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하일 고르바초프는 개혁가이기는 했지만 급진주의자는 전혀 아니었다. 그는 철저한 당원이었다. 1956년 스타브로폴 지구 공산주의청년동맹 제1서기를 시작으로 1970년 지역의 국영농장위원회 서기를 거쳐 최고 소비에트 의원에 이르기까지 당을 통해 성장했다. 새로운 지도자는 그 세대 공산주의자들의 많은 정서를 대표했다. 고르바초프는 당이나 당의 정책을 절대로 공개리에 비판하지 않으면서도 1956년 흐루쇼프의 스탈린 비판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곧 흐루쇼프 시대의 오류에 환멸을 느꼈고 이후 브레즈네프 시절의 억압과 무기력에 실망했다.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이런 의미에서 고전적인 개혁 공산주의자였다. _ 토니 주트, <전후 유럽 1945 ~ 2005>2 , p144/465


 미하일 고르바초프(Mikhail Gorbachev, 1931 ~ 2022)가 어제(8월 30일) 세상을 떠났다. 1980년대 후반  글라스노스트(glasnost)와 페레스트로이카(perestroika) 정책을 펼치면서 이후 탈(脫)냉전시기를 이끌어낸 지도자로 당시 세계인의 찬사와 존경을 받았던 것으로 그를 기억한다. 비록, 정권 말기 군부 쿠데타로 실각하고, 그를 대신하여 쿠데타에 맞선 보리스 옐친(Boris Yeltsin, 1931 ~ 2007)에게 밀려나 이후 다시 정계에서 쓸쓸하게 사라지지만. 한동안 잊고 있었던 그의 죽음 소식을 들으며, 한 시대가 끝났음을 새삼 실감하게 된다. 다만, 그의 죽음으로 진정한 냉전의 시대가 끝났음을 인지하기도 전에, 탈냉전의 시기가 진정한 평화의 시대가 되지 못했고, 결과적으로 신냉전의 시대에 살고 있다는 것을 깊이 체감하게 된다. 


 개혁의 본능은 절충에 있었다. 다시 말해 관료적 병폐에서 해방되고 원료와 숙련 노동력의 확실한 공급을 보장받은 소수의 인기 있는 사업을 실험적으로 (위로부터) 만들어 내야 했다. 그러면 이러한 사업이 다른 유사한 사업에 성공적인 모델의 기능을, 나아가 이윤을 내는 모델의 기능을 수행할 것이다. 목적은 통제된 현대화, 가격 결정 과정에 대한 점진적 적응, 그리고 수요에 부응하는 생산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법은 그 작동의 전제 때문에, 다시 말해 당국이 행정상의 허가를 통해 효율적인 사업을 설립해야 했기 때문에 실패가 예견되었다... 고르바초프는 소련 경제와 씨름하면서 두 발로 바로 서기 위해서는 소련의 경제적 난제만 따로 다룰 수 없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깨달았다. 경제적 난제는 더 큰 문제의 증상에 불과했다. 소련은 중앙 통제경제의 정치적/제도적 기득권을 지닌 자들이 운영했다. 소련 특유의 작은 모순들과 일상의 부패는 권위와 권력의 원천이었다. 당이 경제를 개혁하려면 우선 당 자체를 개혁해야 했다. 그래서 총서기(고르바초프)는 당 기구의 장악력을 깨부수고 경제재건 계획을 추진하기 위해 '글라스노스트(공개)에 의존했다. _ 토니 주트, <전후 유럽 1945 ~ 2005>2 , p146/465


 고르바초프에 대한 평가는 사뭇 갈린다. 새시대를 연 세계적인 지도자로 바라보는 시선과 그의 정책으로 결과적으로 동유럽과 소련이 개방의 길로 접어들면서 겪은 혼란상으로 인해 실패한 지도자로 바라보는 관점. 그에 대한 평가는 이제 역사가 내릴 테지만, 분명한 것은 그의 죽음으로 20세기 후반 가장 큰 사건인 '탈냉전'은 이제 역사적 사실이 되었다는 점이다...


불행하게도, 고르바초프의 초기 시도 중 거의 어느 것도 변화를 가져오지 못했다. 경제는 단순한 권고에는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사실, 정부 자체의 경제정책, 특히 재정정책은 예산 부족과 물가 상승을 초래했고, 오히려 사태를 악화시켰다. 얼마 지나지 않아 새로운 행정부와 그것의 우유부단하고 혼란스러운 방향 때문에 경제는 브레즈네프 치하에서 가졌던 응집력을 상실하기 시작하면서도, 그 시대를 대체할 만한 아무것도 가지지 못한 상태가 되었다(p897)... 이것은 전적으로 위로부터의 혁명도 아니었고, 전적으로 일관성 있는 혁명도 아니었다. 고르바초프는 더 이상의 급진적인 조치를 앞두고서도 계속해서 머뭇거렸다. 그는 중도적인 입장을 유지하려고 시도하면서, 당의 급진파와 제휴할지 보수파와 제휴할지 오락가락 하다가 결국 양쪽 모두와 소원해졌다. 아무튼 당은 점점 더 사회에 대한 통제력을 잃어갔다. _ 니콜라스 V.랴자놉스키 외, <러시아의 역사 -하- > , p899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2-08-31 22:4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고르바초프, 한 시대를 상징하는 인물이 갔네요. 평가는 갈리겠지만 어쨌든 역사에서 큰 전환점을 만들었던 것 만큼은 분명한 인물이지요.

겨울호랑이 2022-08-31 23:00   좋아요 1 | URL
네... 정말 20세기를 대표하는 한 인물이 세상을 떠났습니다. 단순한 개인의 죽음을 넘어 시대의 마무리를 생각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