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 유럽 경제사 - 서양 문명의 변경에서 떠오르는 경제의 심장으로
양동휴.김영완 지음 / 미지북스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대 로마 시대의 라티푼디움은 노예 경작과 자유민 경작, 두 형태가 있었다. 이 가운데 신분상 자유민kolonatus이 지대 납부를 전제로 토지를 경작하는 프레카리움 Precarium 제도의 성격이 더 강했다.... 이 같은 로마 시대의 토지 생산 조직 형태 가운데 자유민적 요소는 후퇴하고 조세 납부 요소만 남아 이것이 게르만적 인적 지배 형태인 문트권權과 아이겐권權에 합해져 그룬트헤어샤프트(장원 영주제)가 만들어졌다. _ 양동휴, 김영완, <중부 유럽 경제사> , p34/228 


[지도] 라인강과 엘베강 (출처 :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Map-showing-the-German-stretches-of-the-international-waterways-the-Rhine-Danube-and_fig1_321840509)


 <중부 유럽 경제사>에서는 고대 로마의 지배 아래에 있던 라인강 서안 지역과는 다른 엘베강 동쪽의 게르만-슬라브 경제 체제를 보여준다. 라인강 서안에서는 군단병이 정착하고 퇴역 후 인근에서 자리를 잡는 형태인 프레카리움으로부터 시작하여 게르만 전통이 결합된 봉건제(feudalism)/장원제(莊園制)가 발달했다면, 엘베강 동쪽에서는 농노(農奴)에 의해 운영되는 농장제(農莊制)로 발전했다는 차이를 발견하게 된다.


 독일 농민이 이주하고 이들이 이민족과 동화됨으로써 엘베 강 동쪽 지역에는 서유럽의 그룬트헤어샤프트 지역과는 다른 게르만-슬라브적 요소의 독일이 건설되기 시작했다... 14세기 중엽 이전까지 동부 지역 농민은 곡물 생산과 판매에 참여할 재량이 있었다. 그러나 서방으로 수출하는 곡물 가격이 떨어지자 경지 단위가 큰 땅일수록 위기 대처에 유리했다. 즉 기사령과 대지주는 경쟁력이 있었지만 자유농민은 토지를 처분하고 이들에게 예속되어야 했다. _ 양동휴, 김영완, <중부 유럽 경제사> , p39/228


 16세기부터 농업 제도도 변하기 시작했다. 봉건 영주들은 주인 없는 땅을 점유하고 황무지를 개간하여 소유 토지를 확대했다. 영주가 농민이 보유한 토지를 회수하거나 합병하는 일도 일어났다(16세기 후반). 생산과정 특화와 집약화가 발생하고 농업이 발생했다... 기사 영주들이 농업 기업가(구츠헤어)로 성장하면서 그룬트헤어샤프트와는 다른 형태의 구츠헤어샤프트Gutssherrschaft(농장 영주제)가 성립되었다. 이 영주들의 후예가 바로 프로이센의 융커 계층이다. _ 양동휴, 김영완, <중부 유럽 경제사> , p40/228


 서유럽에서는 이후 '상업혁명'이 일어나면서 자유도시가 발달하게 되고, 이들이 자유를 얻는 대가로 국왕과 결탁하면서, 토지에 기반을 둔 귀족계층이 몰락하고 중앙집권국가로 나아가는 반면, 동유럽에서는 농장에 대한 지배권을 가진 이들의 세력이 강대했던 결과로 서유럽과 같은 상업혁명 -> 자본축적 ->산업혁명의 경로를 밟을 수 없었다. 이같은 양상은 엘베강 동쪽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일어나는 양상이었고, 결과적으로 서유럽에 비해 대규모 자본이 축적되지 못한 주원인이 되었으나, 중앙집권화로 나가는 과정 - 지방권력인 토지귀족과 국가권력인 관료제 -  사이의 관계 설정에 있어서는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가 다른 길을 걷게 된다.


