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하게 내달리면 좋은 흔적을 남기지 못하고, 짧은 주(柱)는 화음의 소리를 모자라게 하며, 지난 시기의 묘책도 마침내 오늘날을 맞아서는 추구(芻狗)입니다. 엎드려 바라건대, 진·한(秦·漢)의 잘잘못을 살펴보고, 시사(時事, 시기에 어울리는 일)로써 적합하고 마땅한 것을 고려하며, 조박(糟粕, 찌끼)은 버릴 것인지를 심사하시고, 거려(?廬)가 모름지기 부숴버려야 할 것을 깨닫고, 처비(?菲, 紋彩)가 있는 아각(牙角, 피리)을 제거하며, 간악하고 음험한 봉망(鋒芒, 무기의 끝날)을 둔하게 하고, 벌려 놓은 법망의 근원을 막아서 붕당의 흔적을 쓸어버려 천하의 창생들로 하여금 마음 편하면서 크게 기뻐하여 따르게 한다면 어찌 즐겁지 않겠습니까?"

태후는 비록 녹위(祿位)를 남용하여 천하 사람들의 마음을 수렴하였지만, 그러나 직책에 맞지 않는 자는 얼마 안 가서 역시 이를 쫓아냈는데, 혹 주살의 형을 덧붙였다. 형벌과 은상(恩賞)의 칼자루를 잡고서 천하를 다스리는데, 나라를 다스리는 일은 자신을 통해서 나오므로 밝게 통찰하고 잘 결단을 내렸으니, 그러므로 당시에 뛰어난 재능이 있거나 현명한 사람들 역시 다투어 기용되려 하였다.

2월 병자일(16일)에 신라(新羅)의 왕인 김정명(金政明, 신문왕)이 죽어서 사신을 파견하여 그 아들인 김리홍(金理洪, 효소왕)을 세워서 왕으로 삼았다.

오기(吳起)가 장차 전투를 하려고 하는데, 좌우에 있는 사람들이 검(劍)을 올리자, 오기가 말하였습니다. ‘장수라는 사람은 북을 들고 북채를 휘두르며, 적과 마주쳐서는 의심되는 곳이 있더라도 결단을 내리는 일이고, 한 자루의 칼로 맡을 일은 장군의 일이 아니다.’ 그러니 헛된 글이 어찌 한 시대를 충분히 도울 수 있으며, 활쏘기를 잘하는 것이 어찌 적을 이기기에 충분하게 될 수 있겠습니까?

사람의 생명은 지극히 소중하여, 죽으면 두 번 다시 살 수 없으며, 만일 억울함을 품고서 할 말을 삼키고 적족(赤族) 당한다면, 어찌 아프지 않겠습니까? 이것은 간사하고 반역한 자들을 숙정(肅正)하여 형률(刑律)을 명확하게 하기에는 충분하지 않고, 다만 위복(威福)을 신장시키고, 의구심(疑懼心)만 낳게 하는 이유입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1-12-24 12:1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겨울 호랑이님!
가족 모두 행복 가득! 하시길 바랍니다
🎄 ℳ𝒶𝓇𝓇𝓎 𝒞𝓇𝒾𝓈𝓉𝓂𝒶𝓈 🎅🏻

(\ ∧♛∧ .+° °*.
(ヾ( *・ω・) °・ 🎁
`し( つ つ━✩* .+°
(/しーJ

겨울호랑이 2021-12-24 15:19   좋아요 0 | URL
scott님 감사합니다. 행복한 성탄 보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