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페이퍼에서는 크리스마스를 맞아 크리스마스와 연관된 음악과 동화를 정리해 봅니다. 먼저 크리스마스 깊은 밤과 어울리는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 ~ 1750)의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입니다.
1. 바흐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 Weihnachts-Oratorium BWV248>
'바흐가 라이프치히로 옮겨간 후, 꼭 11년째에 해당하는 1734년에 완성된 작품이다. 전곡(全曲)은 6부로 되어 있고, 64곡이 들어있다. 오라토리오란 이름으로 불리고는 있으나, 사실은 6개의 교회 칸타타를 한 묶음으로 마무리한 것으로, 일관된 줄거리도 갖고 있지 않다. 초연 때에는 1734년의 크리스마스의 날로부터 이듬해의 1월 6일에 걸쳐서, 6일에 나누어 연주되었다. 가사의 작가는 분명하지 않으나, 그 일부는 신약성서의 루가복음 제2장 1~21절 및 마태오 복음 제2장 1 ~12절에 의거하고 있다.
제1부 크리스마스 제1일 <자, 축하하라, 이 좋은 날을>
모두 9곡으로 되어 있다. 이 오라토리오 중 가장 유명한 부분으로, 그야말로 크리스마스답게 화려하고 밝아서 일반인에게 매우 친근하다. 이야기는 요셉의 여행 시작부터 마리아가 아기를 낳는 데까지의 이야기다.(p416)
제2부 크리스마스 제2일 <이땅에 노숙(露宿)하여>
일반적으로 파스토랄 심포니(Pastoral Symphony)의 이름으로 친근한 서주로 시작되는 이 제2부에서는 양치기들 앞에 천사가 나타나 구세주의 탄생을 알리는 장면이 그려진다. 모두 14곡으로 되어 있다.(p418)
제3부 크리스마스 제3일 <하늘의 통치자여, 이 노래 소리를 들으라>
3일에 걸쳐 이야기하는 예수 그리스도 탄생 이야기의 마지막 부분으로, 양치기가 베들레헴으로 가서 구유에 누워있는 아기를 확인하고 하느님을 찬양하면서 집으로 돌아가는 데까지 이야기를 한다. 12곡으로 되어 있는데, 마지막에 가서 최초의 곡을 되풀이하기 때문에 전부 13곡이 된다.(p420)
제4부 예수라는 이름의 축일(祝日) <감동과 찬미에 엎드리도다>
아기가 태어난 지 8일 후에 할례(割禮)를 받고, 예수라고 이름지어졌다고 되어 있다. (루가복음 제2장 21). 그것은 꼭 1월 1일에 해당하므로, 이 날은 예수라는 이름의 축일로서 축하한다. 이 오라토리오의 제4부는 이 축일을 위하여 씌여진 것이다. 모두 7곡으로 되어 있다.(p422)
제5부 신년 제1일요일 <하나님께 영광 있으라>
오라토리오의 제5,6부는 구세주의 탄생을 알고 동방에서 찾아온 박사들의 이야기이다. 그 이야기의 전반에 해당하는 제5부는 박사들이 헤롯왕을 찾아가 아기가 있는 곳을 묻는 장면을 이야기한다.(p424)
제6부 현현절(顯現節 : 주님공현대축일 <주여, 교만한 적(敵)이 다가올 때>
1월 6일에 해당되는 현현절은 동방박사들이 마굿간에서 쉬는 아기를 찾아 그 탄생을 추가했다는 사건을 기념하는 축일이다. 구세주의 이야기를 마무리하는 데 알맞는 에피소드이며, 2주간에 걸쳐서 연주된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도 이날로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p426)'
2. <호두까기 인형 胡一人形 Nutcracker>
크리스마스와 연관된 발레음악으로는 차이코프스키(Tchaikovsky, 1840~1893)의 <호두까기 인형>을 빼놓을 수 없을 것 같습니다.
'러시아의 작곡가 차이코프스키의 발레 음악. 2막 3장. 1891 ~ 92년 작곡, 1892년 페테르부르크의 마린스키극장에서 초연되었다. 독일 작가 E.T.A 호프만의 동화 <호두까기와 쥐의 임금님>(1819)을 대본으로 하여 쓴것으로 소녀 클라라가 클스마스에 호두까기 인형을 선물로 받았는데, 그 인형이 꿈 속에서 쥐의 대군을 퇴치하고 아름다운 왕자로 변하여 클라라를 과자의 나라로 안내한다는 환상적인 이야기로 되어 있다.'
