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철학 케니의 서양철학사 1
앤서니 케니 지음, 김성호 옮김 / 서광사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흔히 철학자는 그가 제시한 대답이 얼마나 옳은가보다는 그가 던진 질문이 얼마나 중요한가에 따라 평가되어야 한다는 말을 하곤 한다. 이 말이 사실이라면 플라톤은 철학자 중에 더 이상 비교할 대상이 없는 최고의 탁월한 인물이다. 그는 진정으로 깊이 있고 위대한 철학의 수많은 문제들을 처음 제기하였으며, 이들 대다수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철학적 논의의 대상으로 남아 있다. 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 또한 세계의 지적인 유산에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왜냐하면 오늘날 우리가 이해하는, 르네상스 이후 계속 받아들여져 온 학문의 개념을 처음으로 만들어 낸 인물이 바로 그이기 때문이다. _ 앤서니 케니, <케니의 서양철학사 1권 : 고대철학> , p164


 앤서니 케니(Anthony Kenny, 1931~ )의  <케니의 서양철학사 1권 : 고대철학 Ancient Philosophy: A New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volume 1>은 피타고라스( Pythagoras, BCE 570 ~ 495)부터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us Hipponensis, 354~430) 까지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당연하게도 이 시대를 대표하는 두 철학자 플라톤(Platon, BCE 427/424 ~ BCE 348/347)와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BCE 384 ~ BCE 322)의 사상이 큰 기둥이 되어 본문의 내용을 떠받친다.


 <케니의 서양철학사>가 다른 철학사 책들과 구별되는 점이 있다면, 그것은 '주제별 구성'이라 여겨진다. 대부분의 철학사 책이 철학자 별로 그들의 삶을 비롯한 사상적 배경, 사상의 주요 내용과 후대의 영향 순으로 서술된다면, <케니의 서양사>는 논리학, 인식론, 자연학, 형이상학 등 철학의 여러 주제를 각 장(章)으로 설정하고 여기에 맞춰 철학자의 사상을 대비시킨다. 이러한 구성은 비슷한 시기를 살았던 철학자들의 공통점과 차이점 등을 보다 선명하게 보여준다는 점에서 독자들의 내용 이해에 도움을 준다.


 본문 내용 중 플라톤의 이데아론을 살펴보자. 플라톤의 사상 중에서 가장 유명한 이데아론은 아리스토텔레스에게는 부정된다. 플라톤에게 이데아는 "I am who I am"처럼 사물 그 자체의 본질을 의미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에게는 보여지는 개체를 방해하는 상상적 요소에 불과할 뿐이다. 영원불멸의 이데아의 긍정과 부정은 이후 정치학과 논리학 등에서 보여지는 플라톤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차이를 잘 나타내는 부분이기도 하다. 


 나도 플라톤에 따라 처음 네 요소를, 즉 '원'이라는 단어, 원에 대한 정의, 원이라는 도형,  내가 지닌 원의 개념을 구별함으로써 논의를 시작하려 한다. 이들 네 요소를 명확히 파악하는 일이 중요한 까닭은 그래야만 이들을 가장 중요한 까닭은 그래야만 이들을 가장 중요한 다섯 번째 요소, 플라톤이 '원 자체'라고 부른 것과 분명히 구별하고 대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플라톤의 유명한 이론이 다루려는 바도 바로 이 다섯 번째 요소, 즉 이데아이다. _ 앤서니 케니, <케니의 서양철학사 1권 : 고대철학> , p104


 <형이상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더욱 강력하게 이데아론은 스스로 제기했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이데아론을 통해서는 개체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 왜냐하면 영원불변하는 형상은 어떻게 개체들이 현존하게 되고 변화를 겪는지를 설명할 수 없기 때문이다. 더욱이 형상은 인식, 즉 다른 것들의 존재를 밝히는 데 아무런 도움도 주지 않는다(A 9. 991a8 이하). 이데아론은 기껏해야 설명되어야 할 실재와 같은 수의 실재를 새로 도입할 뿐이다. _ 앤서니 케니, <케니의 서양철학사 1권 : 고대철학> , p131


