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사마광이 말씀드립니다... 진왕(秦王) 부견이 그를 예로 대하여 연인(燕人)들의 희망을 거둬들이고, 그를 가까이하여 연인(燕人)들의 마음을 다하게 하였으며, 그를 총애하여 연의 무리들을 기울게 하고, 그를 믿어서 연인(燕人)들의 마음을 맺도록 하였으니 아직은 허물을 짓지 아니하였습니다. 왕맹이 어찌하여 모용수를 죽이는데 급급하여 마침내 시장에서 죽 파는 사람의 행동을 하여 마치 그의 총애를 질투하여 그를 참소하는 것처럼 하였으니, 어찌 훌륭한 덕을 지닌 군자가 마땅히 해야 할 것이었겠습니까? _사마광, <자치통감 102>, p39/92
조금씩 읽던 사마광(司馬光, 1019 ~ 1086)의 <자치통감 資治通鑑>도 100권을 넘어섰다. 매권이 얇긴 해도 100권이면 적지 않은 분량이라 생각할 수 있겠으나, 전체 책이 294권이니 전체 분량의 30% 정도에 불과하여 아직 갈 길이 멀다. 지금 읽고 있는 시대는 오호 십육국시기로(五胡 十六國時代, 304 ~ 439)의 전진(前秦)의 부견(苻堅, 337 ~ 385)의 치세로, 고구려 소수림왕(小獸林王, ? ~ 384) 때 불교를 전파한 왕으로 우리에게 익숙한 인물이기도 하다. 부견은 재상 왕맹(王猛, 325 ~ 375)의 보좌를 받아 전진을 강국으로 만들었는데 독자들은 후한말부터 이어지던 극심한 혼란기에 태평성세의 빛을 잠시나마 느끼게 된다. 이 시기를 읽던 중 저자 사마광의 논평에 시선을 멈추게 된다. 그의 말에 끌려서가 아니라 그의 논지에 반(反)하는 마음이 들어서다.
그렇다면 이와 같은 평이 나온 배경은 무엇이었을까. 왕맹은 자신이 멸망시킨 전연의 잔당인 모용수(慕容垂, 326 ~ 396) 일족을 강하게 처벌할 것을 주장하지만, 부견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왕맹은 모용수의 숨겨진 실력과 야심을 알아보고 진언을 하지만, 부견은 천자란 모든 이들을 담을 수 있어야 한다는 말로 이를 거절한다.
관중(關中)의 병사와 백성들은 평소 모용수 부자(父子)의 명성을 들었으므로 모두가 그를 흠모하였다. 왕맹이 부견에게 말하였다. "모용수 부자는 비유하자면 용과 호랑이 같은데, 길들일 수 있는 사람이 아니니 만약에 바람과 구름이 끼는 기회를 빌게 된다면 장차 다시는 제압할 수 없을 것이어서 일찍 그를 제거함만 못합니다." 부견이 말하였다. "나는 바야흐로 영웅을 거둬들여서 사해를 깨끗이 하고자 하는데 어찌 그를 죽인단 말이오? 또한 그가 처음 왔을 때 내가 이미 정성으로 그를 받아들였으니, 필부(匹夫)라도 오히려 자기가 한 말을 버리는 것이 아닌데, 마물며 만승(萬乘)의 경우에야?" _사마광, <자치통감 102>, p30/92
사마광은 <자치통감>을 통해 왕맹의 조언이 뛰어난 모용수에 대한 질투의 감정에서 나온 것이라고 깎아내리면서, 부견의 행동이야말로 군주(君主)의 도(道)에 맞는다며 그를 두둔한다. 그렇지만, 역사의 흐름은 어떻게 흘러갔는가? 전진(前秦)과 동진(東晉)의 전투였던 비수대전(淝水大戰)에서 전진이 패배한 후 모용수는 자신의 일족을 거느리고 멀리 떠나 후연(後燕)을 건국하며 왕맹의 통찰이 옳았음을 입증한다. 결국, 역사는 사마광이나 부견이 강조한 인(仁)이 송양지인(宋襄之仁)임에 불과했음을 말없이 보여준다.
