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서양이 지배하는가 - 지난 200년 동안 인류가 풀지 못한 문제
이언 모리스 지음, 최파일 옮김 / 글항아리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이 책에서 왜 서양이 지배하는가라고 묻는 것은 사실은 내가 '사회발전 social development'이라고 부르는 것에 대한 질문이라고 주장한다. 여기서 사회발전이란 기본적으로 일을 처리하는 사회의 능력, 자신의 목표에 맞게 물리적, 경제적, 사회적, 지적 환경을 형성해내는 사회의 능력을 말한다.(p38)...  왜 서양이 지배하는가라고 묻는 것은 진짜로는 두 가지 질문을 던지는 것이다. 우리는 왜 서양이 세계의 다른 어느 지역보다 더 발전했는지와 왜 서양이 지난 200년간 그렇게 높은 수준으로 발전해서 역사상 최초로 소수의 나라가 전 지구를 지배할 수 있게 되었는지, 이 둘을 모두 알 필요가 있다. _ 이언 모리스, <왜 서양이 지배하는가> , p39/719


 이언 모리스(Ian Morris)는 <왜 서양이 지배하는가 Why The West Rules - For Now>에서 '사회발전지수(Social Development Index)'를 통해 동양(東洋)과 서양(西洋)의 발전사를 비교하고 이를 통해 최근 서양의 우위를 설명한다. 생물학, 사회학 그리고 지리학의 관점에서 산정된 사회발전지수를 통해 저자가 도출한 결론은 우리의 일반적인 상식을 깨뜨린다. 그동안 우리는 오랜 기간 동양이 서양에 비해 앞서 왔으며, 다만 계몽시대(enlightenment period)와 산업혁명(Industrial Revolution)을 통해 극적인 발전을 이룬 서양이 최근 200년동안 급격한 성장을 통해 동양을 앞섰다는 것으로 인식해왔지만, 저자의 해석은 이와 다르다. 선사시대 이후 오랜 기간 서양의 우위는 지속되어왔으며, BCE 1000년 이후 계몽시대 이전까지의 동양의 우위가 오히려 예외적인 현상이라는 것이다.


 사회발전 수준이 상승하면서 핵심부는 때로는 이주를 통해 때로는 핵심부 이웃 지역 사람들의 모방이나 독자적 혁신을 통해 팽창한다. 구 핵심부에서 잘 작동하는 방식들은 새로운 사회와 환경으로 퍼져나갔다... 사회발전 과정에서는 흔히 더 선진적인 핵심부로부터 들여오거나 핵심부를 모방한 방법들이 잘 작동하지 않는 곳에서 가장 큰 진보가 일어난다. _ 이언 모리스, <왜 서양이 지배하는가> , p47/719


 이렇게만 본다면, 저자가 '서양 문명'안의 본질적으로 우수한 요인이 있다는 주장을 펼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겠지만 실상은 이와 다르다. 저자는 본문에서 '후진성의 이점 advantages of backwardness'을 강조하는데, 이는 각 핵심부 안에서 가장 선진적인 지역은 정(靜)적인 것이 아니라 동(動)적으로 끊임없이 움직여왔다는 것이다. 처음부터 좋은 명당(名堂)은 없다는 이러한 내용에 비추어 본다면, 저자 이언 모리스가 결정론적 시각을 가졌다고 보기는 어렵다. 


 지속적인 사회발전지수 산출을 통해 동서양의 발전사를 비교한 과정은 끊임없이 동서양의 우위가 바뀌었음을 설명한다. 그렇다면, 그의 주장대로 오랜 기간 서양의 우위는 끊임없는 생물학적, 사회적, 지리학적 움직임 속에서 만들어져왔는가?  개인적으로 이에 대해 다음의 두 가지 이유로 동의하지 않는다. 먼저는 그가 산출한 '사회발전지수'가 불명확하다는 것이다. 다른 논문에는 산출 근거들이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그가 수치화한 지수의 신뢰성 문제로 그가 내린 결론을 선뜻 받아들이기 어렵다. 이언 모리스도 이 점에 대해 인정하고, 오차범위를 10~20% 정도 부여하면서 추세(trend)는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하지만, 그가 누락한 변수 등에 다중공선성(多重共線性 Multicollinearity) 문제가 있다면 사회발전지수에 근거해 내린 결론 자체가 부인 될 수 있지 않을까.


