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해 구월 동학군은 남접과 북접이 호응 합세, 항일구국의 대전선을 결성하여 또다시 일어섰으나 십이월에 들어 연이은 패전으로 동학군이 완전 붕괴되고 농민전쟁이자 민족전쟁인 갑오 동학란의 비극의 막이 내려졌을 때 살아남았던 환이는 추적의 눈을 피하여 방랑하다가 백부인 우관선사를 찾지 아니하고 최참판댁 문전에 서게 되었던 것이다. 윤씨는 김개주가 전주 감영에서 효수되었다는 말을 문의원으로부터 들었을 때, 무쇠 같은 이 여인의 눈에 한 줄기 눈물이 흘러내렸다._박경리, <토지 2>, p100/540


 <토지 2>에는 여러 인물들의 죽음이 나온다. 최치수, 윤씨 부인 등등 대하소설의 초반부에 서희를 둘러싼 여러 어른들이 빠르게 퇴장하면서 서희가 독립적인 인물로 성장했겠지만, 개인적으로 인물들에 대한 아쉬움이 남는다. 그 중 서희의 할머니 윤씨 부인은 여러 면에서 비극적인 인물이다. 집안인 윤씨 가문은 서학(西學) 천주교로 인해 풍비박산나고, 자신은 동학(東學) 군 장수 김개주에게 겁탈을 당해 죄의식 속에 살아야 했다는 점에서 윤씨 부인은 근대시기 조선시대의 비극을 한몸에 진 인물이라 할 것이다. 한국 천주교회사에서 최초의 순교자로 알려진 윤지충(尹持忠, 1759 ~ 1791)의 본관이 해남(海南)이라는 점을 생각해볼 때, 윤씨 부인의 본관이 해남이 아닐까 하는 추측을 잠시 해보지만, 별 근거는 없다. 해남 윤씨 가문과 다산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의 형제들 그리고 한국 천주교회사에 대해서는 다른 기회에 살펴보도록 하고([토지독서챌린지]는 장기 프로젝트이니만큼 조기에 소재를 고갈시켜서는 안된다...) 이번 페이퍼에서는 윤씨 부인에게 개인적인 불행을 안겨 준 김개주라는 인물에 집중해 보자.


[사진] 김개남(출처 : 위키백과)


 사실, 김개주는 김개남(金開南, 1853 ~ 1894)이라는 실존인물을 모델로 한다. 전봉준(全琫準, 1855 ~ 1895), 손화중(孫華仲, 1861~1895)과 함께 동학농민혁명 당시 3대 지도자로 꼽힐만큼 뛰어난 인물인 김개남은 매우 과격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남원(南原)을 주로 거점으로 한 그의 행동은 <토지>에서도 냉혹한 농민군 장수의 모습으로 잘 재현되었다. 과감한 농민군 장수였던 김개주는 분명 매력적인 인물이지만, 역사 속 인물 김개남은 이상적인 지도자는 아니었다.

 

김개남은 김학진의 화약 제의가 미지근하다고 여겨 거절했다. 그러면서 스스로 왕 노릇을 했다. 일부 기록에 따르면 그는 자신을 임금처럼 받들게 하면서 왕의 제복을 입고 왕에 걸맞은 호칭을 썼다 한다. 김개남은 남원부사를 죽여 큰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p241)...  전라도 김개남포에서 지휘하는 집강소의 경우 이런 폭력적 방법이 자주 동원되었다. 그들은 부호들에게 동의나 협조를 구하지 않고 강압적으로 군수품을 모아들였다. 남원은 양반 부호의 수난이 가장 심했던 곳으로 말을 듣지 않으면 서슴없이 죽일 정도였다. 김개남은 남원부사 이용헌이 시키는 대로 따르지 않는다고 그를 죽여버렸다._이이화, <이이화의 동학농민혁명사 1>, p283


 뒤늦게 삼례로 나온 김개남은 전봉준의 후원이 되어 뒤따라 은진으로 올라왔고 청주병영 공격에도 나섰다. 하지만 김개남의 독자적이고 과격한 태도는 연합전선 형성에 차질을 가져왔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_이이화, <이이화의 동학농민혁명사 2>, p101

 

 야마구치 대대장은 문 안으로 들어가서 국왕 고종과 대면하고, 다음과 같이 구두로 전했다... 국왕은 일본군의 포로가 되었다. 일본군은 조선병 일소와 무장해제를 완료하고, 궁전 주위에 초병을 세웠다. 이렇게 오전 9시가 지났을 즈음 국왕과 왕비는 확보되었고, 경복궁은 일본군이 완전히 제압했다. 통상적으로 청일전쟁(淸日戰爭)이라 부르는 전쟁은 바로 이때 시작되었다._와다 하루키, <러일전쟁 1>, p218


 갑작스럽게 모인 농민군에게 과감하고 결단력있는 지도자가 요구되었을 것이고, 김개남은 이러한 농민군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인물이었는지도 모르겠다. 그렇지만, 왕을 참칭(僭稱)하는 오만한 모습은 다소나마 동학농민군에 대해 긍정적이었던 중도/지배층에게는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주지 않았을까. 실제 <이이화의 동학농민혁명사>에는 동학농민군에는 농민뿐 아니라 중간 계층의 지주, 일본의 경복궁 점령에 분노한 유생, 관리들도 일부 합세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김개남의 과격하고 오만한 행동이 요즘말로 중도층의 이탈을 가져온 것은 아니었을까. 보다 폭넓게 외연 확장에 실패했다는 점에서 정치적으로 그는 분명 한계가 있는 인물이었다. 