 동부 독일(엘베강 동쪽 지역)에서는 구츠헤어샤프트가 잔존했다. 대토지 경영은 19세기 농노해방 이후에도 융커 체제로 유지된다. 16~18세기에 독일 지역의 농업 제도는 크게 두 형태였다. 남서 독일에서는 일부 남은 그룬트헤어샤프트를 기반으로 경영 형태가 변화했다. 농민 보유지는 장원 영주가 정하는 일정한 조건하에 분할 또는 상속이 가능했다. _ 양동휴, 김영완, <중부 유럽 경제사> , p41/228


 농장 영주제Gutsherrschaft는 16세기 이후 엘베강 동쪽 지방에서 행해지던 후기 봉건제적인 농업 제도의 유형이다. 농장 영주제 지역에서는 수출용 곡물 생산을 위해 노동 부역(봉건 지대)과 인신적 종속이 강화되고(재판 농노제), 영주(구츠헤어, 즉 토지 귀족)는 농노에 대한 재판권을 보유했다. _ 양동휴, 김영완, <중부 유럽 경제사> , p76/228


  독일은 융커(Junker) 세력을 중앙권력으로 포섭하여 이를 기반으로 한 국가관료제를 발전시켜나가는 반면, 오스트리아는 토지 귀족의 세력을 중앙권력으로부터 배제시킴으로써 중앙권력과 지방권력이 반목하게 되었고, 이러한 갈등으로 인해 오스트리아는 중앙집권에 실패하면서, 소(小)독일주의를 주창한 프로이센 중심의 독일 통일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에 반해 오스트리아 제국은 중앙집권화에 실패하면서 19세기의 민족주의 열풍 아래 여러 국가로 나뉘어지게 되었고, 이후 신생 독립국들이 난립하게 되는 동유럽 슬라브 지역은 19세기 후반까지도 산업을 정착시키지 못하고 제2차 세계대전 후 공산화되었음이 본문에서 간략하게 서술된다. 


 프로이센과 달리 합스부르그제국에서는 토지 귀족이 국가기구에 편입되어 있지 않았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이들에게 불리한 개혁을 제국이 시도할 수 있었다. 그런데 바로 이 점이 제국을 내적으로 취약하게 한 원인이었다. 문화적, 사회적으로 토지 귀족과 분리되어 있던 도시 출신 관료를 통해 제국이 귀족의 집단적 이해관계를 직접 침범하자 귀족들이 제각기 사나운 자기네 본성을 드러내기 시작한 것이다. 이 시대에 제국은 반혁명의 보루였으나 제국 자체는 무기력했고 표류했다. _ 양동휴, 김영완, <중부 유럽 경제사> , p158/228 


 정리하자면, 중부-동유럽의 '농장영주제'는 엘베강 동부 지역의 경제적 공통점으로 서유럽으로부터 끊임없는 자극을 받은 프로이센에서 융커를 중심으로 한 관료제의 도입으로 주변부에서 중심으로 편입한 반면, 상대적으로 토지귀족의 세력이 강했던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 국가들은 산업화에 실패하고, 제2차 세계대전 후에는 공산화되면서 경제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는 것이 <중부 유럽 경제사>의 전체 구조다.


 <중부 유럽 경제사>는 독일, 오스트리아, 헝가리 등 중부 지역의 경제사를 기술한 책이지만, 전체 분량의 절반 정도는 독일 역사에, 나머지의 절반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역사에 할당되며 체코, 폴란드, 러시아의 역사는 매우 간략하게 서술된 책이다. 독일은 중부 유럽에 속하지만, 사실상 서유럽 경제의 중심임을 감안한다면 중부 유럽사의 분량은 매우 부족하기에 아쉬움이 남는다. 개인적으로는 월러스틴(mmanuel Maurice Wallerstein, 1930 ~ 2019)이 <근대세계체제 The Modern World-system>에서 말한 서유럽의 주변부로서 동유럽의 경제사에 대한 내용을 자세히 알고 싶었지만, 여기에 미치지 못했다는 생각이 든다. 앞서 요약한 내용으로 큰 얼개만 정리하는 것으로 독서의 의의를 찾는다...