 <국가>에서 플라톤은 철인(哲人)에게 의해 통치되는 도시국가를 최상의 정체(政體)로 설명한다. 이들 철인은 국가의 덕, 정의를 잘 구현할 수 있는 인물들로 <국가>는 정체의 이데아가 현실에서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가를 잘 보여준다. 이러한 이데아는 훗날 <법률>에 이르면 사람 대신 '법률(Nomoi)'로 대체되지만, 개체들에게 공통된 소수의 본질에 의한 통치라는 점에서 '귀족정'이 최선의 정체로 규정된다. 파르메니데스처럼 유일한 일자(the one)의 세계관에서는 '군주정'이 그 자리를 대신했겠지만.  이런 면에서 플라톤의 정치론은 이데아의 현실적 적용이었다.


 플라톤은 현실 세계에서는 우리가 <국가>에서 묘사된 이상적인 정치 체제보다 열등한 다양한 형태의 국가에서 살게 될 가능성이 훨씬 크다는 점을 인정한다. 하지만 그는 이런 이상적인 도시국가에 살지 않는 한 행복한 삶을, 공적이든 사적이든 간에, 살 수 없으며 또한 이런 국가는 철학자가 통치지가 되거나 통치자가 철학자가 되지 않는 한 실현될 수 없다고 강력하게 주장한다(5,473 c~d) _ 앤서니 케니, <케니의 서양철학사 1권 : 고대철학> , p118


 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개체, 데모스(demos)로부터 출발한다. 그 결과 그가 이른 곳은 민주정이다. 플라톤과 거의 같은 정체 모형을 사용하고도 그들이 생각하는 최선의 정체는 서로 달랐는데, 이것은 이데아에 대한 인식의 차이와도 관련있지 않을까.


 국가의 목적은 시민들에게 선하고 행복한 삶을 제공하는 것이다. 만일 어떤 공동체 안에 진정으로 탁월한 개인이나 가문이 있다면 군주정이 최선의 정치체제이다. 하지만 이는 매우 드문 경우이며 따라서 실패할 위험성이 상당히 크다. 또한 군주정이 전제정으로 타락하면 모든 정치체제 중 최악의 것이 되고 만다. 이론상 귀족정이 군주정 다음으로 바람직한 정치체제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는 일종의 입헌 민주정을 선호하였다. 왜냐하면 그가 '이상적 민주정'이라고 부른 국가는 부자와 가난한 자가 각각의 권리를 서로 존중하며 최고 수준의 자질을 갖춘 시민들이 모든 시민의 만족을 목표 삼아 통치하는 국가이기 때문이다(4.8.1293b30 이하).  _ 앤서니 케니, <케니의 서양철학사 1권 : 고대철학> , p155


 이러한 차이는 논리학에서도 보여진다. 논증을 통해 참, 거짓을 판별하는 논증의 문제는 개체로부터 본질에 이르는 과정이기에 실체, 분량, 성질, 관계, 장소, 시간, 자세, 의상, 능동, 수동 등의 범주와 명제 등이 아리스토텔레스에게는 그 하나하나가 매우 조심스러웠을 것이다. 이에 반해, 이데아로부터 출발하는 플라톤의 논증에서는 '있음'과 '없음'만이 중요할 뿐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적 저술들에서 우리는 명제의 구조와 그것을 구성하는 부분들의 본성에 관한 서로 다른 두 개념을 발견하게 된다. 이들 중 하나는 <소피스테스>에서 플라톤이 제시하였던 명사와 동사 사이의 구별에 기원을 두고 있다. 여기서 플라톤은 모든 문장은 최소한 하나의 동사와 하나의 명사로 구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262a~263b). 바로 이런 문장의 개념, 즉 서로 전혀 이질적인 두 요소가 결합한 것이 문장이라는 생각이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과 <명제론>에서도 전면에 등장한다. 명제의 구조에 대한 이런 식의 개념은 프레게 이래로 현대 논리학에서도 여전히 중요하게 통용되었다. _ 앤서니 케니, <케니의 서양철학사 1권 : 고대철학> , p219