 "동학은 이 나라의 마지막 힘이었소." "오합지졸이었지요." "식자들은 그 이유를 왜 깨닫지 못했을꼬?" "살생과 약탈이었지요. 왜적에게 대항하겠다는 기특한 생각 말고는."_박경리, <토지 2>, p163/540


 다른 한 편으로, 과감함을 넘어서 오만함까지 느끼게 하는 김개남의 행동은 태평천국(太平天國, 1851~1864)의 동왕 양슈칭(東王 楊秀淸, 1821~1856)을, 젊은 나이에 죽어 민가에 영웅이 된 익왕 스다카이(翼王 石達開, 1831 ~ 1863)을 떠올리게 된다. 사실, 김개남 뿐 아니라 비슷한 시기에 일어난 두 혁명 사이에 유사점과 차이점을 찾는 것도 나름 의미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가까운 시일에 조너선 스펜스 (Jonathan D. Spence)의 <신의 아들 洪秀全과 太平天國>로 정리할 예정이다. 자세한 이야기는 뒤로 넘기겠지만, 두 혁명 사이의 가장 큰 공통점이라 생각되는 부분을 간략하게 짚고만 넘기자. coming soon. 


 봉건 모순에는 불평등한 신분제도와 불균형한 토지제도가 바탕에 깔려 있다. 인간의 존엄성을 짓밟는 신분 차별과 일부 특권층의 토지 소유 및 농업생산의 독점은 사회의 발전을 가로막는 장애였다. 이런 불평등하고 불균형한 제도를 타파하려는 민중 봉기는 역사의 추진 동력이 되었다. 여기에는 많은 희생이 따랐지만 이를 개혁하지 않고는 평등과 인권을 추구하는 근대를 지향할 수 없었다._이이화, <이이화의 동학농민혁명사 1> , p7


 김개남은 이후 동학농민혁명 말기에 친구의 배반으로 붙잡혀 제대로 된 재판도 받지 못하고 처형당하게 되면서 삶을 마감한다. 다른 주장에 따르면 '새야 새야'의 녹두장군이 전봉준이 아닌 김개주라는 의견도 있지만, 진위 여부는 알기 힘들다. 다만, 이러한 이야기가 나올 정도로 그가 사랑받았던 농민군 지도자였음은 분명해 보인다.  때문에, <토지>에서 그의 죽음을 전해 들었을 때 흘렸던 윤씨 부인의 눈물은 반드시 한 남자에 대한 것만이 아니었을 것이고, 윤씨 부인만의 눈물도 아니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해본다. 


 김개남은 이 마을에 사는 친구 임병찬의 밀고로 체포되어 전라감영으로 압송되었다. 한 사람은 옛부하, 한 사람은 옛친구의 밀고로 12월 2일 한날에 잡혔다. 묘한 인연이요, 운명이었다.(p316)... 개남이 잡혀갈 때 백성들은 "개남아 개남아 진개남아(호남에서는 김을 진으로 발음한다. 이는 김제를 진개라 부르는 것과 같다). 그 많던 군대 어데 두고 짚동우리가 웬 말이냐?" 또는 "개남아 개남아 진개남아, 수많은 군사 어데 두고 전주야 숲에는 유시(遺屍)했노"라는 노래를 부르며 안타까워했다. 지금 그의 무덤은 남아 있지 않고 다만 효수된 사진만이 전해진다._이이화, <이이화의 동학농민혁명사 2>, p317


  <토지>에서 김개남이라는 인물은 직접 등장하지 않는다. 그저 윤씨 부인, 아들 환이를 통해 회상되거나 언급되는 지난 시대의 인물이지만, 그가 남긴 핏줄과 정신은 주인공 서희를 보이지 않은 곳에서 도와주는 힘으로, 일본에 저항하는 투쟁의 모습으로 남아 있다는 점에서 김개남, 아니 김개주를 살펴보는 것은 <토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인물소개]에 담긴 김개주의 설명을 마지막으로 이번 페이퍼를 갈무리한다...


 김개주 : 중인출신이며 우관스님의 동생. 우관선사가 있는 연곡사에 휴양차 와 있는 동안, 그곳에 불공드리러 온 윤씨부인을 겁탈하여 아들 김환을 얻는다. 동학혁명이 한창일 무렵 무리를 이끌고 최참판가에 와서 윤씨부인에게 은밀히 환이의 성장소식을 전하며, 환이에게 생모의 존재를 알려주고 떠난다. 후에 혁명의 허무감과 상민에 대한 불신을 가지고 있었음이 아들인 김환의 회상을 통해 드러난다. 동학농민운동이 진압된 후 전주 감영에서 효수당한다._박경리, <토지 2>, p531/540  [인물소개]  中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붕붕툐툐 2021-07-25 16:2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 김개주 실존 인물이 있는지 몰랐어요~ 이렇게 깊이 있게 엮어 읽으시다니, 같은 토지 다른 느낌이네요~ㅋ
김개남에 대해 알게 되어서 좋았어요. 우리나라 동학농민혁명은 여러모로 더 알려지고 연구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겨울호랑이 2021-07-25 16:44   좋아요 1 | URL
저도 잘 몰랐다가 인물의 이름이 비슷해 찾아보니, 다행히 실존인물에서 빌려온 캐릭터였네요. 붕븡툐툐 말씀처럼 동학혁명의 의의를 저도 되새기게 되었습니다. 제게 여러모로 의미있는 챌린지가 될 듯합니다. 감사합니다!^^:)