 참으로 아름다운 이야기가 된 것은 아닐까. 마침 오늘 미사 주보에 실린 짧은 에세이 중 작가 권정생(權正生, 1937 ~ 2007)에 대한 이야기를 옮겨 본다.


 권정생은 살아있는 모든 목숨이 애틋했다. 개구리든 생쥐든 메뚜기든 굼벵이든 같은 햇빛 아래 같은 공기과 물을 마시며 고통도 슬픔도 겪으면서 살다 죽는게 아닌가, 연민을 느꼈다. 그에겐 위아래가 따로 없었다. 기름진 고깃국을 먹은 뱃속과 보리밥을 먹은 뱃속으로 위아래를 나누는 나누는 것이 부끄러운 일이라 했다. 약탈과 실인으로 살찐 육체보다 성실하게 거둔 곡식으로 깨끗하게 살아가는 정신이야말로 참다운 인간의 길이라 믿었다. 그래서 제국주의도 전쟁도 빈부도 독재도 분단도 미워했다. <권정생의 낯선 사랑법> 中


  <강아지똥>안에서 <당금애기>에서와 같은 숭고를 넘어선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 있다고 한다면, 그것은 자기를 넘어선 타인에 대한 사랑 때문이 아닐까. 그리고, <강아지똥>안의 아름다움은 이러한 전통의 아름다움 위에 작가 권정생의 아름다운 정신이 녹아 있기 때문일 것이다. 


 <강아지똥>의 이야기는 순박하고 정겹다. 그리고, 이러한 숭고미가 있기에 오늘날까지 우리에게 널리 읽히는 것은 아닌가를 생각하면서 이번 페이퍼를 갈무리한다.


 PS. <캘리번과 마녀 Caliban and the Witch>>의 저자 실비아 페더리치(Silvia Federici)가 말한 자본주의가 살해한 여신(女神)의 모습 안에는 위와 같은 숭고미도 포함되어 있는 것은 아닐까...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galmA 2019-08-05 08:2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동서양의 차이만 보기보다 작가의 세계관(물론 사회 인식 반영이라고도 볼 수 있겠지만) 차가 크다고 볼 수도 있겠지요.
어렸을 때 자신의 부모가 사실은 가짜이고 진짜 부모는 대단한 사람일 것이라고 착각하는 단계가 있잖아요. 그런 게 이야기에 반영된 게 더 크다고 저는 생각되네요^^;
그럼에도 권정생 선생의 아름다운 정신은 존경스럽습니다!

겨울호랑이 2019-08-05 08:28   좋아요 1 | URL
AgalmA님 말씀처럼 작가 역시 사회문화의 영향을 짙게 받기 때문에, 이들을 구별하는 것이 사실 어렵다고 여겨집니다. 그런 면에서 작가의 세계관이 무엇보다 중요하겠지요. 그렇지만, 동시에 이러한 작가의 진심을 받아들일 수 있는 토양 또한 중요하다는 생각도 해봅니다.^^:)

cyrus 2019-08-05 16:5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버크가 말한 숭고는 거대한 자연(바다, 깎아지른 절벽이 있는 산)을 마주할 때 두려워서 아찔함을 느끼는 감정 상태라고 정의한 걸로 알고 있어요. 제가 버크의 책을 더 읽어보고 난 후에 제 의견을 밝혀야겠지만, 어떤 존재의 자기희생에서 느낄 수 있는 아름다움을 버크의 숭고와 연관 짓는 겨울호랑이님의 설명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버크가 숭고의 개념을 말할 때 언급한 ‘거대함’은 인간에게 두려움을 불러일으키게 만드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겨울호랑이 2019-08-05 18:46   좋아요 1 | URL
cyrus님께서 말씀하신 버크의 숭고와 관련된 부분을 옮겨보겠습니다.

‘자기 보존과 관련된 감정들은 고통이나 위험에서 생겨난다. 그 원인이 직접 우리에게 영향을 미칠 경우 그러한 감정들은 그저 고통스러울 뿐이다. 하지만 실제로 그런 상황에 처해있지 않으면서 고통이나 위험을 느낄 경우 그러한 감정들은 우리에게 안도감을 준다. 이러한 안도감은 고통에서 생겨나며 실질적인 즐거움과 다르기 때문에 나는 그것을 즐거움이라고 부르지 않았다. 그리고 나는 이렇게 안도감을 불러일으키는 모든 것을 숭고하다고 부른다. 자기 보존과 관련된 이러한 감정들은 모든 감정 가운데서 가장 강한 것들이다.(p98)‘<숭고와 아름다움의 이념의 기원에 대한 철학적 탐구> 中

저는 위의 책에서 버크가 말한 ‘숭고‘의 개념을 절박한 위험이나, 두려움, 고통에서 벗어난 직후 경외감, 두려움 등이 짙게 배인 평온함으로 이해했습니다. 그리고, 버크가 말한 ‘숭고의 원천‘ 중 자기 보존이 가장 강력하다는 것은 cyrus님께서 말씀하신 상황에서 자신의 안전 욕구가 가장 감정의 욕구라는 말이라 여겨집니다. 이는 매슬로우의 욕구 5단계 이론과도 통한다 생각합니다... 잠시 엇나갔습니다만, 그렇게 본다면 버크의 ‘숭고‘는 ‘평안함을 주는 가장 강한 감정이 상태‘로 여겨집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자신의 안전‘을 뛰어넘은 ‘자기의 희생‘은 더 숭고하다 생각됩니다. 자신의 안전이 ‘better‘라면 자기 희생은 ‘the best‘가 아닐까 생각해서 논리를 전개했습니다... 설명의 부족함이 있더라도 이해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