  아리스토텔레스는 연결사에는 거의 관심을 보이지 않으며 한량 언어와 명제들 사이의 상호 관계에 주의를 집중한다. 술어로부터 주어를 구별해 주는 특성 등은 전혀 고려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이런 명사 중심의 이론이 지닌 문제점 중의 하나는 기호와 그것이 의미하는 바 사이에 혼동을 불러일으킨다는 점이다. 명사와 동사를 언급하면서 플라톤은 자신이 일종의 기호에 관하여 논의하고 있다는 점을 매우 명확히 드러낸다. _ 앤서니 케니, <케니의 서양철학사 1권 : 고대철학> , p220


 윤리학에 있어서도 두 철학자의 상반된 면모가 보다 직접적으로 드러난다. 행복의 이데아가 존재한다면, '행복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큰 의미가 없다. 행복이 쾌락과 지혜와 관련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하지만, 이데아가 없는 상태에서 답을 찾는 것은 보다 복잡한 과정과 결론을 요구한다. 행복은 지혜와 덕이라는 상태가 쾌락에 의해 결합된 것이라는.


 <필레보스>에서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쾌락도 지혜도 행복한 삶의 본질이 아니며 오직 이 두 요소가 적절하게 혼합된 삶만이 진정으로 선택할 가치가 있다고 주장하는 대목이다. 매 순간 모든 종류의 쾌락을 맛보지만 이성이 부족한 사람은 지금 이 순간의 쾌락이 아닌 다른 어떤 쾌락도 기억하거나 예상하지 못하기 때문에 행복할 수 없을 듯하다. _ 앤서니 케니, <케니의 서양철학사 1권 : 고대철학> , p424


 사실, 다른 철학책에서도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에 대해 같은 설명을 찾는 것은 어렵지 않다. 다만, 각자에게 할당된 목차 내에서 설명이 한정되다보니, 철학자들 사상들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는 것이 일반 독자들에게는 다소 수고로운 작업이라 할 것이다. 이 점에서 주제별로 철학사를 정리한 구성은 새롭게 철학사상을 연결시켜 이해하게 해주는 저자의 작은 선물이라 생각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좋은 삶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하여 가능한 대답을 세 가지로, 지혜와 덕, 쾌락으로 압축하여 제시한다. 그는 이들은 각각 세 형태의 삶, 즉 철학적, 정치적, 향락적 삶으로 드러나는데 이들이 행복과 밀접하게 연결된다고 말한다(1.4.1215a27). 이 세 요소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적 탐구에서 핵심적 위치를 차지한다.(p426)... 덕과 지혜는 모두 상태인 반면 행복은 일종의 활동이므로 덕이나 지혜를 바로 행복과 동일시해서는 안 된다(EE 2.1.1219a 39 : NE 1.7.5 1098a16). 하지만 행복을 구성하는 활동은 덕의 활용 또는 발휘이다. 지혜와 도덕적인 덕은 비록 서로 다른 상태이기는 하지만 분리되지 않고 하나로 발휘되므로 이들은 서로 경쟁하지 않고 오히려 협동하여 행복에 기여한다(NE 10.8.1178a~18). _ 앤서니 케니, <케니의 서양철학사 1권 : 고대철학> , p427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다이제스터 2023-08-18 20:2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제가 모르던 서양 철학사 책이네요.
언제나 좋은 책을 추천해 주시는 겨울호랑이 님께 감사드립니다. ^^
평점도 좋아서 찜해 놓았습니다. ㅎ

겨울호랑이 2023-08-18 21:01   좋아요 1 | URL
감사합니다. 대부분의 철학사가 연대와 인물 중심으로 정리된 것에 비해 주제 별로 명료하게 비교해주니 더 명료하게 정리되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현대철학사까지 완간되어 있어 틈나는 대로 올려보겠습니다. 북다이제스터님 행복한 주말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