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진(寫眞) : 사실(事實)의 기록 


 사진은 어떤 매체라고 말할 수 있을까. 사진은 여러가지 모습을 가진 종합 예술이기 때문에, 하나로 규정하기는 어렵고 위험한 일이라는 생각이 든다. 다만, 여러 책 속에 나타는 '사진'의 모습 속에서 어렴풋하게나마 그 윤곽을 잡을 수 있지 않을까. 수전 손택(Susan Sontag, 1933 ~ 2004)의 <타인의 고통 Regarding the pain of others>를 통해서 우리는 사실(事實)의 기록으로서 사진을 바라볼 수 있다.


'훨씬 더 속을 뒤집어 놓는 것은 자신들이 곧 죽게 될 것을 아는 사람들을 보게 될 때이다. 프놈펜 교외의 툴슬렝에 있는 어느 고등학교를 개조해 만든 비밀 감옥, 즉 "지식인"이라거나 "반혁명분자"라는 죄목으로 갇혀 있던 1만4천여 명 이상의 캄보디아인들이 살육된 이 감옥에는 1975년부터 1979년 동안 이곳에서 찍은 6천여장의 사진들이 은닉되어 있다. 크메루주가 행한 잔혹상을 기록할 특권을 누렸던 이 자료의 기록자들은 제 자리에 앉은 채 자신의 눈 앞에서 진행되는 처형 과정을 사진에 담았다. 훗날 몇 십년이 지난 뒤, 우리는 이 사진들을 발췌해 모아 놓은 <살육의 들판>이라는 책을 통해서 카메라를 응시하고 있는 얼굴들, 그래서 우리 자신들을 응시하고 있는 얼굴들, 그래서 우리 자신들을 응시하고 있는 얼굴들을 바라볼 수 있게 됐다.(p95)'


 툴슬렝 감옥에 대한 사진과 사진에 대한 설명을 통해 우리는 '킬링 필드 Killing Field'의 처참한 살육현장 기록과 이에 대한 증거로 사진을 바라보게 된다. 


'폴 포트 정권 시기의 캄보디아에 세워진 툴슬렝 감옥은 'S-21 형무소'라고도 불렸다. 이곳에 수감됐다가 생존한 사람은 7명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이곳은 기념관으로 개조되어 일반인들에게 공개되고 있다. -<타인의 고통> 中 -



[사진] 엠 에인, <무제>, 툴슬렝 감옥, 1975 ~ 1979


 갓난 아기를 안고 무심한 표정으로 카메라를 바라보는 여인, 눈에 공포의 빛을 드리운 채 울먹거리는 표정으로 우리를 바라보고 있는 한 중년 남자의 모습은 그 자체보다 죽음을 눈 앞에 둔 상황에서 우리에게 의미있는 존재로 다가온다. 사진 속에서 이들은 '툴슬렝의 희생자들'라는 집합체(集合體)로서만 우리에게 인식된다.  

 

 '이 감옥에서 사진을 찍었던 인물의 이름은 잘 알려져 있으며, 우리는 그 사진 작가의 이름을 언급할 수도 있다. (그의 이름은 엠 에인이다.) 이와 반면에 그가 찍은 사람들, 그러니까 여윈 몸에 걸쳐진 상의 위쪽에 번호표를 달고 아연실색된 얼굴을 하고 있는 이 사람들은 일종의 집합체로만 존재한다. 즉, 익명의 희생자들로만. 게다가 그들의 이름이 명명되었을지라도, 그 이름이 "우리"에게까지 알려져 있을 것 같지는 않다.(p96)


 전쟁을 배경으로 한 기록사진들은 '사실'이 전제되지 않으면, 그 의미를 상실하게 된다. 그리고, 사진 속의 인물과 사건들은 이러한 사건의 증거로서 의미를 지닌다. <타인의 고통>은 '사실의 충실한 재현'이라는 관점에서 사진을 해석하고 있는 작품이지만, 사진의 의미는 여기에만 그치지 않는다. 


