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젠의 로마사 1 - 로마 왕정의 철폐까지 몸젠의 로마사 1
테오도르 몸젠 지음, 김남우.김동훈.성중모 옮김 / 푸른역사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탈리아의 역사는 크게 둘로 나뉜다. 우선 이탈리아 어계의 주도 아래 이탈리아가 통일되기까지의 내부 역사가 그 하나이고, 이탈리아가 세계를 지배하기까지의 역사가 또 다른 하나다. 따라서 우리는 이탈리아 반도에 이탈리아 어계 민족이 정착하는 과정, 희랍인과 에트루리아 인 등 다른 계통 민족이나 선주 문명이 이탈리아 어계의 민족적/정치적 존재를 위협하고 부분적으로 복속시킨 과정, 이탈리아 어계가 다른 계통 민족에 저항하며 그들을 물리치거나 정복한 과정, 마지막으로 같은 이탈리아 어계인 라티움 사람들과 삼니움 사람들이 이탈리아 반도의 패권을 놓고 벌인 갈등과 라티움 사람들이 기원전 4세기 후반에 혹은 로마인들이 기원전 5세기 후반에 최종적으로 승리한 과정들을 기술해야 한다. 이런 것들이 첫 번째 책의 두 권에서 다루어질 내용이다. _ 테오도르 몸젠, <몸젠의 로마사 1> , p8


 테오도르 몸젠 (Theodor Mommsen, 1817~1903)은 <몸젠의 로마사 Romische Geschichte >를 시작하면서, 자신의 관점이 로마의 역사가 아닌, 이탈리아 역사임을 분명하게 밝힌다. 몸젠의 관점에 따르면 이탈리아 반도 정복이라는 사건은 로마제국 팽창의 전제 조건이 되는 것으로 결국 로마 제국은 도시 국가 로마의 팽창이 아닌 이탈리아의 팽창으로 해석된다. 즉, 이탈리아 반도 내 여러 민족 - 이아퓌기아, 에트루리아, 라티움, 움브리아, 마르시, 삼니움 등 - 들의 역량이 로마에 의해 결집되었던 이탈리아 여러 민족들의 융합과 확산으로 몸젠은 로마사를 바라본다. 이는 마치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드로스(Alexander III Magnus, BCE 356 ~ BCE 323)이 그리스 연합군을 이끌고 페르시아 제국 원정에 나갔고, 이후 헬레니즘(Hellenism) 문명을 연 것에 비할 수 있을 것이다. 


 국가 체계의 형태를 갖추고 난 이후 로마라는 도시 공동체가 이탈리아 반도를, 이후 세계를 지배했다고 할 수 있겠지만, 이는 좀 더 높은 차원의 역사적 관점에서 보면 결코 그렇게 주장될 수 없다. 흔히 로마 인에 의한 이탈리아 정복이라고 불리는 것은 기실 이탈리아 반도에 살던 전체 민족이 하나의 국가로 통일되는 과정이라고 보는 것이 오히려 합당하다. 로마 인들이 이들 가운데 가장 강력한 세력이긴 했으나, 아무튼 그들도 이들 가운데 한 부분이었을 뿐이다. _ 테오도르 몸젠, <몸젠의 로마사 1> , p8


 <몸젠의 로마사 1>에서는 희랍(헬레네, 그리스)문명의 영향을 짙게 받은 로마를 비롯한 이탈리아 문명이 서술된다. 초기 이탈리아인들은 희랍 문명의 틀을 받아들이되, 그 내용은 자신들의 고유의 것으로 채우면서도 그들만의 독특한 특성을 만들어갔다.이러한 노력이 이탈리아 내에 고대 희랍 식민지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동화되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으리라. 


