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12 - 인조실록, 개정판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12
박시백 지음 / 휴머니스트 / 201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에게 `선조=임진왜란`, `인조=병자호란`으로 떠올릴만큼 인조의 시기는 우리에게 치욕의 역사로 기억된다.

인조반정을 통해 왕위에 올랐으나, 준비되지 못한 왕이었기에, 새시대의 비전을 제시하지 못했고, 자신의 능력과 시대적 상황을 바로 보지 못했기에 그에 대한 대가를 치룰 수 밖에 없었다.

불과 50여년 사이에 연이어 발생한 2개의 전쟁으로 조선은 사회 전반에 걸쳐 큰 타격을 입게 되고, 이후 조선은 쇠망의 길을 걷게 된다.

우리는 같은 시기 큰 전쟁을 연이어 겪은 다른 국가를 알고 있다. 독일이다.
독일은 조선보다 짧은 30년 사이 (1914 -1945)에 2차례의 세계대전을 겪고 패전국으로 무너졌지만, 다시 강대국으로 설 수 있었다. 반면, 조선은 왜 일어서지 못했을까?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전장`과 `인적자본유출`이 가장 큰 요소라 생각된다.

전장면에서 보자면, 조선은 2개의 전쟁을 다 자신의 영토에서 치뤄야 했던 반면, 독일은 전쟁 후반부 급속히 무너지기 전까지 대부분의 전쟁을 외부에서 치룰 수 있어서 상대적으로 전쟁 손실이 적었다.

인적자본면에서는, 조선은 임진왜란 및 정유재란 당시 30만명, 병자호란 시 50만명의 사람들이 외부로 끌려갔다고 한다. 이에 반해 독일에서는 이런 대규모 인력 유출은 없었다.

이런 2가지의 차이가 전후 조선과 독일의 차이를 가져오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당시 인구 규모를 생각하면 강제로 끌려간 인력 유출은 전체 인구의 10%이상으로 추정되어, 이에 의한 타격이 전장 측면보다 더 컸을 것 같다.

전후 인력손실이 큼에도 불구하고, 강제로 끌려간 이들이 송환되었을 때, 이들을 `환향녀`라 손가락질 하거나, 송환자들에 대한 정착지원정책이 없었던 것이, 끌려간 이들이 조선을 버리고 자의반 타의반 외국에 자리잡게 된 배경이 된 듯하다. 그리고, 이들은 `디아스포라`를 형성한 유대인과 달리 조선을 잊게 된다.

요즘 `헬조선` 이라는 말이 유행이다. 한국을 떠나고 싶어하는 이들이 많아진다면, 그래서 많은 이들이 우리 나라를 버리고 간다면, 우리나라에 미래는 없다는 것을 아픈 역사를 통해 배운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6-05-24 09:25   URL
비밀 댓글입니다.

겨울호랑이 2016-05-24 09:54   좋아요 2 | URL
안녕하세요? 별이랑님
잘 읽어주신다니 그리고 즐겁게 봐주시는 것 같아 감사드립니다. 별이랑님 의견은 독일은 침략전쟁 참전국으로 주체적으로 전쟁을 수행한 반면, 조선은 침략을 당해 수동적으로 전쟁에 임했기 때문에, 더 피해가 컸을 것이고, 때문에 직접 비교가 되기 어려울 것 같다는 말씀으로 해석됩니다. 그 부분은 저도 생각 못했네요^^ 좋은 지적이라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다만,전쟁은 복합적인 요인이 있기에 다양하게 볼 수 있다 생각합니다. 제가 올린 의견은 던쟁 후 복구직전 상황으로 한정해서 봐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새롭게 생각할 수 있게 의견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별이랑 2016-05-24 10:0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ㅎㅎ 네
전체적인 내용에 이의가 아니고 방금 집어주신 그부분에 관한 저의 짧은 의견일뿐이예요~
정말 재미있게 읽고 격하게 끄덕이기도하고, 때론 공감을 안하고 (광해군에 대체적으로 긍정적이라 ㅎㅎ) 뭐 그럼서 겨울호랑이님 글 좋아라 해요.

겨울호랑이 2016-05-24 10:12   좋아요 1 | URL
그렇군요.. 제가 별이랑님 의견을 잘못 해석했네요 ^^; 저도 깊이 생각한 것이 아니라 같은 공간에서 짧은 기간에 큰 전쟁을 치뤘다는 두 가지 점만 가지고 이야기하다보니 논리의 비약이 있었나봐요^^ 너그럽게 이런 관점도 있구나로 생각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행복한 하루 보내시는데 작은 도움이 된거 같아 저도 좋네요^^ 감사합니다

야상곡(夜想曲) 2016-11-16 13:3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조선의 가장 큰 문제는 바로 유학의 구습과 반복이었고 조선의 패망원인은 자본이 제대로 활용되지 못 했다는 것입니다.

겨울호랑이 2016-11-16 14:42   좋아요 0 | URL
안녕하세요? ahukr333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말씀하신대로 조선은 국가이념인 성리학에 대한 무조건적 수용에 따라 실생활과 사상이 이원화된 문제가 있었습니다. 다만, 자본의 활용에 대해서는 조심스러운 부분이 있다는 생각입니다
자본을 인적 자본과 물적 자본으로 구분한다면 어떤 자본이 제대로 활용되지 않았는가에 대해서는 깊이 있는 고민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야상곡(夜想曲) 2016-11-16 15:3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당연히 대외무역과 상업을 말하는 것입니다.나라의 국부는 농업만으로 운영할수가 없고 그러한 경제 시스템은 결국 국가운영의 부제가 될수밖에 없었습니다. 관중의 사상또한 농업을 중시했지만 그 못지않게 상업과 물류의 이동을 중요시 했습니다. 이이의 십만대군 양병설도 말이 좋아 십마내군이지 정작 십만대군을 먹일 양식과 자본이 없던 조선에선 어불성설입니다

겨울호랑이 2016-11-16 15:50   좋아요 0 | URL
그렇군요.. 아직 제가 조선시대 사회 경제상에 대해 깊이있는 공부가 부족합니다.^^: ahukr333님께서 지적하신 부분을 염두에 두고 더 공부해야겠네요. ahukr333님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야상곡(夜想曲) 2016-11-16 15:3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그리고 사학자들의 연구결과 조선의 사회와 북한의 사회가 별반 다르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정도로 조선은 매우 가난한 나라였고 그 이상으로 처참하였을 거라고 대부분의 사학자들이 평가하고 있습니다

야상곡(夜想曲) 2017-02-04 10: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때 조선이 패망했다면 한민족의 역사는 차라리 더 좋았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