 나는 앞서 추정과 추측을 거듭 언급했는데 추측과 추정을 하지 않고는 사회발전지수를 만들 도리가 없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우리가 '맞다'는 단어를 모든 세부 사항 하나하나가 틀림이 없다는 엄밀한 의미로 받아들이든 아니면 모든 전문가가 동일한 추정을 하리라는 뜻의 약한 의미로 받아들이든 간에 결국 어느 지수도 결코 '맞을' 수는 없다. 따라서 내가 계산한 사회발전지수가 맞는지 틀렸는지를 묻는 것은 의미가 없다. 내 계산 결과는 물론 틀렸다. 진짜 문제는 이것이다. 얼마나 틀렸는가?  _ 이언 모리스, <왜 서양이 지배하는가> , p641/719


 사실 개인적으로 그의 이론에 의문을 던지는 것은 첫 번째보다는 두 번째 이유가 더 크다. 이언 모리스는 동양과 서양을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써진 글을 보면 언뜻 와닿지 않지만, 해당 지역을 지도에 표시하면 그가 설정한 지역 구분이 얼마나 불공평한 것인가를 쉽게 알 수 있다. 인류 4대 문명이라 했을 때, 그 중 2문명(메소포타미아, 이집트)을 서양이 가져가고, 1곳(인더스 문명)은 중립 지역으로, 황하 문명은 동양에 할당했을 때 서양이 앞선 결과가 나오는 것은 너무도 당연할 것이다. 이러한 불공평한 출발에서 시작해 '후진성 이점'으로 서양 문명은 중심부 이동이 잦다. 축구로 따진다면, '운동장을 폭넓게 활용한다'가 될까. 이에 반해, 이언 모리스가 상정한 동양의 중심부는 결코 움직이지 않는다. 있다 해도 '황허'에서 '양쯔강' 정도의 움직임을 보이기에  거의 변화가 없다고 봐도 무방해 보인다. 한마디로 기울어진 운동장이다. 더구나, 그가 서양에 포함한 지역이 '오리엔탈(oriental)'지역으로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오늘날까지 야만인들이 사는 곳으로 인식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옥시덴탈(Occidental)' 지역과 이들을 하나로 과감하게 묶는 것은 무리한 지역 설정이 아닐까. 이런 무리한 가정의 결과 이언 모리스의 '서양-동양'의 분석은 '비(非)중국 문명 -중국 문명'의 비교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서양- 동양'의 비교를 위해서는 분명 동양의 범위는 더 넓어져야 하고, 서양의 범위는 줄어들어야 한다. 서양 문명의 뿌리를 메소포타미아에서 찾는다면, 동양 문명의 주요 원천인 불교(佛敎)의 발상지 인도를 당연하게 동양 문명권에 포함시켜야 할 것이 아닐까. 그리스- 페르시아의 적대적 관계로부터 '헬레니즘'이라는 문명의 통합을 발견했다라면, 파미르 고원을 넘어선 인도로부터의 불교 전래에 근거해 동양을 더 폭넓게 정의했어야 하지 않았을까. 그럼에도 모리스의 동서양의 지리적 정의는 제국주의 시대 유럽제국의 본국과 식민지 전체를 서양의 범주에 포함시킨 후 과거로 소급해 분석했다는 인상을 독자에게 심어준다.


이런 점에서 '오랜 기간 서양이 앞서왔다'는 이언 모리스의 분석 결과에 동의하기 어렵다. 그가 상정한 가정에 근거해 내린 적절한 결론은 '중국 문명이 항상 다른 모든 문명보다 우수했던 것만은 아니다' 정도가 될 것이다.