크리스마스와 관련되어 안데르센(Hans Christian Andersen 1805 ~ 1875)은 여러 편의 동화를 썼습니다. 크리스마스를 주제로 한 많은 예술 작품들이 기쁨과 새로움, 희망을 이야기하는데 반해, 안데르센은 크리스마스를 조금 다른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3. <전나무>
전나무는 숲을 떠난 나무들의 삶을 동경하며, 자신도 크리스마스에 숲을 떠나 새로운 곳에서 지내는 꿈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그토록 동경하던 크리스마스가 다가왔을 때 전나무는 자신의 꿈과는 다른 삶을 살게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전나무>는 크리스마스 축제의 다른 면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지금이 당장 크리스마스라면! 이제 나도 지난 해에 숲을 떠난 나무들처럼 멋지게 자랐어. 온갖 장식품으로 화려하게 꾸미고서 따뜻한 방에 가 있다면 얼마나 행복할까? 물론 더 좋은 일, 더 아름다운 일이 자꾸자꾸 생기겠지? 난 정말 그렇게 되고 싶어. 지금 당장!" "네 싱싱한 젊음을 맘껏 누리렴. 우리와 함께 말이야." 바람과 햇빛이 정겹게 말을 붙여 왔다. 그러나 전나무는 젊다는 것이 도무기 기쁘지 않았다. 오직 한가지, 빨리 자라고 싶은 마음뿐이었다.(p258)'
'크리스마스가 다가왔다. 이번에도 나무꾼들이 도끼를 들고 숲 속을 찾아왔다. 나무꾼들은 맨 먼저 키 작은 전나무에게 달려들어 도끼를 내리쳤다. 도끼가 급소를 찌르자 전나무는 너무나 고통스러워 비명을 지르며 땅으로 쓰러졌다. 생각했던 것과는 달리 나무꾼들의 손에 베어지는 것이 전혀 기쁘지 않았다.(p259)... "다 지나갔구나, 지나갔어. 그때가 좋았는데. 바보같이 행복한 줄도 몰랐다니. 이젠 너무 늦었어." 늙은 전나무가 말했다.(p264)'
4. <성냥팔이 소녀>
유명한 <성냥팔이 소녀> 속에서 소녀는 다른 이들의 크리스마스 축제에 함께 하지 못하고, 추위 속에서 쓸쓸하게 죽어갑니다. 할머니를 그리며 죽어가는 소녀의 모습을 읽는 것은 항상 마음을 아프게 합니다.
'소녀는 또 하나의 성냥개비를 꺼내 불을 붙였다. 이제 소녀는 멋진 크리스마스 트리 아래 앉아 있었다. 그것은 성탄절 전날 밤에 소녀가 부유한 상인 집 유리문을 통해 본 나무보다 더 크고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었다. 푸른 가지에는 수천 개의 촛불이 타올랐고, 진열장에서 본 것과 같은 색색의 화려한 그림들이 그것을 내려다 보고 있었다. 소녀가 나무를 향해 손을 뻗자 성냥불이 꺼져 버렸다. 크리스마스 촛불들은 점점 더 높이 올라가 하늘에 떠 있는 별처럼 보였다. 그때 별 하나가 화려하게 긴 꼬리를 그리며 떨어지는 것이 보였다. "누가 죽어가나 봐!" 하고 소녀는 중얼거렸다. 이 세상에서 소녀를 사랑해 주었던 단 한사람인, 돌아가신 할머니가 소녀에게 이야기해 주었었다. 하늘에서 별이 떨어지는 것은 한 영혼이 하느님의 품으로 올라가는 것이라고.(p347)'
5. <플랜다스의 개> : 네로의 죽음
개인적으로 <성냥팔이 소녀>를 읽으면 항상 생각나는 것이 <플랜다스의 개>에서 주인공 네로가 죽는 장면입니다. <성냥팔이 소녀>가 마지막 성냥을 켜면서 자신의 할머니를 찾았던 것처럼, <플랜다스의 개>에서는 루벤스(Peter Paul Rubens, 1577 ~ 1640)의 그림을 보면서 네로는 죽음을 맞이합니다. 어린 소년, 소녀들이 주위의 무관심 속에서 죽어가는 장면은 마음을 아프게 합니다.
한 해를 마무리하는 연말입니다. 크리스마스의 유래가 동지(冬至)라고 하니, 크리스마스는 우리 모두의 명절일 것입니다. 그리고, 크리스마스가 희망적으로 느껴지는 것은 새로운 한해가 다가오기 때문이라 생각됩니다. 크리스마스의 음악이 밝고 경쾌하며 경건한 음색(音色)을 가지는 이유는 거기에 있겠지요. 하지만, 동화작가 안데르센의 작품을 통해 크리스마스에 대한 다른 생각도 하게 됩니다. <전나무>를 통해서 크리스마스 자체보다 일상의 소중함을 생각하게 되고, 크리스마스를 함께 하지 못하는 소외된 이웃들에 대한 생각도 하게 됩니다. 글을 쓰는 지금 크리스마스 이브의 밤이 깊어가는 만큼 희망을 잃어가는 누군가도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밝음과 어두움 모두 크리스마스의 모습이겠지요.
우리 모두에게 깊어가는 크리스마스 이브의 밤이 절망을 상징하는 것이 아니라, 일출(日出)의 희망을 향해 나아감의 의미로 다가가기를 기원해 봅니다.
이웃분들 모두 행복한 크리스마스 보내세요!^^:
PS. <플랜다스의 계(契)>는 겨울을 배경으로 한 아름다운 작품이라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