 이들의 독창성은 특히 종교에서 잘 드러난다. 신들의 이름과 역할에 의미가 부여된 고대 희랍 신들과는 달리 고대 로마의 신들은 생활밀착형이며 구체적이라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희랍 종교와 로마 종교의 본질은 추상화와 의인화다. 희랍의 신도 자연현상이나 추상개념에서 나왔다... 하지만 종교의 기반이 되는 추상화는 점점 더 넓게 개념을 확장하려 하고 점점 더 깊이 본질에 이르려고 할 때, 반대로 놀라울 정도로 낮은 수준의 직관과 이해에 머물고 있었다. 희랍의 경우 모든 중요한 동기가 일련의 인격신들로, 신화 세계와 이념 세계로 급속하게 확장되었다. 반면 로마의 경우 근본 생각은 본래적 모습 그대로 경직되어버렸다. _ 테오도르 몸젠, <몸젠의 로마사 1> , p236


 제한된 추상화는 로마 종교의 실제적/실용적 경향과 일치한다. 농경과 목축과 해상 교역을 통한 재산 증대와 번영은 로마 인이 신들에게 간구했던 것인데, 그렇게 신의의 신(deus fidius), 행운의 여신(fors fortuna), 교역의 신(mercurius) 등이 모두 일상생활로부터 생겨나, 매우 일찍부터 로마 인들에 의해 여기저기서 숭배되었다. 엄격한 경제관과 상인적 기질이 로마의 본질에 닿아 있었고, 그래서 그들은 이를 신적 형상으로 매우 심오한 경지까지 발전시켰던 것이다. _ 테오도르 몸젠, <몸젠의 로마사 1> , p238


 고대 희랍신은 여러 역할을 맡는다. 예를 들어, 아폴론(Apollon)의 예술, 궁술, 의술, 음악, 예언 등의 신이며 다른 주신(主神)도 여러 주관 분야가 있다는 점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이러한 '신 : 주관 분야 = 1 : 多' 대응은 희랍 철학에서 보여주는 유비와 추상에서 오는 것이 아닐까. 물론, 로마시대에서도 희랍에서 건너온 신들과 그들의 주관 분야는 거의 그대로 수용되지만, 로마 전래의 신들은 대체로 '1 :1대응'을 한다는 점에서 그들의 제한된 추상성을 다시 확인하게 된다.  


 희랍 민족의 특징은 개체를 위해 전체를, 시민을 위해 공동체를, 공동체를 위해 민족을 희생시키는 것이며, 삶의 목표는 미(美)와 선(善), 그리고 종종 학문적 여가에 있다는 것이다. 각 도시국가의 지역 분권주의를 근본적으로 강화하고, 이후 소위 자치 권한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정치발전이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반면에 로마 민족의 특성은 아들이 아버지를 섬기도록 하고, 시민이 통치자를 섬기도록 하고, 인간이 신들을 경외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오로지 유용성을 추구하고 존경하여 시민들로 하여금 한시도 쉬지 않고 짧은 인생의 매 순간을 노동으로 채우도록 강요하는 것이다. _ 테오도르 몸젠, <몸젠의 로마사 1> , p33


 이러한 로마문명의 독창성은 로마 사회의 기본인 '가부장제'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은 아닌가를 생각하게 된다. 가정(노예를 포함한)의 정점인 가장과 씨족, 씨족의 원로들이 모여 원로원을 구성하고, 이들이 국가 정책을 결정하는 시스템 체계는 개인과 개인이 연결되는 희랍사회 구조와는 분명 다른 특성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사회체제를 유지하기 위해서 보다 엄격하고 명확한 질서가 요구되었기에 그들에게 허용된 것은 제한된 추상성과 계약이었을 것이다.


 법률적으로 가족은 무조건적으로 가부장(pater familias)의 절대적 의지에 따라 통제되고 조정되었다. 가부장을 거역하고서는 어떤 것도 정당할 수 없었으며, 가족에 속한 모든 것은 황소와 노예는 물론이고 아내와 자식도 그러했다. 여인이 남자의 자유로운 선택에 따라 그의 부인이 되는 것처럼, 그 부인에게서 태어난 자식을 키우느냐 마느냐는 가부장의 자유의지에 달려 있었다. 이런 규율은 가족에 대한 냉정한 태도에서 비롯된 것이라기보다 오히려 가족을 꾸리고 자식을 두는 것이 도덕적 필연이며 시민의 의무라는 확신에 따른 것으로, 이는 로마 민족의 의식 속에 깊게 뿌리내려 있었다. _ 테오도르 몸젠, <몸젠의 로마사 1> , p85