[그림] 이언 모리스의 동양과 서양(by 겨울호랑이)


 일반적으로 상식이라고 기대하는 것을 따라 이 책에서 나는 '서양'이라는 표현을 유라시아 중심부의 이 최서단(그리고 가장 이른 시기에 성립된) 지역에서 유래한 모든 사회를 가리키는 것으로 썼다. 서양은 오래전에 서남아시아에 있는 최초의 핵심부에서 팽창하여 지중해 분지와 유럽을 포괄하게 되었고 지난 몇 세기 동안에는 미국과 오스트랄라시아(오스트레일리아를 포함한 남태평양 제도 전체를 뜻한다)도 포함하게 되었다.(p45)... 같은 논리를 따라 나는 '동양'을 유라시아 핵심부 가운데 가장 동쪽에 위치한(그리고 두 번째로 오래된) 핵심부에서 유래한 모든 사회를 가리키는 용어로 쓴다. 동양도 오래전인 기원전 7500년경 작물 재배가 시작된 중국 황허 강과 양쯔 강 사이에 위치한 최초의 핵심부에서 확장되어 오늘날 북쪽의 일본부터 남쪽의 인도차이나 여러 나라까지 뻗어있다. _ 이언 모리스, <왜 서양이 지배하는가> , p46/719


 그렇지만, <왜 서양이 지배하는가> 책 자체가 가치가 없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동시대 동양과 서양에 어떤 사건들이 있었는가를 비교사적으로 분석했다는 점과 함께 문명을 정(靜)적으로 바라보지 않고, 동(動)적으로 해석하려 했다는 점에서 앞서 말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사건 중심으로 가볍게 읽기에 좋은 책이라 여겨진다. 리뷰를 마치기 전에 저자가 구분한 전통적인 역사 해석의 관점을 소개한다. '결정요인'을 찾으려는 장기고착이론과 이를 부인하는 단기우연 모델 속에서 자연과학, 신학과 마찬가지로 '필연'과 '우연'의 문제를 발견한다. 서양의 거의 모든 학문은 법칙과 자유의지의 틀에서 크게 자유롭지 않은 듯하다...  


 왜 서양이 지배하는가라는 질문을 시작하는 최적의 방식은 두 가지 개략적인 사고 진영으로 나누는 것일 텐데, 나는 이 두 진영을 각각 '장기고착 long-term lock-in' 이론파와  '단기우연 short- term accident' 이론파라고 부르겠다.... 장기고착이론 뒤에 놓인 공통적 관념은 태곳적부터 어떤 결정적 요인이 동양과 서양 사이에 대단히 크고 변경 불가능한 차이를 만들어내 산업혁명이 서양에서 일어나도록 결정했다는 것이다. _ 이언 모리스, <왜 서양이 지배하는가> , p28/719


 일부 서양 역사가는 왜 서양이 과거에는 지배했지만 지금은 지배하지 않는지를 설명하는 완전히 새로운 이론을 발전시켰다. 나는 이 이론을 단기우연 모델이라고 부른다. 단기 논의들은 장기 논의들보다 더 복잡한 경향이 있고 이 진영 내부에는 격렬한 이견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단기론자들이 모두 동의하는 것이 하나 있다. 장기론자들의 주장이 상당히 많이 틀렸다는 것이다. _ 이언 모리스, <왜 서양이 지배하는가> , p32/719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다이제스터 2021-11-03 16:4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맞는 말씀이세요. ㅎㅎ
양질 전화의 법칙…^^

겨울호랑이 2021-11-03 17:11   좋아요 2 | URL
그렇습니다. 각자의 방향성은 차이가 있었겠지만, 각기 문명이 꽃피우기 전까지 유무형의 변화가 있었음을 생각하게 됩니다. 북다이제스터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