모용수는 은밀히 연(燕)의 옛 신하들과 더불어 연의 복록(福祿)을 회복시키려는 모의를 하는데, 때마침 정령(丁零)족 적빈(翟斌)이 병사를 일으켜 진(秦)을 배반하여 예주목(豫州牧)인 평원공(平原公) 부휘(符暉)가 있는 낙양(落陽)을 공격하려고 모의하자 진왕(秦王) 부견이 역참을 통하여 편지를 보내 모용수에게 군사를 거느리고 그를 토벌하게 하였다.(p29)... 모용수가 형양에 이르자 많은 부하들이 굳게 존호에 오를 것을 청하자 모용수는 마침내 진(晉)의 중종(中宗) 고사에 의거하여 대장군, 대도독, 연왕(燕王)이라고 칭하고 승제(承制)하여 업무를 시행하고 이를 통부(統府)라고 하였다. _ 사마광, <자치통감 105> , p34/103
이해 11월 겨울, 송양공이 초성왕과 홍수에서 교전했다. 초나라 군사가 미처 강을 다 건너지 못했을 때 목이가 건의했다. "초나라는 병사가 많고 우리는 병사가 적으니 이들이 강을 완전히 건너지 못한 기회를 이용해 먼저 공격을 해야만 합니다." 송양공이 듣지 않았다... 송나라 군사가 대패했다. 송나라 백성 모두 송양공을 원망했다. 송양공이 변명했다. "군자는 다른 사람이 어려울 때 그를 곤궁에 빠뜨리지 않고, 다른 사람이 전열을 갖추지 못했을 때 공격을 하지 않는 법이다." 목이가 말했다. "전쟁을 하면 승리를 얻는 것이 공적입니다. 어찌 실제와 동떨어진 말만 늘어놓는 것입니까? 군주의 말씀대로라면 노비가 되어 다른 사람을 섬기는 것이 낫지, 어찌 전쟁을 치를 필요가 있겠습니까?" _ 사마천, <사기 세가> <송미자세가>, p234
진(秦)의 군사가 비수(肥水)에 가까이 가서 진을 치자 진(晉)나라 군사는 건널 수가 없었다... 진(秦)의 제장들이 모두 말하였다. "우리들은 많고 저들은 적어서 그들을 막아 그들이 올라올 수 없게 하여 만전을 기할 수 있도록 하는 것만 못합니다." 부견이 말하였다. "다만 군사를 이끌고 조금 물러나게 해서 그들에게 절반 쯤 건너게 한 다음 우리들의 철기(鐵驥)로 그들을 쫓아 죽이면 이기지 못할 것이 없을 것이다." _ 사마광, <자치통감 105> , p21/103
잠시 이야기가 엇나가지만, 전진의 부견을 보면서 송양공의 모습을 계속 연상하게 된다. 송양공이 자신의 신하 목이의 조언을 거절하며 분수에 넘치는 자비를 베풀다가 결국은 무너지게 되는 것이나, 부견이 왕맹의 조언을 받아들이지 않았다가 나라가 분열하게 되는 모습은 기시감(旣視感)을 안긴다. 여기에 곁들여, 두 군주 모두 강을 두고 벌일 싸움에서 패배한 점, 각각 인(仁)과 신(信)을 강조하다 실리를 놓친 점도 그러하다. 다만, 이에 대해서 사마광은 별다른 평을 하지 않는다. 사실, 송나라 시대를 살았던 사마광이 부견이 모용수를 놓아준 일이 어떤 보답으로 돌아왔는가를 몰랐을 리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그는 그런 평을 <자치통감>에 남겼을까.
권익(權翼)이 간하였다. "모용수의 용맹과 지략이 보통사람을 능가하고 대대로 동하(東夏)의 호족으로 잠시 화를 피해 왔으나 그 마음이 어찌 관군(冠軍)의 장군 노릇을 하고자 하는 것으로 그칠 뿐이겠습니까. 비유하건대 기르는 매는 굶주리면 사람에 의지하지만, 매양 폭풍이 일어날 때면 항상 하늘을 능멸할 만한 뜻을 품고 있으니, 바로 의당 그를 새장에 가두어야 하는데 어찌 풀어서 멋대로 내버려두어 그가 하고자 하는 대로 맡겨 두십니까!" 부견이 말하였다. "경의 말이 옳다. 그러나 짐이 이미 그에게 허락하였으니 필부도 식언(食言)을 하지 않거늘 하물며 만승(萬乘)인 경우에야! 만약 천명(天命)이 폐하고 흥함을 갖고 있다면 진실로 지혜와 힘으로써 바꿀 수는 없는 것이다." 권익이 말하였다. "폐하는 사소한 신용을 중히 여기시고 사직을 가벼이 여기시니, 신이 보건대 그는 가서 돌아오지 않을 것이고, 관동의 혼란은 이로부터 비롯될 것입니다." _ 사마광, <자치통감 105> , p26/103
그것은 <자치통감>이 단순한 역사서가 아니라, 역사서를 통해 정치 라이벌 왕안석(王安石, 1021 ~ 1086)을 경계하려는 사마광의 의중 때문이 아니었을까. 신법(新法)을 통해 세상을 바꾸려는 왕안석과 이를 막으려는(捍) 사마광. 이러한 인식을 갖고 있었기에 사마광은 <대학 大學>에서 '격물(格物)'을 '막는다'는 의미로 해석한 것이 아니었을까. 또한 사마광은 왕맹의 모습 속에서 라이벌 왕안석의 모습을 발견하고 왕맹에 대한 직접 비판을 통해 왕안석을 우회하여 비판한 것은 아니었을까. 이번 <자치통감>의 사마광 평을 보면서 <자치통감>에 자리한 역사관을 깊이 느끼게 된다...
왕안석이 정권을 잡고 있는 한 사마광이 자기의 의견을 말할 기회는 없었다. 그런데 신종은 사마광에게 <자치통감>의 편찬 작업을 하게 하고, 한 시대가 끝나면 바로 올리게 하고, 또 경연에서 이를 진강하게 했으며, 이를 통해 사마광은 자기의 정치철학을 신종에게 말할 수 있었다.(p89)... 사마광이 왕안석의 정책을 '장사꾼이 마지막 이익을 강구하는 것'으로 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런데 유서는 왕안석이 새로 만든 기구인 삼사조례사로 와서 근무할 것을 요구하자 돈과 곡식에 관해 익숙하지 못하다고 하여 사양했다. 그러한 점에서 사마광과 유서의 생각이 유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적어도 눈앞의 이익보다는 도(道)를 추구하여 현실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_ 권중달, <자치통감전> , p162/ 9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