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릇 밭 갈고 파종하는 법은 아주 일찍 하는 것을 꺼리지 않으니, 아주 일찍 한다면 바람과 가뭄을 견딜 수 있다. 대저 곡식의 종자는 땅 기운의 선후의 영향을 받으므로, 실로 일찍 심었는지 늦게 심었는지에 따라 손해를 보기도 하고 이익을 보기도 한다. _ 서유구, <임원경제지> <본리지1>, p363
이번 선거에서 최대 유행어는 아마도 '밭을 갈다'라는 용어가 아닐까 싶다. 대화를 통해 주변 지인들에게 투표독려를 넘어 자신의 의사를 적극적으로 전달하는 적극적인 정치행위를 말하는 '밭갈기'. 선거 기간에 임박해서 행한 '밭갈기'도 중요하지만, 사실 농사의 시작은 흙을 보고 경작지를 선정하고, 좋은 씨앗을 고르고, 농사의 시작을 선정하는 것에서 이미 대부분이 결정되지 않을까. 5년이라는 시간은 겨자씨가 자라고 숲을 이루는데 충분한 시간이고, 숲을 이룰 수 있다면 '반성 없는 승리'보다 의미있게 우리에게 다가오지 않을까. 감정을 추스리고 허탈감을 당장 씻기에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각자에게 필요한 시간이 흐른 뒤 다시 일어나보면 분명 할 일이 있을 것이다. 만약, 할 일을 발견한다면 시작은 빠른 편이 좋을 것이다... 우리는 문제 없었고, 이번 대선은 우리가 가야할 길의 과정에 불과하니까...
제때에 심은 작물은 흥성하고 제때를 놓친 농작물은 쇠한다... 제때에 심은 작물은 냄새가 향기롭고 맛이 달며 기운은 현저하게 드러난다. 백일을 먹으면 눈과 귀가 밝아지고 생각이 지혜로와지며, 사지가 튼튼해져서 해로운(凶) 기운이 침입하지 못하고 몸에는 병이 없게 된다.(p362)... 백곡은 파종하고 모종 내는 데에 각각 알맞은 때가 있다. 만약 제때를 한 번이라도 어기면 그 해 농사를 만회할 수 없다. 또 망종(芒種)이라 이르는 것은, 사람의 힘이 넉넉하지 못하여 비록 모두 일찍 심지 못하였더라도, 이때에라도 심는다면 오히려 가을의 결실을 바랄 수 있다는 것이다. _ 서유구, <임원경제지> <본리지1>, p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