2. 사진(寫眞) : 마음의 기록


<타인의 고통>에서 소개된 사진들을 통해서 우리는 거의 동일한 감정(感情)을 공유하게 된다. 사진을 보는 사람들의 성(性), 연령, 직업, 정치 성향에 관계없이 참혹한 현실에 대해 가슴 아파하는 것은 공통된 감정일 것이다. 그래서, 전쟁이라는 것이 결코 <아이언맨>에서 나오는 전투장면처럼 화려한 장면이 아니라는 것을 감상자에게 깨닫게 한다면, <寫眞, 말 없는 詩>와 <소리 없는 빛의 노래> 속의 사진은 이와는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다. 


엠 에인의 <무제>에서 사실(reality)의 여부는 사진이 주는 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카메라의 대상이 누구인가 여부는 사실 그렇게 큰 의미를 주지 못한다. (안타깝게도) 그렇지만, 에세이와 시의 형태와 결합된 사진 작품 속에서 우리는 사진 속의 대상이 개별자(個別者)로서 존재(存在) 의미를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바로 이 지점이 <타인의 고통> 속 작품과 <사진, 말 없는 이야기>와 <소리 없는 빛의 노래>가 차이를 보이는 지점이라 생각된다.


[사진1] (출처 : http://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9966164&memberNo=34220424)


[사진2] 출처 : [사진1] (출처 : http://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9966164&memberNo=34220424)


 같은 대상을 보더라도 감상자는 그 속에서 의미를 발견하기도 하고, 지나쳐 버리기도 한다. <사진, 말없는 시>와  <소리없는 빛의 노래>는 감상자의 서로 다른 배경에도 불구하고, 작가와의 대화가 책을 통해 이루어지는 느낌을 받게 된다. 피사체에 의미를 부여하는 작가의 노력과 독자와 소통하는 시(詩)와 에세이(essay)의 장르 특성이 결합되어 책 전반에 사람의 온기가 도는 따뜻한 감성이 전달되고 있음을 느끼게 된다.


 최근 읽은 <사진에 관하여>와 <타인의 고통> 속에서 저널리즘(Journalism)의 매체로서 사진에 대해 알게 되었다면, <사진, 말 없는 시>와 <소리 없는 빛의 노래>를 통해서는 감성의 매체로서 사진을 확인하게 된다. 사진의 성격을 하나로 단정지을 수는 없겠지만, 사진의 다양한 모습을 확인하면서 조금씩 알아가고 있다는 사실이 최근 얻은 작은 소득이 아닐까 생각된다. 항상 많은 도움을 주시지만, 특히 '사진'의 세계로 항상 잘 이끌어 주신 '유레카'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이번 페이퍼를 마친다.


PS. 같은 대상에 대한 다른 해석의 사례로서 <소리 없는 빛의 노래> p34에 있는 '침묵에 대한 저항'과 <사진, 말 없는 시> p104에 실려있는 사진을 비교해서 보는 것도 재미있었다. 같은 대상을 두고도 작가의 서로 다른 관점을 확인하면서 '정답이 없는' 따뜻함을 느낄 수 있었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5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11-12 21:1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11-12 21:18   URL
비밀 댓글입니다.

레삭매냐 2017-11-12 22:3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도 올해 헌책방에서 <타인의 고통>을
사기는 했는데 완독에는 이르지 못했네요.

그냥 궁금한 것이 수잔 손택은 사진을 미디
엄으로 분석하는 일에는 능통했지만 과연
자신이 직접 사진을 현상하고 인화하기도
해봤는지 궁금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것도 하나의 노동일진대 노동은 배제하
고 컨텐츠 분석에만 집중한 게 아닌가 하
는 그런 생각입니다.

겨울호랑이 2017-11-12 22:46   좋아요 1 | URL
레삭매냐님 말씀을 듣고 보니, 수잔 손택의 글 중에는 ‘사진‘의 해석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예술작업으로서 사진에 대한 관점도 있겠군요. 레삭매냐님 생각치 못한 부분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2017-11-12 23:5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11-12 23:5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11-13 00:2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11-13 06:5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11-14 11:5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11-14 12:16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