 슬라브 사회는 지배계급(전사 귀족) 내에서 서유럽식 규범에 점차 적응하는 모습을 보이긴 했지만, 서유럽과 같은 조건적 토지 보유제(상급자에게 충성을 바치고 토지를 보유하는 일)나 법적 전통, 계약 이념(보호를 받는 조건으로 하는 복종) 등은 잘 확립되지 않았다. 자유도시가 발달하기도 어려웠고 귀족에게 면세권이 없었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동유럽 일대 지배계급의 응집력이 서유럽보다 훨씬 미약했고, 귀족이 너무 광대한 땅에 흩어져 있어 왕조가 이들의 충성을 확보하기 어려웠으며, 그 결과 훗날 귀족의 반동이 오래 지속되면서 근대적 국가조직을 창출하기 어려웠다는 것이다. _ 양동휴, 김영완, <중부 유럽 경제사> , p175/228


 전반적으로 동유럽 지역은 군주와 기사 계급 간에 중간 단계의 영주권이 없고, 공권력도 제한되거나 분할되어 있지 않았다. 농민에 대한 영주의 권력이 단일 장원의 권력에 영역적, 인신적, 경제적으로 집중되었다. 농민은 순수 노예에 근접한 수준의 인신적 예속 상태에 있었다. 동유럽 모든 지역에서 지방 행정직은 세습제가 아닌 임명제였다. _ 양동휴, 김영완, <중부 유럽 경제사> , p189/228

한자동맹 상인들은 부채, 계약 사항 등을 기재한 사업 장부를 공개하여 동맹의 보증을 확보하는 영업 기법도 개발했다(13세기 말). 이 제도는 자본주의의 필수 요소인 자본, 위험 감수, 공격적인 사업 추진을 촉진하면서 북유럽 일대에서 신용과 상업을 확대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른바 ‘상업혁명‘이자 중세 말 유럽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이들이 창출한 엄청난 부 덕분에 징세도 가능해졌다. 이를 기반으로 이제 왕들은 토지에 기반을 둔 귀족에 의존하는 간접적인 왕국 지배가 아니라, 관료제를 창출하여 점차 근대적인 정치권력을 창출해갈 참이었다._ 양동휴, 김영완, <중부 유럽 경제사> , p29/228

명확히 12세기에 서유럽의 변형이 시작되었다. 인간과 토지 관계에만 의존해오던 사회가 상업과 제조업이 농업에 영향을 끼치는 사회로 변해간 것이다. 농산물은 자급자족을 넘어 교환의 대상과 원료로서 광범위하게 유통되었다. 이러한 유형의 경제활동을 억제하던 장원제의 틀이 흔들리기 시작했다. _ 양동휴, 김영완, <중부 유럽 경제사> , p45/228

보헤미아 지역에서 토지 재산의 집중도가 높아졌다. 영주, 성직자가 전체 토지의 4분의 3을 차지했다. 하급 귀족은 거의 사라졌다. 농노의 노동 부역 부담은 늘었다. 30년전쟁 이전에 보헤미아에서는 영주도 농노와 함께 조세를 부담했었다. 그런데 1648년 이후에 귀족들은 실질적으로 면세권을 획득했다. 모든 조세 부담이 농노에게 전가되었다. _ 양동휴, 김영완, <중부 유럽 경제사> , p192/228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레이스 2022-12-30 23:1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잘 읽고 갑니다.
댓글 달기엔 너무 세부적이고 전문적이어서 읽고만 갑니다.
항상 겨울호랑이님 글은 배울게 많네요

겨울호랑이 2022-12-30 23:45   좋아요 2 | URL
항상 그레이스님의 좋은 말씀과 격려로 지난 한 해 부족한 글이나마 올릴 수 있었습니다. 저 또한 그레이스님의 글을 통해 많이 배워가고 있습니다. 감사드리며 내년 한 해에도 잘 부탁드립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