 가부장권은 본질적으로 무제약적이며 세상 누구도 이를 제한할 수 없는, 가부장이 살아 있는 동안 훼손할 수 없는 절대적 권리였다. 희랍 법에서는 물론 독일 법에서도 장성하여 실제로 독립한 아들은 아버지에게서 법률적으로 독립된 존재다. 하지만 로마의 가부장권은 가부장이 바뀌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소멸될 수 없었다... 로마 인들이 가부장 및 남편의 권한을 이렇게 이해했기 때문에 이에 따라 가부장 및 남편의 권한은 재산권으로 변모했다. _ 테오도르 몸젠, <몸젠의 로마사 1> , p87


 씨족들과 그 가족들은 그대로 국가를 형성하며, 가족과 씨족의 영역은 국가 안에서 그대로 유지된다. 다만 국가에 대한 개인의 지위만이 변동되어 개인은 가족 내에서는 가부장 아래에 있지만, 국가적 의무와 권리에서는 가부장과 대등한 위치에 서게 된다. 국가는 가족과 마찬가지로 내부인과 의탁인으로, 다시 말해 시민과 영주민으로 구성되었던 것이다. _ 테오도르 몸젠, <몸젠의 로마사 1> , p91


 개인이 아닌 가정을 사회의 출발점으로 하는 로마 사회의 특성은 구성원들간의 안정적인 결합이 전제되어야 했을 것이며, 그런 로마의 문화가 희랍문화와 다른 특성을  갖게 되었음을 <몸젠의 로마사 1>에서는 잘 보여준다. 어쩌면 이러한 로마 사회의 특성이 있었기에 유일신교인 기독교가 훗날 제국의 종교로 보다 빠르게 공인되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이와 함께, 가부장의 권한이 재산권으로 확장되고, 재산권이 자본주의 발전의 초석이 되어 오늘날 우리에게도 해결해야 할 많은 과제를 안겨주고 있다는 점은 로마 문명이 남긴 그림자라 생각된다.


 <몸젠의 로마사>에서는 다루어지지는 않지만, 서술된 로마 사회와 희랍 사회의 차이는 전투 대형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같은 신분인 시민들이 서로 밀집해서 대열을 이루는 팔랑크스(Phalanx)가 희랍 보병의 기본 대형이라면, 로마군은 재산과 신분에 따라 벨리테스, 하스타티, 프린키페스, 트리아리 등으로 역할이 구분된다. 전자가 동등한 원자들의 결합이라면, 후자는 핵(核)을 중심으로 한 세포의 구조를 가지는데 이 역시 두 문명의 차이를 나타낸다.


 궁극적 법률 토대는 언제나 국가다. 자유는 다만 가장 넓은 의미에서 시민권의 또 다른 표현일 뿐이다. 모든 사유재산은 명시적이든 묵시적이든 공동체가 각 개인에게 양도한 것이다. 계약은 오로지 공동체가 그 대리자를 통해 계약에 증인으로 참석할 때만 유효하다. 유언은 오로지 공동체가 이를 승인할 때만 유효하다. 공법의 영역과 사법의 영역이 명확하게 구분되어 나뉘어 있었다. _ 테오도르 몸젠, <몸젠의 로마사 1> , p226


 <몸젠의 로마사 1>에서는 이처럼 로마제국의 실질인 이탈리아에 대해 상세히 서술된다. 본문에서 '로마'라는 도시 대신 '이탈리아'라는 국가가 보이는 것은 프로이센 중심의 독일제국을 저자인 몸젠이 의식한 것 때문은 아니었는지 생각하게 된다. <몸젠의 로마사>를 신생제국 독일 제2제국의 <용비어천가>로 읽을 것까지는 없겠지만, 이는 분명 다른 로마사와 다른 지점이라 생각된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시리즈를 통해 차차 확인해보도록 하자...

 

 라티움 젊은이들의 신체 단련은 거칠고 강한 것으로, 희랍 체육교육이 목표로 삼고 있는 신체의 아름다운 발달이라는 생각과는 거리가 멀었다. 희랍의 공적인 경기는 이탈리아에서 제도들은 아니지만 본질은 변화되었다. 경기는 시민들의 시합이었고 분명 로마에서도 처음에는 그러했지만, 이후 전문적인 기수, 전문 권투 선수의 시합이 되었다. 경기 출전자는 곧 공적인 관람객으로 변하게 되었고, 진정한 희랍의 상징인 승리자의 화관은 이후 라티움에서는 거의 언급되지 않았다. _ 테오도르 몸젠, <몸젠의 로마사 1> , p326

희랍인들에게는 모든 것이 구체적/구상적인 반면, 로마 인들에게는 순수하고 투명한 추상성만이 필요했다. 희랍인들이 태고의 신화를 대부분 버린 것은 형상에 개념이 너무도 분명히 표현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반면 로마 인들이 이를 거의 남겨두지 않은 것은 종교적 개념이 우의적 표상으로 인해 희미해질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인도와 이란이 동일한 유산으로부터 전자는 형상으로 가득한 종교 서사시를, 후자는 젠드아베스타라는 추상성을 발전시킨 것처럼, 희랍 신화는 인물 중심이고 로마 신화는 개념 중심이며, 전자에서는 자유가, 후자에서는 필연성이 주도적이다. - P39

이런 최고 연장자들의 회의는 씨족들로 구성된 공동체의 통치권이 법적으로 전체 씨족의 최고 연장자들에게 있다는 생각에서 출발한다. 이미 로마 인들의 가족 단위에서 뚜렷이 각인된 일인 지배라는 원칙에 입각하여 국가의 통치권 또한 항상 원로원들 중 한 명, 다시 말해 왕에 의해 행사되었던 것이다. 원로원의 모든 구성원은 그 자격에서는 공동체의 왕과 대등했다. - P110

초기에는 토지와 가옥이 아닌 ‘노예와 가축‘(familia pecuniaque)만이 소유권의 대상이었는데, 그 이유는 로마 인의 경작지는 오랫동안 집단적으로 개간되다가 나중에야 분배되었기 때문이다. 강자의 권리가 소유권의 법적 근거로 작동하는 것이 아니었다. 모든 소유권은 공동체가 개별 시민에게 독점적 소유와 용익을 할 수 있게 해준 것으로 여겼기에 재산 소유는 시민에게만, 그리고 공동체 시민과 동일하다고 간주된 사람에게만 가능했다. 모든 재산은 자유롭게 양도되었다. 부동산에도 소유권이 인정된 이래로 로마법에서는 동산과 부동산의 실제적 구별이 없었다. - P215

항상 토지 소유자 전체가 공동체의 핵심이 될 수 있도록 정책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은 세르비우스의 개혁이다. 시간의 흐름과 함께 농지의 상당 부분이 비(非)시민권자들의 손으로 넘어갔으며, 그 결과 시민의 의무와 권리는 더 이상 토지 소유와 일치하지 않게 되었다. 그러자 이런 불일치와 이에 따른 국가 위기를 일회적이 아니라 영구히 제거하기 위해 국가 체제를 개혁하면서 공동체 구성원들의 정치적 신분을 무시한 채 모든 토지 소유자가 수용되었으며, 모든 토지 소유자에게는 국방의 의무가 동일하게 부과되었다. 그 결과 자연스럽게 토지 소유자 일반에게 동일하게 적용될 법이 만들어졌다 - P261

희랍에서는 음악 예술이 점차 개인과 희랍 전체가 공유하는 공동 자산으로 자리 잡으며 이로부터 보편적 교양으로 성장했다. 반면 라티움에서 음악 예술은 점차 보편적 민족의식에서 멀어졌으며, 이후 전반적으로 저급한 잔재주로 취급되어 젊은이들이 익혀야 하는 보편적 민족 교양에 들지 못했다. - P328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23-01-06 23:4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달의 당선작 축하합니다.
따뜻한 주말 보내세요.^^

겨울호랑이 2023-01-07 10:47   좋아요 1 | URL
서니데이님 감사합니다. 밤사이 눈/비가 내려 미끄러운 주말이 된 것 같아요. 서니데이님, 안전하고 여유로운 2023년 첫 주말 보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